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숙인 무료 식사·응급 잠자리 등 지원 확대
노후아파트 보온재 설치·디지털계량기 도입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는 오는 15일부터 내년 3월15일까지 4개월간 시민들이 안전하고 따뜻하게 겨울을 날 수 있도록 한파, 제설, 안전, 생활 4개 분야에 대한 '2025 겨울철 종합대책'을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대책은 기후 재난에 대응해 피해를 줄이고, 취약계층 보호에 중점을 두고 있다. 대책 시행기간 동안 시설 안전 점검을 철저히 해 화재와 폭설 등 사고를 예방하고, 기상 특보 단계에 따른 대응체계로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주요 세부 내용은 약자와 동행하는 한파대책, 신속한 제설대책, 빈틈없는 안전대책, 쾌적한 생활대책 등 4대 분야로 나뉘며, 총 14개의 추진 과제가 마련됐다. 주요 분야 상황 대책반도 운영해 긴급상황과 재난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예정이다.
![]() |
|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계속되는 한파로 서울시가 수도계량기 '동파 경계' 단계를 6일에서 8일까지로 연장한 가운데, 7일 오후 서울 강북구 북부수도사업소에서 직원이 동파된 계량기를 정리하고 있다. 한편 지난 1월 서울 지역 수도계량기 동파 사고는 499건이 발생했다. 2025.02.07 yym58@newspim.com |
구체적으로 한파에 노출되는 노숙인을 위해 평상시 51명에서 최대 123명의 관리 인력을 배치하고 거리상담·순찰을 하루 4~6회 이상 실시해 식사와 잠자리, 방한용품 등을 지원한다. 노숙인 복지시설에서도 매일 1900여 명에게 무료 식사를 제공하고, 응급잠자리를 위한 최대 수용인원을 현재 362명에서 675명으로 늘린다.
또 65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저소득 어르신 중 돌봄이 필요한 4만1419명의 안전과 건강을 확인하고, 거동 불편한 저소득 어르신 2553명에게는 도시락과 밑반찬을 추가로 배달한다. 한파 기간에는 도시락을 하루 2식 제공하고, 밑반찬은 주 4회로 늘린다.
아울러 장애인 거주시설 40개소에 월동대책비를 지원하며, 독거·취약가구 중증장애인 2205가구에 활동량 감지기와 응급호출기를 점검하는 서비스를 실시한다. 겨울철 대피공간을 운영해 쪽방촌 주민과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을 위한 야간 한파 대피 목욕탕도 운영할 계획이다.
겨울철 난방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저소득층 21만8426가구에는 에너지바우처를 지원하며, 생계비와 의료비 등 서울형 긴급복지도 시행한다. 사회복지시설·취약계층을 위한 난방 물품 지원 사업도 진행 중이다.
상수도 동파 피해 대응도 강화된다. 상수도 동파대책상황실을 운영하고, 노후 아파트 32만여 세대에 보온재를 설치하며 디지털 계량기를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다. 재난안전대책본부는 강설과 폭설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24시간 운영되며, 도로시설과 대중교통 운행 정상화를 위해 각종 안전장치와 대응 계획도 추가된다.
정상훈 기획조정실장은 "겨울철 기후변화에 따른 다양한 위험요인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지켜나가겠다"며 "특히 한파에 취약한 이웃들이 소외되지 않도록 세심하게 지원해 '약자와 동행하는 서울'의 가치를 실천하겠다"고 전했다.
kh9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