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청동 한옥 진현재, 작가 홍광현 초대전 개최
대표작 '어제도 오늘도…' 등 20여 점 출품
전통서예 기반하되 현대적 미감 살린 작품
[서울=뉴스핌]이영란 편집위원/미술전문기자=서울 종로구 북촌길에 위치한 고즈넉한 한옥 '진현재'(대표 최현미)에서 홍광현(b.1960) 작가가 초대전을 갖고 있다.
![]() |
| [서울=뉴스핌]이영란 미술전문기자=북촌 한옥갤러리 진현재에서 개막한 홍광현 개인전에 출품된 작품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2025. 종이에 먹, 68×69cm. 2025.10.17 art29@newspim.com |
아티스트 홍광현은 오랜 시간 전통서예와 현대회화를 넘나들며 독자적인 예술세계를 탐구해왔다. 이번 진현재 초대전에는 글씨와 그림의 경계를 허물고, 세련된 조형세계를 구축 중인 작가의 대표작들과 회화 작업 등 다양한 작품들이 출품됐다.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산업디자인과와 미국 캘리포니아의 디자인대학교인 패서디나 ACCD를 졸업한 홍광현 작가는 현대자동차와 삼성자동차에서 디자이너로 활동하기도 했다. 자동차 디자인 등과는 별개로 순수미술에 대한 오랜 열정으로 다양한 작업을 전개해오고 있다.
홍광현은 특히 '먹'이라는 전통 소재에 매료돼 그 안에 담긴 침잠하는 듯한 컬러와 깊이를 표현하고자 10년 넘게 서예를 수련해왔다. 해서·행서·초서·예서·전서 등 서예필법 오체를 모두 공부하고 연구해온 그는 대한민국 미술대전 서예 부문에서 여러 차례 입상하기도 했다.
![]() |
| [서울=뉴스핌]이영란 미술전문기자=홍광현(1960~ ) '상상'. 2020. 종이 위에 먹, 61×34cm. 2025. 10.16 2025.10.17 art29@newspim.com |
이번 진현재 초대전에 나온 작품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는 작가의 대표작으로, 화폭 전체에 굵고 힘찬 필획으로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이 삼단 양식으로 표현됐다. 어제는 다소 옅은 농담으로, 오늘은 가장 굵고 진한 농담으로 쓰여졌고, 살짝 여백을 준 뒤 써내려간 내일은 희망을 품은 듯 길게 필획이 화폭 바깥으로 뻗어나가고 있다.
인간 존재의 과거와 현재, 미래가 한 화폭 속에서 조화롭게 어우러지며 시간성을 탐구한 이 작품은 서예인 동시에 회화성도 지니고 있어 또다른 현대미술로 다가온다.
![]() |
| [서울=뉴스핌] 홍광현(1960~ ) '다이너마이트', 2024. 종이에 먹, 146×132cm [사진=이영란 미술전문기자] 2025.10.162025.10.17 art29@newspim.com |
작가는 "글씨가 곧 그림이고, 그림이 곧 글씨다"라는 생각으로 작업을 이어왔다. 홍광현은 전통 서예를 창작의 기반으로 하되, 서예의 고답적인 틀 안에 머무르지 않고 혁신적인 현대 조형예술을 창출해내고 있다. 먹의 깊이와 색감을 탐구하며 자신만의 독창적인 조형언어를 구축해온 것.
멈추지 않는 실험정신으로 완성된 그의 작품은 전통과 현대, 문자와 회화 사이에서 새로운 감각과 미감을 제안한다. 그에따라 작업들은 동시대성과 세계성을 드러내며 우리에게 현대 서예의 폭넓은 스펙트럼과 변주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 |
| [서울=뉴스핌]이영란 편집위원/미술전문기자=북촌 한옥갤러리 진현재 담장에 전시된 홍광현(1960~ ) 작 '한산'. 2025. 종이에 먹. 138×275cm. 2025.10.17 art29@newspim.com |
삼청동 언덕길에 위치한 진현재의 창문 너머로 인왕산이 보이는 가운데 걸린 홍광현의 현대서예 작품 '서·화' 연작은 겸재 정선의 걸작 '인왕재색도'를 떠올리며 감상하면 또다른 멋을 느낄 수 있을 듯하다.
또 대청마루에 걸린 작품 '다이너마이트'는 한국을 대표하는 뮤지션인 BTS의 히트곡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했다. 네 폭의 한지에 간결한 필치로 '다이너마이트'라는 글씨를 반복적으로 써내려가 현대적인 작품으로 구현했다. 조용한 삼청동 한옥 공간에서 펼쳐지는 홍광현 작가의 개인전은 10월 31일까지 계속된다. 무료관람.
![]() |
| [서울=뉴스핌] 2023년부터 서울 북촌의 한옥갤러리 '진현재'를 운영 중인 최현미 대표. 최 대표는 "진현재를 삼청동 한옥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전통과 현대를 잇고, 우리와 세계를 잇는 작지만 알찬 문화예술 플랫폼으로 가꿔가겠다"고 밝혔다. [사진=이영란 미술전문기자] 2025.11.04 art29@newspim.com |
◆한옥갤러리 '진현재'는 어떤 공간?=서울 종로구 삼청동 언덕길에 위치한 전통한옥으로 1940년대 도서출판 현암사의 법전 초판을 펴내던 곳으로 출발했다. 이후 한국 전통염색과 전통매듭 연구공간으로 오랫동안 활용돼왔다. 지난 2023년부터 최현미 대표가 전통한식을 배우는 K푸드 클래스와 한국전통문화 굿즈(패브릭·도자기·유리공예·유기) 전시장 등으로 운영하고 있다. 또 순수미술 전시회와 공연 프로그램도 개최하며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 중이다. 최현미 진현재 대표는 "삼청동 한옥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전통과 현대를 잇고, 우리와 세계를 잇는 문화예술 플랫폼으로 가꿔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