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등 AI주 상승
미 의회 셧다운 협상 주목…고용 지표 발표 지연 가능성
대마 관련주, 트럼프 발언에 상승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미국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가 29일(현지시간)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최근 주가 하락 이후 인공지능(AI) 테마주에 저가 매수세가 몰리면서 주식시장은 상승 흐름을 보였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8.78포인트(0.15%) 오른 4만6316.07에 마쳤고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7.51포인트(0.26%) 전진한 6661.21을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107.09포인트(0.48%) 상승한 2만2591.15로 집계됐다.
지난주 주식시장이 약세를 보인 후 투자자들은 낙폭이 컸던 AI 관련주를 적극적으로 매수했다. 전 세계적인 AI 물결과 이에 따른 투자 스토리가 여전히 관련 기업의 실적을 지지할 것이라는 믿음은 이날 관련주를 띄웠다.
투자자들은 미 연방정부의 셧다운(부분 업무 일시 중지) 발생 가능성에도 주목하고 있다. 미 의회가 30일까지 임시 예산안에 합의하지 못하면 연방 정부는 10월 1일부터 셧다운에 돌입하게 된다.
이날 미 노동부는 셧다운 사태가 일어나면 내달 3일로 예정된 9월 고용 보고서가 발표되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로이터통신은 소식통은 인용해 미 상원 민주당 의원들이 셧다운을 피하기 위해 7~10일짜리 단기 예산안을 포함해 여러 대안을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다음 달 말로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의 금리 결정에 결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되는 9월 고용 지표의 발표가 지연된다면 월가에서도 적잖은 혼란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날 공개 발언에 나선 연방준비제도(Fed) 위원들은 추가 기준금리 인하에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기업들이 흡수해 온 관세발 인플레이션이 소비자에게 전가될 위험을 언급하며 통화정책을 제한적으로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알베르토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도 연준이 향후 금리 인하에 신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윌리엄스 총재는 "위험의 균형이 재조정된 상황"이라며 "인플레이션이 가장 큰 위험이던 상태에서 이제는 고용과 인플레이션 양쪽 모두의 위험이 서로 비슷한 수준으로 가까워졌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이 때문에 금리를 조금 낮춰서 정책의 제약성을 일부 완화하는 것이 타당했다"고 설명했다.
엔비디아는 2.07% 상승했으며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스(AMD)도 1.19% 올랐다.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도 4.22% 상승했다.
터틀 캐피털 매니지먼트의 매슈 터틀 최고경영자(CEO)는 "저가 매수 세력이 시장에서 보상을 받는다"며 "언젠가는 그렇지 않을 날이 있겠지만 그것이 입증될 때까지는 하락 시마다 매수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 |
뉴욕 금융가 월스트리트를 가리키는 도로 표지판 [사진=로이터 뉴스핌] |
바클레이스의 베누 크리시나 주식 전략 책임자는 AI 산업에 대한 자본 투자가 여전히 시장을 띄운다고 분석했다. 크리시나 책임자는 "AI 투자 스토리는 둔화의 조짐이 없다"며 "게다가 다른 산업도 AI 인프라 지출의 물결로 수혜를 누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같은 쏠림은 주의해야 하지만 AI가 세계 성장의 중요한 지점으로 모멘텀을 얻으면서 S&P500은 기술업종이 섞여 있다는 것을 생각했을 때 다른 지수보다 좋은 입지에 있다"고 강조했다.
반면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는 최근 인플레이션 위험이 줄고 고용시장 관련 위험이 커졌다고 평가했다.
슈왑의 캐시 존스 수석 채권 전략가는 "고용시장이 연준의 금리 인하 결정에 중요한 만큼 9월 고용 보고서 발표가 지연될 위험은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한 시장의 불안을 더 키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S&P500 업종별로 보면 유가 하락에 1.91% 내린 에너지업과 0.45% 밀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외한 9개 섹터가 상승했다. 기술업과 금융업은 각각 0.49%, 0.48% 올랐다.
기타 특징주를 보면 비디오 게임 회사 일렉트로닉 아츠(EA)는 차입매수(LBO)를 통해 회사를 상장 폐지한다고 밝히면서 4.50% 상승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에서 제작된 영화에 100%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히면서 일부 영화 제작사 주식은 약세를 보였다. 넷플릭스는 0.35% 하락했고, 워너브러더스 디스커버리도 3.31% 내렸다. 컴캐스트는 0.73% 밀렸다.
트럼프 대통령의 또 다른 발언으로 대마 관련주는 뚜렷한 강세를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마 성분이 고령층의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내용의 글을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올렸다.
캐노피 그로스와 틸레이 브랜즈는 각각 15.16%, 55.90% 상승했고 크로노스 그룹과 오로라 캐나비스도 각각 13.70%, 26.96% 상승했다.
오픈AI가 엣시, 쇼피파이와 협력을 통해 챗GPT 상 결제 기능인 '인스턴트 체크아웃'을 도입한다고 밝히면서 엣시는 15.83%, 쇼피파이는 6.24% 각각 상승했다.
'월가의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전장보다 5.43% 오른 16.12를 기록했다.
mj722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