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신기술

속보

더보기

'에이즈 완치의 길' 열리나, 중국 연구진 획기적 에이즈 치료법 개발

기사입력 : 2018년11월29일 15:16

최종수정 : 2018년11월29일 15:16

'21 세기 흑사병' 에이즈 완치에 비상한 관심 끌어

[서울=뉴스핌] 이동현기자= 중국에서 유전자 가위로 에이즈 면역력을 갖춘 쌍둥이의 출생에 거센 논란이 발생한 가운데, 중국 연구진이 획기적인 에이즈 치료법을 개발해 주목을 받고 있다.

장퉁춘교수(우측), 구차오장교수(좌측)

중국 매체 경제망(經濟網)에 따르면, 우한과기대학(武漢科技大學)의 생명공학과의 장퉁춘(張同存), 구차오장(顧潮江) 두 명의 교수는 지난 20일 에이즈 치료 분야에서 국가 발명 특허를 획득했다.

이들 두명의 교수는 2017년 10월 국제임상시험등록 플랫폼(ICTRP)에 'CAR-T' 면역세포 기술을 활용한 임상실험을 등록한 후 세계 최초로 이 방식을 활용해 임상 실험에 들어갔다.

에이즈 치료법 발명 특허[사진=바이두]

현재 두 명의 HIV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진행 중으로, 그 중 한 명은 치료 9개월 만에 HIV 바이러스가 완전히 제거되는 획기적인 진전을 거뒀다.

이 두 교수가 연구한 면역세포치료제인 ‘CAR-T’ 치료법은 환자의 혈액에서 T 세포를 분리 후 체외에서 유전자 조작을 통해 CAR-T 세포를 형성한 뒤 인체에 재주입하는 방식이다. 체내에 주입된 CAR-T 세포는 HIV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궤멸시킨다.

기존의 에이즈 치료법인 여러 치료제를 혼합해 사용하는 `칵테일 요법’은 체내에 독소가 축적되는 등 부작용이 있었고, 환자가 복용을 중단할 경우 에이즈가 발병해 생명을 앗아 갈 수 있었다.

반면 ‘CAR-T’치료법은 혈액속의 HIV 바이러스를 중화시키는 한편,HIV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궤멸시키면서 안전성을 담보한 효과적인 치료방식이라는 평가다.

저명 에이즈 연구자인 미국 마운트 시나이 아이칸 의대의 볼스키(Volsky) DJ 교수는 “‘CAR-T’세포를 활용해 새로운 에이즈 치료의 지평을 열었다”고 평가했다.  

장퉁춘(張同存) 교수는 “의료기관들과 협력을 강화해 HIV 보균자들을 대상으로 임상 실험을 확대하겠다”며 “ 연구자금 펀딩을 통해 ‘CAR-T’ 치료제를 대량 제조하겠다”고 향후 계획을 밝혔다.

장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에이즈 외에도 백혈병 치료에도 ‘CAR-T’ 요법을 활용한 임상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까지 350명의 백혈병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실험을 수행한 것으로 전해진다.

☞CAR-T(Chimeric antigen receptor-T,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발현 T 세포): 환자의 T세포를 체외에서 조작해 재주입하는 방식으로, 최근 항암 치료를 비롯한 다양한 임상 분야에서 주목받는 요법이다.

dongxua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SKT 이용자 1천명, 공동손배소 예고 [서울=뉴스핌] 최수아 인턴기자 = SK텔레콤(SKT) 유심 정보 해킹 사태와 관련해 이용자 1천여 명이 SKT를 상대로 집단 손해배상 청구 공동소송을 예고했다. 법무법인 대륜은 2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소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주 또는 늦어도 다음 주 초에는 약 1000명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1인당 손해배상 청구 금액은 100만원으로 전해졌다.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가 21일 오후 SK텔레콤의 유심(USIM) 정보 유출 사태 고발인 조사를 위해 서울 중구 남대문경찰서에 출석하며 입장을 밝히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은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와 보안 담당자 등을 정보통신망법 위반,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배임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2024.05.21 yym58@newspim.com 대륜은 "집단소송 신청자는 1만 명 이상이나 서류 취합까지 완료된 분들에 한해서만 1차 민사소장 접수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들은 해당 소장을 접수한 이후에도 2차 소장 모집을 계속할 계획이다.  대륜은 "역대 최대 규모의 유심정보 유출 사고로, 장기간 해킹에 노출된 정황이 있으며 피해자들은 유심 교체 등으로 현실적인 불편을 겪었다"면서 "SKT는 보안에 소홀한 반면 높은 영업이익을 유지해왔고, 지금까지도 피해 규모나 경위에 대해 충분히 밝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러한 점을 종합하여 1인당 100만 원의 위자료 청구가 정당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또 "SKT는 고객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보호에 있어 구조적인 소홀과 의도적인 비용 감축 정황이 확인된다"고 주장했다. 공동소송이란 원고 또는 피고 혹은 그 쌍방이 여러 사람일 경우, 즉 소송주체가 다수일 경우를 의미한다. 이번 사건처럼 다수에게 피해가 발생했을 때 다수의 피해자가 함께 소송에 참여한다.  앞서 대륜은 지난 1일 SKT 유영상 대표이사와 SKT 보안 책임자를 업무상 배임과 위계 공무집행 방해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으며 전날(21일) 남대문경찰서에서 고발인 조사를 받았다. geulmal@newspim.com 2025-05-22 12:49
사진
폭스콘 "AI 데이터센터, 단계 건설"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세계 최대 전자 위탁생산업체인 대만 폭스콘이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와 함께 추진 중인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가 최대 100메가와트(MW) 규모로 단계적으로 건설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류양웨이 폭스콘 회장은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2025 컴퓨텍스 타이베이' 기조연설에서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 만큼, 단계적으로 구축할 것"이라며 "1차로 20메가와트 규모로 시작한 뒤, 40메가와트를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며, 궁극적으로는 100메가와트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프로젝트는 전날 엔비디아가 대만을 대표하는 제조 기업 TSMC·폭스콘 및 대만 정부와 함께 초대형 AI 생태계를 대만에 구축한다고 발표한 데 따른 후속 설명이다. 2024년 10월 8일 대만 타이페이에서 열린 폭스콘 연례 기술 전시회에 전시된 폭스콘 전기이륜차 파워트레인 시스템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5.14 kongsikpark@newspim.com 류 회장은 "전력은 대만에서 매우 중요한 자원"이라며 "공급 부족이라는 표현은 쓰고 싶지 않지만, 이를 감안해 여러 도시를 대상으로 부지를 분산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시설은 대만 남서부 가오슝시에 우선 들어서며, 나머지는 전력 여건에 따라 다른 도시로 확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류 회장의 키노트 무대 위로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깜짝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황 CEO는 "이번 AI 센터는 폭스콘, 엔비디아, 그리고 대만 전체 생태계를 위한 시설"이라며 "우리는 대만을 위한 AI 팩토리를 만들고 있다. 여기에는 대만의 350개 파트너사가 참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확보를 통해 AI 학습 및 추론 속도를 크게 높이고, 대만 내 AI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oinwon@newspim.com 2025-05-20 23:4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