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수 제주평화연구원 초빙 연구위원
베이다이허 회의 국제정치적 함의 분석
韓, 국제정치 '균형모색' 계기 될 수 있어
시 주석 체제 유지 '조정 과정' 시작 관측
한중·한반도 정책에 '긍정적 변화' 가능성
北에 일관되고 건설적인 제언 이뤄질 수도
경제정책 유연성, 韓 기업엔 새 시장 기회
여름철 베이다이허 해변은 겉보기엔 평화로운 휴양지일 뿐이다. 하지만 이곳에서 해마다 벌어지는 중국 공산당 고위층의 비공식 모임은 중국 정치의 깊숙한 속내를 드러내는 일종의 '정치적 풍향계'로 여겨져 왔다.
올해 2025년 베이다이허 회의에 대한 소문과 보도들은 단순한 인사 조정이나 경제 논의를 넘어 시진핑 시대의 새로운 변화가 오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최근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 모임에서 논의된 내용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권력 유지와 동시에 개인숭배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합의가 이뤄졌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더 안정적인 집단지도체제 '회귀 시그널'
![]() |
이상수 제주평화연구원 초빙연구위원(전 국방대 안보문제연구소 책임연구원) |
이는 지난 10여 년간 구축된 개인 지배체제가 더 안정적인 집단지도 모델로의 회귀를 모색하는 신호로 읽힌다.
덩샤오핑 시대의 유산이었던 집단지도체제는 여러 목소리가 정책 결정에 반영되며 안정성을 담보했다. 하지만 시 주석 집권 후 이 체제는 점차 약해졌고 권력이 한 사람에게 집중되면서 정책의 예측 불가능성이 커졌다는 평가다.
베이다이허에서 나온 것으로 알려진 합의사항은 이 흐름을 되돌리는 듯한 제안들로 관심이 높다. 예를 들어 ▲정치국 상무위원회의 재선출 ▲지도자 임기 10년 제한 ▲후임자 사전 선정 ▲주요 결정의 전체 투표 방식 복원 ▲당내 선거에서 자유 토론과 비밀 투표 도입 등이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러한 방안들은 왕양 같은 인물의 제안으로 거론되며, 권력 분산을 통해 체제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려는 시도로 보인다.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시 주석이 오는 2027년까지 권력을 유지하되 '개인숭배 억제'라는 조건이 붙었다는 점이다. 이는 단순한 형식적 조치가 아니다.
최근 군 고위층의 연쇄 숙청과 장유샤 같은 군벌의 부상은 시 주석의 군부 장악력이 약화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中, 국제사회와 대화창구 더 열릴 여지
무소불위의 권력은 주변의 충언을 사라지게 하고 오판을 부를 수 있다. 베이다이허의 이 합의는 중국 지도부가 스스로 이러한 위험을 인지하고 권력의 균형을 되찾으려는 자구책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만약 소문들이 사실이라면 이는 '1인 지배'의 화려한 막이 내리고 더 현실적인 정치 실험이 시작되는 순간일지도 모른다.
이러한 변화의 파장은 중국 국경을 넘어 국제정치 지형을 흔들 수 있다.
첫째, 서방 세계 입장에서 보자. 시 주석 한 사람의 결정에 좌우되던 중국의 대외 정책은 종종 급변하는 방향으로 인해 불안 요소도 있었다.
집단지도체제가 부분적으로 복원된다면 정책 과정에 더 다양한 의견이 반영돼 예측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물론 이는 즉각적인 유연성으로 이어지지 않을 테지만 적어도 '독단적 결정'의 리스크가 줄어든다면 국제 사회와의 대화 창구가 조금 더 열릴 여지가 생긴다.
최근 베이다이허 모임에서 과학자와 혁신가들이 대거 초대된 점도 경제 우선주의와 기술 자립을 강조하는 중국의 방향성을 보여주며 미중 무역 전쟁 같은 이슈에서 새로운 협상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남북관계·한국기업에 '긍정적 영향' 전망
둘째, 한국에는 이 변화가 더욱 직접적이다. 중국은 북핵 문제의 핵심 플레이어이며 한국 경제의 주요 파트너다. 시진핑 체제 아래에서 다소 경직됐던 한중관계가 내부 안정 우선으로 전환된다면 한반도 정책에도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
북한에 대한 더 일관되고 건설적으로 제언이 이뤄질 수 있다. 경제정책의 유연성은 한국 기업들에 새로운 시장 기회를 열어줄 수 있다. 반대로 만약 권력 투쟁이 격화된다면 불확실성이 커질 테니 한국은 이 '풍향계'를 예의 주시해야 한다.
셋째, 대만 문제다. 시 주석은 대만 통일을 자신의 유산으로 삼으려 했다. 하지만 군부 안에서 무력 합병의 승산이 낮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군 숙청으로 인해 무력 시도의 가능성을 불투명하게 만든다. 이는 대만 해협의 긴장 완화로 이어질 수 있다. 동시에 중국 내부의 불안정이 외부로 표출될 위험도 있다.
베이다이허 회의는 중국 정치의 본질을 상기시켜 준다. 권력은 물처럼 흐르는 것이지 영원히 고정된 것이 아니다.
이번 모임은 시진핑 시대의 한계를 인정하고 체제 유지를 위한 조정 과정을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이 변화를 단순한 소문으로 치부하지 말고 국제정치의 새로운 균형을 모색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 외부 필진 기고는 본사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