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혁신의 강 [서울=뉴스핌] 박서영 기자 = 1년 만에 국회로 돌아왔다. 다시 출입하게 된 이곳에서 어떤 글을 써야 할까 고민하다, 몇 해 전 썼던 기자수첩을 찾게 됐다. 2023년 11월, '혁신위는 시끄러워야 성공한다'는 글이 눈에 띄었다. 당시 김기현 대표 체제에서 탄생한 '인요한 혁신위'가 끊임없이 싸우고 부딪히길 바란다는 출입기자로서의 바람이 담겨있었다. 용퇴론 압박에 버티기로 맞대응 중인 지도부의 결단이 필요하다고도 지적했다. 바람이 무색하게도 인요한 혁신위는 김기현 지도부 벽에 부딪히며 50여일 만에 해산했다. 2025년. 그로부터 두 해가 넘어갔지만 국민의힘은 여전히 '혁신'의 강을 건너지 못했다. 대선 참패 이후 고강도 쇄신을 예고하며 '김용태 비대위'를 내세우 25-07-09 13:42
일등주의 부추기는 교육예능들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병폐 중 하나는 '일등주의'다. 모두가 일등을 향해 미친 듯이 달려가고, 일등이 아니면 곧 죽음인 사회를 만들어간다. 특히 교육에 있어서는 어느 누구도 일등을 양보할 수 없다면서 달려든다. 부모도 학생도 일등에 목숨을 걸다보니 모든 것이 일등에 초점이 맞춰진다. 급기야는 서울대를 10개 만들겠다고 주장해온 교육자가 교육부장관에 지명되기도 했다. 그 실효성이야 두 번째로 하더라도 모두가 불가능한 주장이라는걸 알고 있다. 뒤집어 말하면 서울대를 없애겠다는 얘기인데 그게 과연 단기간에 가능할까 싶다. 25-07-09 09:26
[오동룡의 밀리터리 인사이드] '포세이돈'과 '모하비'의 '합동 해상 감시' 성사될까 [서울=뉴스핌] 오동룡 군사방산전문기자 = 지난 5월 말 해군 소속 P-3CK 해상초계기의 추락사고로 대북 경계·감시에 일부 공백이 초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사고로 인해 해당 기종 모두 '특별안전점검'을 이유로 현재 운항이 중단된 상태다. 해상 작전 공백을 메우기 위해 미군 초계기를 지원받아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합동참모본부는 지난달 2일 초계기 운항 중단에 따른 해상 작전 대비태세 공백 우려에 대해 "우리 군은 함정 및 해상작전헬기 등 대체 전력을 운용해 초계를 강화하고 있다"면서 "추가로 인도태평양사령부의 미군 초계기 지원에 대해서도 한·미 군 당국이 협의하고 있다"고 했다. 25-07-09 07:14
[거인의어깨 입시컨설팅] 2026학년도 한국외대 수시등급 '거인의어깨'는 교육 1번지 대치동에서 25년째 입시컨설팅 활동을 하고 있는 입시컨설팅 전문회사입니다. 25년간의 축적된 데이터와 다양한 입시경험을 통해 뉴스핌에 연재하는 '거인의어깨 입시컨설팅'은 김형일대표가 전국 수험생 및 그 학부모님들을 위해 올바른 입시전략을 제시하는 입시칼럼입니다. 한국외대는 올해 수시에서 학생부교과전형 '학교장추천' (서울캠) 205명, (글로벌캠) 175명, 학생부종합전형 '면접형' (서울캠) 230명, (글로벌캠) 245명, '서류형' (서울캠) 266명, (글로벌캠) 273명, 'SW인재' (글로벌캠) 34명, &apos 25-07-09 07:00
[기고] "학교 검진에서 혈뇨·단백뇨, 그냥 지나치면 안 됩니다" 우리 아이들이 학교 건강검진에서 '혈뇨'나 '단백뇨' 소견을 받았을 때, 많은 부모님들께서 "아이가 멀쩡해 보이는데 정말 병원에 가야 할까?"라는 고민을 하십니다. 그러나 저는 현장에서 수많은 소아청소년 환자들을 진료하며, 이러한 작은 신호를 놓쳤다가 뒤늦게 심각한 신장 질환으로 이어지는 안타까운 사례들을 자주 접하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소아신장 전문의가 턱없이 부족해 조기 진단과 치료의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는 현실에 깊은 우려를 느끼고 있습니다. 학교 건강검진에서 발견되는 혈뇨와 단백뇨가 결코 가볍게 넘길 문제가 아니라는 점, 그리고 조기에 적극적으로 대처해야만 우리 아이들의 콩팥 건강과 미래를 지킬 수 있다는 사실을 모든 학부모님께 알리고자 합니다. 이에 혈뇨&midd 25-07-09 06:30
[기자수첩] 트럼프의 '8월 관세 경고장'… 동맹부터 겨눴다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귀국이 지금껏 닫아두었던 무역 시장을 미국에 개방하고, 관세 및 비관세 정책과 무역 장벽을 철폐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아마도 이 서한의 조정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앞으로 전달된 이 문장은 협상 안내문이라기보다는 사실상 최후통첩에 가깝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과 일본에 오는 8월 1일부터 25%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서한을 보내며, 이렇게 통보했다. 25-07-08 15:15
[현장에서] 당정, 물가 잡기·코스피 5000 달성…두마리 토끼 쫓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정부가 업계 등과 긴밀히 소통해 가공식품 가격 인상률 최소화 등 소비자 부담 경감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을 요청했다" 지난 6일 오후 고위당정협의회가 열린 후 집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민주당) 박상혁 수석대변인이 브리핑에서 한 말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라면 값 2000원'을 언급하는 등 생활물가 상승세가 심상치 않자 민주당은 물가대책 TF(태스크 포스)를 꾸리고 정부와 물가 잡기에 나섰다. 25-07-08 09:50
[기고] "같이 배우는 학교는 어디에"...특수교육발전계획, 중간점검 필요 2024년 개정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은 분명히 말한다. 장애학생도 통합교육 환경에서 생애주기별 맞춤형 교육을 받아야 하며, 이를 통해 자아실현과 사회통합에 이바지해야 한다고. 「장애아동복지법」 역시 조기 발견과 개입, 발달재활, 보조기기 제공, 가족지원 등 지속적이고 통합적인 지원체계를 강조한다. 교육부의 제6차 특수교육발전계획(2023~2027)은 한걸음 더 나아가, 장애 유형과 정도에 맞는 맞춤형 특수교육을 실현하고, 통합교육 환경 조성 및 진로·직업교육 강화를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 하지만 우리가 마주한 교육 현장의 풍경은 이러한 선언과는 여전히 거리감이 있다. 특수학교는 '학교'로서의 학력조차 온전히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25-07-08 08:25
[기고] 정보 혼란 시대에 필요한 정보 검증의 기술 유튜브에 올라온 건강 정보, 얼마나 믿을 수 있을까? 언젠가부터 유튜브 알고리즘에 건강정보가 이어지고 있다. 갱년기, 고지혈증, 어깨통증, 다이어트 같은 키워드로 영상을 몇 개 찾아봤던 탓이다. 병원 공식채널부터 의사, 약사, 한의사, 트레이너, 물리치료사 같은 관련분야 종사자들이 올린 콘텐츠가 꼬리에 꼬리를 문다. 뭐 하나 관심 보이기 무서운 시대다. 최근엔 "40년경력의 내과의 입니다." "3대째 약국을 운영하는 약사입니다." "퇴직한 의대교수 입니다." 로 시작하는 AI 딥 페이크 건강 영상이 자주 눈에 띈다. 점잖은 얼굴과 나즈막한 목소리로 뇌졸중 전조증상, 당뇨 전 단계 증상 같은 심각한 주제부터 올리브 오일이나 우유 등을 먹는 게 좋은 지 25-07-07 08:18
[기자수첩] 李 높은 지지율, 개혁의 무게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이재명 정부의 출발이 뜨겁다. 한국갤럽이 지난 4일 공개한 여론조사 결과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무려 65%로 1주 전보다 1%포인트(p) 더 올랐다. 더불어민주당 지지도도 지난달 30일 처음으로 50%를 넘겼다. 새 정부 허니문이 한 달 넘게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높이 솟아오르는 지지율만큼 두려운 건 없다. 사람들의 기대가 높다는 건 지지를 받는 이의 어깨가 무겁다는 의미다. 국민 10명 중 6명의 지지를 받은 만큼 이재명 정부는 그동안 낡은 상태로 방치된 사회 구조를 뒤집어야 한다. 근로소득세 개혁이 대표적이다. 25-07-07 0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