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위협 '독립된 안보 분야'로...안보 차원 협력
사이버 안보 정책동향·대응체계 공유, 협력방안 논의
[서울=뉴스핌] 유신모 외교전문기자 = 외교부는 20일 서울 세종로 외교부 청사에서 제7차 한-유럽연합(EU) 사이버정책협의회를 열고 국제 안보 영역에서 독립된 분야로 자리 잡은 사이버 안보 분야에서의 지속적인 협력 증진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한-EU의 사이버정책협의회가 재개된 것은 지난 2020년 코로나 팬데믹 기간에 6차 회의가 화상으로 열린 이후 5년 만이다. 이번 회의에는 윤종권 외교부 국제안보국장과 마치에이 스타데예크 EU 대외관계청 안보방위정책국장이 각각 양측 수석대표로 참석했다. 국정원 국가사이버안보센터(NCSC), 대검찰청, 경찰청,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유럽연합 대외관계청(EEAS) 및 집행위원회(EC) 등 관계기관도 참석했다.
![]() |
20일 서울 세종로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제7차 한-유럽연합(EU) 시아버정책협의회에 앞서 양측 수석대표인 윤종권 외교부 국제안보국장과 마치에이 스타데예크 EU 대외관계청 안보방위정책국장이 악수를 나누고 있다. [사진=외교부] 2025.05.20 |
양측은 이날 사이버안보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사이버안보 정책 동향 및 대응 체계를 공유하고, 한-EU 안보·방위 파트너십에 입각한 사이버 분야에서의 지속적인 협력 증진 방안을 논의했다.
양측은 또 국경을 초월한 사이버 범죄의 특성상 신속한 정보 공유 등 국제 수사 공조와 역내 국가의 사이버 역량 강화 지원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특히 북한의 가상화폐 탈취 등을 비롯한 주요 행위자별 사이버 위협 유형을 포함해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사이버 위협 환경에 대한 분석과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긴밀한 협력의 필요성에 공감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양측은 이어 평화롭고 안전하고 개방된 사이버 공간 질서를 구축하기 위해 역내 국가들의 사이버 역량 강화 노력을 지원할 필요성에 대해 공감했으며, 양측이 시행 중인 사이버 역량 강화 사업 현황을 공유하며 협력 방향을 모색했다. 또 사이버정책협의회를 사이버안보 분야를 포괄적으로 논의하는 협의의 장으로 발전시키기로 했다.
opent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