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공항셔틀·재난대응 등 지역별 특화노선 구체화
버티포트 설계부터 실증 인프라까지, 단계별 지원 추진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정부가 도시 하늘을 날아다니는 에어택시의 시작을 위해 지역별 맞춤형·단계적 지원을 시작한다.
![]() |
도심항공교통 지역시범사업 지방자치단체(제주) 계획 주요 내용 [자료=국토교통부] |
25일 국토교통부는 도심항공교통(UAM) 시범사업을 준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방자치단체 특성과 준비 계획에 맞춰 지원 방향을 다각화한다. 예산 지원은 물론 R&D(연구개발) 실증 연계, 전문기관 컨설팅 등을 거친다.
이번 지원계획은 지난 4월 공고한 '2025년 도심항공교통 지역시범사업 지원 공모'에 지원한 사업에 대해 서면평가·현장실사와 발표평가를 거쳤다. 지자체가 제시한 사업계획을 토대로 각각의 지원 방향을 설정했다. 사업화 지원 방향은 지역 내 기반과 사업의 구체화 정도에 따라 ▲예산 지원형 ▲R&D 및 실증 연계형 ▲전문컨설팅 지원형으로 구분된다.
먼저 사업의 실현가능성이 높고, 사업계획이 구체적인 지역에 대해 UAM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예산을 지원한다. 제주는 제주공항과 지역 관광거점을 연결하는 관광노선을 계획하고 있으며, 사업계획이 구체적이고 지자체 추진의지도 높은 것으로 평가돼 국토부가 버티포트 설계 예산을 지급한다.
산불감시, 고속도로 사고 모니터링 등 공공형 사업을 준비 중인 대구·경북은 유관기관(도로공사, 경찰청 등)의 공동 참여로 사업 목표가 명확해 사업계획 수립 및 버티포트 설계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전남·경남은 문화체육관광부의 남부권 광역 관광 개발계획에 따라 버티포트 인프라 등 관광기반 구축을 위한 예산을 지원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시범운용구역 지정 등 제도적 측면 지원을 병행한다.
전파·통신·공역 등 연구 환경 구현이 가능하고, 도심 노선으로 확장성을 가진 지역은 연구·실증용 인프라 구축 대상지역으로 선정한다. 이후 시범사업으로 연계할 수 있도록 한다. 울산은 기존 도로 중심 교통체계에서 벗어나 UAM을 통해 태화강과 울산역을 잇는 대체 교통망을 계획하고 있다. 국토부는 UAM 핵심기술개발 R&D 실증지로 버티포트를 구축한다.
서울·경기·인천은 인천·김포공항과 수도권 도심을 연결하는 공항셔틀노선을 계획하고 있어 높은 민간 수요가 예상된다. 국토부는 기체 안전성과 통합 운용성을 시험하기 위해 올해 청라~계양 아라뱃길과 내년 킨텍스~대덕, 수색비행장~김포공항 실증도심지 실증 시설을 구축한 다음, 시범사업과 연계한다.
UAM 도입 효과와 확산 잠재력이 높은 지역을 대상으로 도심항공교통 서비스 추진에 필요한 물리·제도적 선제조건 해결과 사업계획 구체화를 위한 전문컨설팅을 지원한다. 부산은 연계 교통망이 우수한 부산역과 해운대를 연결하는 교통·관광 통합형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국토부는 버티포트 개발 규제사항과 대형 선박, 교량 등 주변 장애물을 고려해 제도·기술적 컨설팅을 지원한다.
충북은 산불 등 재난 상황 대응 시 운용하는 헬기를 UAM으로 대체하는 사업을 계획한다. 국토부는 버티포트 입지 구체화와 충청권 초광역 연계 방향에 대한 사업 컨설팅을 지원한다. 전북, 강원, 충남 등 공모 미신청 지자체에 대해서도 자체 검토 중에 있는 거점역 중심 버티포트 구축 계획 등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전문 기관의 컨설팅 지원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김홍목 국토부 모빌리지자동차국장은 "지역 실정에 맞는 실질적인 지원을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K-UAM 서비스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