갤럽 60%로 동일, NBS는 3%p 하락
여 독주 예고에 대통령실 선 긋는 까닭
[서울=뉴스핌] 이재창 정치전문기자 =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이 횡보하거나 하락했다.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도 떨어졌다. 정상 외교 성과 등 이벤트 효과가 약해지고 내란전담재판부 설치 등 거대 여당의 독주가 부각된 결과로 해석된다.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 여파도 여권엔 악재다.
한국갤럽이 지난 25일부터 27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0명을 대상으로 휴대폰 가상번호를 통한 전화 면접 조사를 해 28일 발표한 결과, 응답자의 60%가 이 대통령의 직무 수행에 대해 '잘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지난주 조사와 같은 수치다. '잘못하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31%로 지난주에 비해 1%포인트(p) 늘었다.
![]() |
|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1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49회 국무회의에서 발언을 하는 모습. [사진=대통령실] |
긍정 평가한 가장 큰 요인은 '외교'(43%)였다. 이어 '경제·민생'이 11%였고, '직무 능력 및 유능함'(6%) 등이었다. 한미, 한중 정상회담과 관세 협상 결과 등이 여전히 지지 요인으로 꼽힌 것이다.
부정 평가 요인으로는 '경제·민생'(14%)과 '도덕성 문제·재판 회피'(12%), '검찰 항소 포기 압박' '부동산 정책·대출 규제'(이상 6%)가 꼽혔다. 정부의 확장 재정 기조와 대출 조이기가 핵심인 부동산 정책, 이 대통령의 5개 재판 등 도덕성 문제가 여전히 지지율을 끌어내리는 악재였다.
40대에서 77%의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고 50대(70%), 60대(59%)도 비교적 높았다. 반면 보수층이 많은 70대 이상에서는 47%로 가장 낮았다. 18~29세(51%)와 30대(54%)의 평가도 상대적으로 박했다. 30대에서 '그냥 쉬었음'이 역대 최고를 기록하는 등 심각한 청년 취업난과 정부의 일부 청년 예산 감축 등이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24∼26일 만 18세 이상 남녀 1003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이용한 전화 면접을 진행해 지난 27일 발표한 전국 지표조사(NBS)에서는 이 대통령과 민주당의 지지율이 3%p씩 동반 하락했다.
이 대통령의 국정 운영을 긍정 평가한 응답자는 직전 조사인 2주 전보다 3%p 하락한 58%였다. 부정 평가 응답은 32%로 직전 조사보다 3%p 늘었다.
긍정 평가는 40대(78%), 50대(71%), 광주·전라(86%), 대전·세종·충청(64%), 서울(63%)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18~29세(41%), 70세 이상(44%), 대구·경북(41%)에서는 낮았다. 40대와 50대가 적극 지지한 반면 청년층과 고령층의 평가는 상대적으로 크게 낮은 것은 갤럽 조사와 비슷한 흐름이다.
정당 지지도는 갤럽 조사에서 민주당이 42%, 국민의힘이 24%를 기록했다. 민주당은 지난주에 비해 1%p 하락한 반면 국민의힘은 지난주와 같았다. 개혁신당과 조국혁신당도 각각 지난주와 동일한 각각 3%였다. '무당층'은 26%에 달했다. 이 조사의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은 11.9%다.
NBS에서는 민주당은 39%, 국민의힘은 22%를 각각 기록했다. 민주당 지지도는 직전 조사보다 3%p 하락했고, 국민의힘 지지도는 1%p 상승했다. 이어 조국혁신당 3%, 개혁신당 2%, 진보당 2%였다.
특히 태도 유보(지지정당 없음·모름·무응답) 32%로 국민의힘을 10%p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갤럽 조사에서도 무당층이 국민의힘에 비해 2%p 높았다. 두 조사가 같은 흐름을 보인 것이다.
민주당과 국민의힘 모두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무당층이 그만큼 많다는 의미다. 주로 국민의힘에 등을 돌린 합리적 보수층과 민주당을 떠난 중도층일 가능성이 높다. NBS의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p다. 응답률은 16.5%였다. 두 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이벤트 효과가 약해지면서 부각되는 정쟁이 향후 여론의 흐름을 좌우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권에 유리한 국면은 아니다. 민주당이 내란전담재판부 설치와 대법관 증원, 재판 소원(4심제) 도입 등을 밀어붙일 경우 독주로 비쳐 중도층을 중심으로 적지 않은 역풍이 불 가능성이 높다. 대통령실이 여당의 강공에 선을 긋는 이유다.
leejc@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