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럼 서기장 방한…정상회담 뒤 만찬 예정
[서울=뉴스핌] 박찬제 기자 = 대통령실은 11일 이재명 대통령과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의 정상회담을 통해 2030년까지 1년 교역규모 1500억 달러(208조원) 달성을 위해 서로 노력해 나가겠다고 합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이날 오전 언론에 자료를 내고 이번 한·베 정상회담의 핵심 성과 중 하나로 교역·투자와 대규모 인프라 등 호혜적 실질 협력 심화를 꼽았다.
특히 이번 한-베 정상회담에서는 ▲과학기술 협력 ▲저작권·저작인접권 분야 교류 ▲재생에너지 협력 ▲인력 송출·도입 ▲중앙은행 간 협력 ▲금융감독 당국 간 협력 ▲교육 협력 보충약정 ▲수산 협력 ▲원전 인력 양성 ▲평택시-다낭시 교류 등 10건의 양해각서(MOU)가 체결될 예정이다.
![]() |
이재명(오른쪽) 대통령이 1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빈으로 방한한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KTV] |
대통령실은 "올해는 한-베 FTA(자유무역협정) 발효 10주년"이라며 "양국은 교역·투자 확대를 위한 한-베 FTA의 기여 평가와 동 FTA를 지속 발전시켜 나가자는 데 공감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기준 867억 달러(120조원)의 교역 규모를 2030년까지 1500억 달러 규모로 키워나가는데 합의할 예정이다.
두 나라 정상은 회담 뒤 '한-베트남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심화를 위한 공동성명'을 채택한다. 대통령실은 럼 서기장의 이번 방한을 통해 베트남 측이 자국의 신도시와 고속철도, 원전 등 대규모 인프라 사업 관련 한국 기업의 참여를 위한 우호적 환경을 조성할 것을 논의한다.
베트남 측은 자국 내 약 1만개의 한국 기업의 원활한 기업 활동을 위해 투명하고 안정적인 투자환경을 조성하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하기로 밝힐 예정이다. 상대국 내 자국 국민의 안정적 체류와 복리 증진을 위한 협력 강화와 재외동포 분야 정책 공유·협력 확대도 추진할 방침이다.
한-베 양국은 첨단·과학기술과 에너지, 공급망 분야에서도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로 합의할 예정이다. 한-베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통한 협력 확대 기회 모색과 인공지능(AI), 반도체, 바이오 등 분야 공동 연구와 인력양성 교류도 추진할 것으로 전해졌다. 베트남 과학기술연구원의 역할 강화와 역량 증진에도 힘 쓴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두 나라는 석유·가스 탐사와 개발,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전력망 확충과 스마트그리드 개발 관련 협력도 강화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핵심 광물의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을 위한 협력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은 이번 한-베 정상회담이 "한국 국익 중심 실용 외교의 본격 이행 신호탄"이라고 의미를 설명했다.
대통령실은 "럼 서기장은 이재명 정부 출범 후 67일 만의 첫 외빈이며 국빈"이라며 "2014년 이후 11년 만의 베트남 당서기장의 방한을 통해 아세안 내 한국의 핵심 협력국인 베트남과 전략적·미래지향적 협력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주요 지역과 국제 문제와 관련해 베트남과 소통·공조 강화를 이루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정상회담 후 저녁에는 청와대 영빈관에서 럼 서기장 내외를 위한 국빈 만찬을 연다. 만찬에는 박항서 전 베트남 축구대표팀 감독과 한-베 다문화가정 구성원, 양국 기업인과 문화계 인사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pcja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