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사, SCA 체결로 AI 인프라·서비스 혁신 및 클라우드 전환 가속화
금융·게임·공공·스타트업 대상 맞춤형 AI 솔루션 구축 추진
온프레미스+AWS 결합한 '하이브리드 AI 클라우드' 제공
산업 파트너사와 AI 클라우드 허브 조성…K-AI 얼라이언스와도 연계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SK텔레콤과 SK AX가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전략적 협력 협약(SCA)을 체결하고 기업 대상 AI 클라우드 사업 확대에 나선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3사가 보유한 AI·클라우드 역량을 결합해 AI 인프라 강화와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을 가속화하기 위한 것이다.
SK텔레콤은 통신·AI 기술을 기반으로 산업별 AI 구축 경험을 갖춘 SK AX, 글로벌 클라우드 인프라 및 AI 서비스 역량을 보유한 AWS와 협력해 기업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구상이다.
![]() |
| 사진은 3사 임원이 전략적 협력 협약(SCA) 체결 후 기념 촬영한 모습. 왼쪽부터 신장수 SK AX Cloud 부문장, 크리스 케이시(Chris Casey) AWS 아시아태평양 및 일본(APJ) 파트너쉽 총괄, 허민회 SK텔레콤 AI Cloud 담당. [사진=SK텔레콤] |
특히, SK텔레콤과 SK AX는 AWS 베드록(Bedrock), 세이지메이커(SageMaker) 등 서비스 내재화 경험을 바탕으로 금융, 게임, 공공, 스타트업 등 다양한 산업 특성에 맞춘 AI 솔루션을 구축한다. 파일럿 단계에 머물던 AI 프로젝트를 실제 운영 환경까지 전환해 비즈니스 성과 창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3사는 민감 데이터 보호가 필요한 산업을 위해 온프레미스 환경과 AWS 글로벌 인프라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AI 클라우드'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금융·제조 등 클라우드 도입에 제약이 있던 분야에도 안정적인 AI 환경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SK텔레콤은 K-AI 얼라이언스 등 산업 파트너들과 협력해 인프라·서비스·비즈니스 채널을 통합한 'AI 클라우드 허브'를 구축해 산업별 AI 모델 개발을 추진한다. 자체 'AI 거버넌스 포털'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AI 보안 기준을 정립해 고객사의 안전한 서비스 개발도 지원한다.
SK AX는 산업별 데이터 구조와 보안 요구를 반영한 AI 클라우드 스택(Stack)을 제공해 실제 운영 환경에서 검증 가능한 실행형 모델을 제시한다.
3사는 AI 핀옵스(FinOps) 솔루션도 선보일 계획이다. AWS 사용량 패턴을 분석해 최적 비용 구조를 제안하고,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고객사의 총소유비용(TCO)을 줄이는 방식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SK텔레콤과 SK AX는 향후 5년간 AWS 클라우드 인프라와 AI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며 MSP(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분야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허민회 SK텔레콤 AI Cloud 담당은 "이번 SK AX, AWS와의 전략적 협력으로 클라우드 기반 AI 서비스 혁신을 가속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경쟁력 있는 MSP로서 다양한 서비스 역량을 키우는 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신장수 SK AX Cloud 부문장은 "SK AX, SKT, AWS 3사가 결집한 SCA 계약은 각 사 강점이 시너지를 내고 산업별 AX 혁신을 가속화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제조·금융·리테일·게임 등 다양한 산업 고객을 대상으로 생산성과 유연성, 비용 효율성과 보안까지 갖춘 AI 클라우드 운영 환경을 제공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실행력을 증명하겠다"고 전했다.
허정열 AWS 코리아 파트너 사업 총괄은 "이번 전략적 협력은 AWS의 글로벌 클라우드 인프라와 AI 기술, SK텔레콤의 통신 네트워크와 AI 역량, SK AX의 산업별 Cloud 운영 역량이 결합하여 고객의 즉각적인 비즈니스 가치 창출을 지원하는 AI 시대의 새로운 협력 모델을 보여준다"며 "다양한 산업 경험과 검증된 운영 역량을 기반으로 파일럿을 넘어 실제 프로덕션 환경에 AI를 적용할 수 있는 파트너와 함께 대한민국 전 산업의 AI 대전환(AX)을 실현하는 여정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dconnect@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