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미국·북미

속보

더보기

코로나19 팬데믹에 바이오테크 IPO, 최고 기록 경신

기사입력 : 2020년08월11일 09:05

최종수정 : 2020년08월11일 09:05

바이오테크 첫 거래일 평균 34% 상승, IT붐 이후 최고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 올해 코로나19(COVID-19) 팬데믹(pandemic·세계적 대유행) 기간 동안의 바이오테크 기업 미국 주식공개상장(IPO) 규모가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1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시장조사업체 딜로직(Dealogic)을 인용, 1995년부터 미국 증시 상장 규모 집계 자료에 따르면 이미 올해 들어 IPO 규모는 약 94억달러(11조2000억원)로, 지난 2018년의 연간 65억달러 기록을 훌쩍 넘어섰다.

◆ 바이오테크로 투자 쏠림, IT붐 이후 최대

코로나19 백신 일러스트 [사진=로이터 뉴스핌]

올해 신규 상장 바이오테크 주가는 첫 거래일에 평균 34% 상승해 거래됐다. 이는 지난 2000년 IT 붐이 일었던 때 이후 최대 평균 첫날 거래 상승폭이다. 

바이오테크 종목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은 신규 상장 기업에 대한 것만은 아니다. 코로나19(COVID-19) 백신 후보물질을 개발 중인 바이오 기업들에게도 투자가 몰리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재정 지원을 받는 기업들이 성공적인 백신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가 투자심리를 북돋는 데 한몫 했다는 설명이다.

대표적으로 모더나(NYSE Arca: MRNA)가 있다. 2018년 기업 공개한 이 회사의 시가총액은 약 300억달러까지 상장 시점에 비해 3배 이상 폭등했다. 코로나19 백신 개발 선두주자인 모더나는 현재 3차 임상을 진행 중이다. 

바이오테크 업종을 추종하는 나스닥 바이오 테크놀로지 지수(NASDAQ Biotechnology Index)는 올해 들어 12% 올랐다.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의 4% 상승을 웃돈 것이다. 

코로나19 팬데믹이 한창이던 지난 6월, 펀드업체 ETFMG는 전염병에 대한 검사와 치료와 연계된 기업들에 대한 맞춤형 금융상품 'TTA(Treatments, Testing, and Advancement) 상장지수펀드(ETF)'(티커: GERM)를 출시하기도 했다.

신규 상장을 계획 중인 바이오 회사도 관심이다. WSJ 소식통들에 따르면 '큐어백(CureVac)'은 이달 중으로 나스닥에 상장을 앞두고 있다. 최근 회사는 투자자들로부터 2억달러의 자금을 조달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위험한 바이오테크, '모 아니면 도'가 특징

그러나 바이오테크 주식에 대해서는 늘 회의적이어야 할 이유가 있다고 WSJ는 진단했다.

바이오 기업의 핵심 약품 출시 성패에 따라 주가 변동성이 큰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오랜기간 바이오기술주에 투자해온 이들은 코로나19 백신 등 약품 개발 초기 단계의 기업을 뒤쫓는 것에 대해 경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일례로 2010년 모더나를 탄생시킨 미국 벤처캐피탈 회사 '플래그십 파이오니어링'은 앞서 2007년부터 무려 28개의 헬스케어 기업을 만들었지만, 그 중 아무 곳도 모더나 처럼 성공한 곳은 없었다.

제약사들에 대한 시장의 투자 열기는 과열됐다고 지적하는 이도 있다. 클리어브릿지 인베스트먼트의 마셜 고든 헬스케어 부문 선임 애널리스트는 현재 상황을 "미쳤다"(crazy)고 표현했다.

그는 코로나19 백신 초기 임상 단계의 회사들에 대한 투자가 과도한 현상이라면서, "IPO에 많은 투자를 하지 않으려고 한다. 이들 대다수가 초기 임상 단계이기 때문에 좀 더 확실한 임상 데이터가 나오기 전까지는 투자를 보류하고 싶다. 우리는 초기 임상 단계의 기술 종목을 따르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실제로 초기 임상 시험 결과는 긍정적이지만 이후 2차, 3차 시험에서 실패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다. 미 식품의약국(FDA)이 조사한 결과 각종 의약품 개발의 1차 임상시험에서 2차로 진전을 보이는 제약사는 약 70%로 집계됐다. 2차 이상으로 넘어가는 제약사는 이 중에서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 또 3차 임상이 성공적이었어도 최종 승인을 받는 곳은 이보다 더 적은 비중이다. 1차 임상은 통상 수 개월이 걸리지만, 2차와 3상은 수 년이 걸린다.

코로나19 백신의 경우, 트럼프 행정부의 초고속 작전(Operation Warp Speed)에 따라 승인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크게 줄어들긴 하겠지만, 여전히 성공은 장담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wonjc6@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명태균, 오늘 김건희 특검 출석 [서울=뉴스핌] 김영은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개입 의혹 등에 연루된 '정치브로커' 명태균 씨가 김건희 특별검사(특검) 소환조사에 31일부터 이틀간 출석한다. 명씨 측 관계자는 전날 "뇌물공여 및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등 피의자로 소환됐다"며 "출석하기 앞서 현장에서 기자회견을 진행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개입 의혹 등에 연루된 '정치브로커' 명태균 씨가 특검 소환조사에 31일부터 이틀간 출석한다. 사진은 지난 4월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으로 출석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는 명씨 모습. [사진=정일구 기자] 앞서 특검팀은 지난 21일 명씨에게 지난 28일 출석하라고 통보했지만 명씨 측은 불응했다. 당시 명씨 측은 개인 일정 등을 이유로 출석 요구서 수령을 거부했다. 공천개입 의혹은 윤 전 대통령 부부가 2022년 20대 대통령선거 과정에서 명씨로부터 여론조사를 무상으로 받은 대가로 같은 해 6월 치러진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서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이 공천받도록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이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 측이 여론조사 비용을 지불하지 않는 방식으로 금전적 이득을 취했다고 본다. 이에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 부부에겐 뇌물 수수를, 명씨에겐 뇌물 공여 혐의 등을 적용했다. 특검팀은 이와 함께 2024년 22대 총선을 앞두고 김 여사가 김상민 전 부장검사를 김 전 의원 선거구였던 경남 창원 의창에 공천되도록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수사하고 있다. 명씨 측은 지난 2월 입장문을 통해 김 여사가 당시 김 전 의원에게 김 전 검사의 당선을 지원하라는 말을 했다고 주장했다. 한편, 특검팀은 전날 2022년 6월 지방선거 및 재보궐선거 당시 국민의힘 대표였던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에 대한 2차 압수수색까지 단행하며 해당 의혹 관련 자료 확보에 착수했다. 지난 27일에는 해당 의혹 당시 공천관리위원장이던 윤상현 의원을 소환조사하며 '김 전 의원 공천과 관련해 그가 윤 전 대통령과 통화했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5일에는 윤 전 대통령 부부에 명씨를 처음 소개하고, 명씨와 공천개입 의혹 관련 문자를 주고받은 인물로 지목된 함성득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특검팀은 이를 토대로 명씨에게 윤 전 대통령 부부가 공천 과정에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는지 등을 질의하며 구체적 진술을 확보할 예정이다. yek105@newspim.com 2025-07-31 07:24
사진
트럼프 "韓, 관세 15%...3500억달러 투자"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미국과 한국이 포괄적인 무역합의를 도출했다며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는 15%로 최종 타결됐다고 밝혔다. 한국은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와 미국산 에너지 1000억달러 구매를 약속했고, 미국에 자동차와 트럭, 농산물 시장 등을 완전 개방하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한국 무역협상단을 접견한 뒤,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미국과 한국이 완전하고 포괄적인(Full and Complete) 무역합의를 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에 대해서는 1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합의했으며, 미국산 제품에는 한국 측이 어떤 관세도 부과하지 않기로 했다"라고 알렸다. 그는 이번 합의를 통해 "한국은 미국이 소유하고 통제하는, 그리고 대통령인 내가 직접 선정한 투자 프로젝트에 총 3,5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한 한국은 "액화천연가스(LNG) 또는 기타 에너지 제품을 1,000억 달러어치 구매하기로 했으며, 또한 한국은 자국의 대미 투자 목적을 위한 대규모 투자도 약속했다"라고 말했다. 다만 이 투자금액은 구체적으로 공개되지 않았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재명 한국 대통령이 향후 2주 이내 백악관에서 열릴 양자회담을 위해 방미할 때 발표할 예정"이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이재명 대통령의 당선을 축하한다"라며 "우리는 한국이 미국과의 무역에 완전히 개방되며, 자동차와 트럭, 농산물을 포함한 미국산 제품을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그는 "오늘 참석한 무역 대표단에 감사를 전한다"며 "이들을 만나 그들의 나라의 위대한 성공에 대해 논의한 것은 영광이었다"고 덧붙였다. 지난 29일(현지시간) 영국 스코틀랜드에서 귀국행 에어포스원에 탑승하기 전 취재진을 향해 손 동작 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 wonjc6@newspim.com 2025-07-31 07:51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