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스페셜 리뷰] 지역난방공사 황창화 사장, 2년 연속 흑자 달성…적자기업 정상화

기사입력 : 2022년04월27일 06:38

최종수정 : 2022년04월27일 06:41

고유가 악재에도 작년 당기순이익 215억
청렴도 성적 개선에 2021년 전망도 '맑음'
2050년 '넷 제로' 목표… ESG 경영 박차

[세종=뉴스핌] 임은석 기자 = 황창화 한국지역난방공사 사장이 3년의 임기 후 1년 연임에 성공하면서 임기 4년차를 보내고 있다. 지난 2018년 10월 취임 이후 2년 연속 영업 적자를 기록했지만 2020년 영업 흑자로 전환한 뒤 2년 연속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열에너지 생산을 위한 주 원료인 액화천연가스(LNG) 가격 급등으로 지난해 영업이익은 2020년 대비 약 84% 감소했다. 하지만 전력 부분의 매출량 증가와 매출단가(SMP) 상승으로 1년 전보다 약 21% 늘어나면서 당기순이익을 실현했고 주주들에게 배당도 지급했다.

경영실적 개선과 맞물려 경영평가 성적도 준수하다. 취임 첫 해인 2018년 C등급(보통)을 받았지만 이듬해 B(양호)등급으로 한 계단 높은 성적을 기록했다. 지난해에도 흑자 전환 등에 따라 B등급을 받았다. 황창화 사장 3년 간의 경영성적표와 임기 마지막 해의 과제를 짚어봤다.

◆ 작년 당기순이익 215억원…고유가 악재에도 2년 연속 흑자 '달성'

황창화 취임 첫 해 경영성적표는 처참했다. 2018년 지역난방공사는 2265억원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지역주민과의갈등으로 나주 열병합발전소 운영이 어려워지면서 자산손상 2419억원, 고형폐기물 연료 손상 48억원 등 총 2467억원의 대규모 손상차손 손상차손(자산가치 하락을 손실로 반영)이 발생한 영향이 컸다

2019년도에도 적자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그해 겨울철 기온이 평상시보다 높아 열 판매 매출액이 5% 가량 줄었고 국내 전력수요 감소 등으로 인해 전력매출이 9% 가량 줄었기 때문이다. 또한 직전 년도와 마찬가지로 나주 열병합발전소 사업 자산손상 추가 발생 등으로 당기순손실이 256억원 발생했다. 다만 손실규모는 전년대비 2009억원이 줄어들었다.

지역난방공사의 경영실적은 황 사장의 실질적 취임 2년차인 2020년 흑자로 전환했다. 세대수 증가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코로나19)' 영향으로 집에 있는 사람이 늘면서 열 판매 매출액이 전년대비 6% 가량 늘었다. 국제유가 하락으로 재료비가 줄면서 전년대비 영업이익이 899억원 늘어난 1309억원을 기록하고, 당기순이익도 279억원을 기록해 흑자로 전환됐다.

지난해에도 흑자기조를 이어가며 2년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 유가 급등에 따른 대외 악재에도 불구하고 215억원 당기순이익을 시현했다.

국제유가 상승으로 주 원료인 LNG 가격이 폭등하면서 영업이익은 2020년 대비 약 84% 줄었지만 전력부분의 매출량 증가와 매출단가 상승으로 매출액이 1년 전보다 약 21% 증가한게 영향을 미쳤다. 2년 연속 좋은 실적을 거두면서 올해 주당 797원(배당성향 43%)을 배당하기도 했다.

◆ 경영평가도 2년 연속 B등급…청렴도 성적 개선에 2021년 전망도 '맑음'

황 사장 취임 첫해인 2018년 지역난방공사의 경영평가 성적은 C등급이었다. 실질적으로 황 사장이 공사를 이끈 기간은 2개월 밖되지 않아 전임 사장이 받아든 성적표나 다름 없다.

황 사장이 본격적으로 공사를 이끌기 시간작 2019년 경영평가 성적은 B등급으로 전년대비 1계단 상승한데 이어 2020년 경영평가에서도 B등급을 획득했다.

그는 취임 후 정부가 강조하고 있는 사회적 가치 실현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했다. 특히 취임 2개월 만에 경기도 고양시 지하철 3호선 백석역 인근에서 발생한 지역난방공사의 열 수송 온수배관 폭발사고 경험을 바탕으로 국민 중심의 '안전을 최우선하는 경영방침'을 세웠다.

핵심 가치를 상생·혁신·소통·안전으로 재설정하고 조직 구성원 모두가 핵심가치 내재화와 실행에 하는데 힘을 쏟도록했다. 그 결과 드론·사물인터넷(IoT)·진단로본 등 4차 산업기술을 활용한 열수송관 안전진단 방법 고도화와 다양한 소통채널 운영을 통한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완료하기도 했다.

올해도 좋은 경영평가 성적이 기대된다. 그동안 하위등급에 머무르면서 체면을 구겼던 청렴도평가 등급을 만회하는 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지역난방공사는 지난 1월 국민권익위원회가 주관하는 2021년도 공공기관 부패방지시책평가에서 최우수 등급인 1등급을 받았다. 2020년도보다 한 단계 상승한 결과다.

지역난방공사 관계자는 "2019년 경영평가 대부분의 평가지표에서 B등급을 받았지만 윤리경영 지표에서 D등급을 받으면서 체면을 구겼다"며 "2년 연속 경영실적 흑자를 기록한데다 청렴도평가도 좋은 성적을 받은 만큼 좋은 경영평가 성적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 '탄소경영 체제 전환', 2050년 '넷 제로' 달성… ESG 경영에도 박차

황 사장 임기 마지막해 지역난방공사는 지난해 창립 36주년을 맞아 선포한 탄소경영 체제로의 전환에 전사적 역량을 집중한다. 무탄소 열원 개체·탄소배출 저감 수단 적용 등을 통해 오는 2050년 넷-제로(Net-Zero)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황창화 한국지역난방공사 사장이 탄소경영 선포식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지역난방공사] 2022.04.26 fedor01@newspim.com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서 '탄소경영위원회'를 구성하고 기술개발·정책대응·그린뉴딜·경영체계·협력 등 5개 '실행분과'를 운영하기로 했다. 경영관리 11개 과제와 사업 밸류체인 9개 과제 등 총 20개의 중점과제와 30개 실천과제의 주기적인 실적 점검과 대외 공시를 통해 체계적인 성과관리를 병행할 계획이다.

Net-Zero 달성의 주요 방안으로 열병합발전 설비에 대해 2050년 이전 수명이 만료하는 설비는 수소터빈으로 개체하고 2050년 이후에도 가동되는 일부 설비는 온실가스 포집·저장·활용기술(CCUS)을 적용하기로 했다.

보일러 설비는 신재생 잉여전력 활용을 통해 난방을 공급하는 P2H(Power to Heat) 설비를 설치해 탄소배출을 줄이고 전력계통 안정성 확보를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미활용 열에너지의 이용과 폐비닐·폐플라스틱 등 폐자원, 하·폐수 처리장의 바이오가스를 활용하는 사업을 추진해 국가 온실가스를 감축에 기여하고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아울러 ESG 경영전략을 도출해 ESG 경영에도 박차를 가한다. '환경과 사람을 향하는 ESG 리더'라는 비전으로 부문별 3대 전략목표, 12개의 전략과제를 설정하고 76개의 세부 추진과제를 마련해 ESG 경영 계획을 구체화 했다.

지역난방공사 관계자는 "탄소경영 체제 구축을 통해 열·전기생산을 위한 설비운영 단계뿐만 아니라 경영관리와 사업 전체 벨류체인에서 탄소중립을 구현할 계획"이라며 "ESG 경영 내재화와 확산을 위한 실천 활동의 일환으로 '노사 공동 ESG 경영'을 선언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fedor01@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한덕수, 대선 출마 여부에 "노코멘트"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에 대해 "맞대응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 대행은 20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양측이 모두 윈-윈(win-win)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한국을 지금의 모습으로 만드는 데는 미국의 역할이 매우 컸다"며 "한국전쟁 이후 미국은 원조, 기술이전, 투자, 안전 보장을 제공했다. 이는 한국을 외국인에게 매우 편안한 투자 환경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 대행은 미국과의 통상 협상에서 한국의 대미 무역 흑자 축소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 2025.03.24.gdlee@newspim.com 한 대행은 "협상에서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와 상업용 항공기 구매 등을 포함해 대미 무역 흑자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며 "조선업 협력 증진도 미국이 동맹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FT는 "비관세 장벽을 낮추는 방안도 논의될 수 있다"고 한 대행이 언급했다고 전했다. 한 대행은 협상 과정에서 "일부 산업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면서도, 양국 간 무역의 자유가 확대되면 "한국인의 이익도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FT는 방위비 분담금 재협상 여부에 대해서는 사안에 따라 재협상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했다고 전했다. 한편, 한 대행은 6·3 대통령선거 출마 여부에 대해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며 "노코멘트"라고 답했다. nylee54@newspim.com 2025-04-20 13:43
사진
호미들 중국 한한령 어떻게 뚫었나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중국의 '한한령'(限韓令, 중국의 한류 제한령)이 해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나라 가수가 중국에서 공연을 한 사실이 알려지며 그 배경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18일 베이징 현지 업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3인조 래퍼 '호미들'이 지난 12일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시에서 공연을 펼쳤다. 반응은 상당히 뜨거웠다. 중국인 관객들은 공연장에서 호미들의 노래를 따라 부르기도 하고, 음악에 맞춰 분위기를 만끽했다. 공연장 영상은 중국의 SNS에서도 퍼져나가며 관심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 국적 가수의 공연은 중국에서 8년 동안 성사되지 못했다.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BTS도 중국 무대에 서지 못했다. 때문에 호미들의 공연이 중국 한한령 해제의 신호탄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호미들 공연이 성사된 데 대해 중국 베이징 현지 문화콘텐츠 업계 관계자들은 공연이 소규모였다는 점과 공연이 성사된 도시가 우한이었다는 두 가지 요인을 지목했다. 호미들이 공연한 우한의 우한칸젠잔옌중신(武漢看見展演中心)은 소규모 공연장이다. 호미들의 공연에도 약 600여 명의 관객이 입장한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에서 800명 이하 공연장에서의 공연은 정식 문화공연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된다. 중국에서는 공연 규모와 파급력에 따라 성(省) 지방정부 혹은 시정부가 공연을 허가한다. 지방정부가 허가 여부를 판단하지 못할 경우 중앙정부에 허가 판단을 요청한다. 한한령 상황에서 우리나라 가수의 문화공연은 사실상 금지된 상황이었다. 호미들의 공연은 '마니하숴러(馬尼哈梭樂)'라는 이름의 중국 공연기획사가 준비했다. 이 기획사는 공연허가가 아닌 청년교류 허가를 받아서 공연을 성사시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와 함께 우한시의 개방적인 분위기도 공연 성사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우한에는 대학이 밀집해 있으며 청년 인구 비중이 높다. 때문에 우한에는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높다. 게다가 젊은 층이 많은 만큼 우한에서는 실험적인 정책이 시행되어 왔다. 우한시는 중국에서는 최초로 시 전역에서 무인택시를 운영하게끔 허가하기도 했다. 리스크를 감수하면서 파격적인 정책이 발표되는 우한인 만큼, 한한령 상황임에도 호미들의 공연이 성사됐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베이징의 한 문화업체 관계자는 "우한시가 개방적이라는 점에도 불구하고, 호미들의 공연은 소극적인 홍보 활동만이 펼쳐지는 한계를 보였다"며 "공연기획사 역시 한한령 상황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현지 문화콘텐츠 업체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한국의 최정상급 가수가 대규모 콘서트를 개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어서 빨리 한한령이 해제되기를 기대하고 있지만, 한한령이 해제될 것이라는 시그널은 아직 중국 내에서 감지되고 있지 않다"고 언급했다. 호미들의 중국 우한 공연 모습 [사진=더우인 캡처] ys1744@newspim.com 2025-04-18 13:1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