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금일 중국증시 포인트(12.03)]금융주 급등·외국인 기술주 선호·FTSE러셀 A주 신규 편입

기사입력 : 2020년12월03일 13:00

최종수정 : 2020년12월03일 13:00

[편집자] 이 기사는 12월 3일 오전 10시45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5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무료로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조윤선 기자 =12월 3일 중국 A주 3대 지수가 모두 하락 출발했다. 상하이와 선전, 창업판 지수가 전일 마감가 대비 각각 0.02%, 0.04%, 0.05% 소폭 하락하며 장을 시작했다. 자동차와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미니 발광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섹터의 거래가 활발한 모습을 보였다.

12월 3일 중국 주요 증권 및 경제전문 매체가 주목한 이슈는 △ A증시 금융주 강세 △ 외국인 자금의 A주 기술주 순매수세 △ FTSE러셀의 A주 신규 편입으로 정리할 수 있다.

[사진=바이두]

어제 상하이종합지수가 전 거래일 대비 0.07% 하락 마감했지만, 장중 한때 3465포인트를 찍으며 올해 7월 기록한 고점인 3458.79포인트를 넘어선 연내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는 2018년 2월 이후 최고점이기도 하다.

특히 증권주와 은행주를 비롯한 금융주의 강세가 눈에 띄어 오늘도 상승세를 유지할지 주목된다.

2일 A주 증권 종목 가운데 국성금공(國盛金控 002670), 화린증권(華林證券 002945), 궈롄증권(國聯證券 601456) 등 종목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증권주가 상승 가도를 달리면서 12월 들어 2거래일만에 국성금공, 화린증권, 궈롄증권을 비롯한 화촹양안(華創陽安 600155), 초상증권(招商證券 600999) 등 5개 증권주의 주가가 10% 넘게 폭등했다.

은행주도 강세를 이어가며 청도은행(青島銀行 002948), 하문은행(厦门银行 601187), 서안은행(西安银行 600928) 등 4개 은행주도 12월 들어 2거래일 동안 주가가 10% 넘게 치솟았다.

금융주 강세와 더불어 북향자금(北向資金, 홍콩을 통한 외국인의 A주 투자금)이 최근 A주 과학기술주를 매입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한 포인트다.

중국 증권시보(證券時報)는 홍콩거래소가 2일 증시 개장 전 북향자금 최신 거래 통계를 공개했는데, 외국인 자금이 과학기술주로 유입되는 흐름을 보였다고 전했다. 이번 주 2거래일 동안 외국인 자금의 순매수 금액이 가장 많은 상위 10개 종목 중 5개가 전자 업종 종목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는 △ 징둥팡A(京東方A 000725) △ 삼안광전(三安光電 600703) △ 둥산징미(東山精密 002384) △ 링이즈자오(領益智造 002600) △ TCL테크(TCL科技 000100)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도 시가총액 규모 1000억 위안(약 17조 원)대 디스플레이 선두기업인 징둥팡A, TCL테크의 주가 상승이 눈에 띈다. 징둥팡은 2일 주가가 장중 한때 5.83위안까지 치솟으며 올 2월 경신한 최고점에 도달했고, TCL테크는 상한가를 기록하며 종가 8.01위안으로 사상 최고 주가를 경신했다.

중국 대표 디스플레이 기업 주가가 급등한 것은 미니 발광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애플의 신제품 출시 소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애플은 내년 미니 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여러 가지 신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외국인이 가장 많이 매수한 과학기술주 상위 10위에 오른 격력전기(格力電器 000651)도 2일 주가가 3.47% 급등하며 종가 69.53위안, 시총 4183억 위안(약 70조 원)으로 사상 최고치 기록을 다시 써 향후 주가 흐름에 귀추가 주목된다.

최근 글로벌 주가지수 제공 업체인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의 지수 재조정에 이어, 파이낸셜타임스스톡익스체인지(FTSE)러셀도 지수 조정을 단행해 시장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린다.

2일 FTSE러셀은 중국 A50, A150, A200, A400, A소형주 지수 재조정을 발표했다. 이번 변경된 사항은 2020년 12월 18일 금요일 장 마감 이후 적용되어, 월요일인 21일부터 반영될 예정이다.

그 중에서 이번 지수 재조정을 통해 FTSE러셀은 △ 중국 대표 전기차 업체인 비야디(比亞迪 002594) △ 중국 바이주 업종 대표 종목인 노주노교(瀘州老窖 000568) △ 중국의 안과전문병원 체인인 애이안과(愛爾眼科 300015)를 중국 A50지수에 새롭게 편입했다.

이밖에도 단화커지(丹化科技 600844) 등 생분해 플라스틱 테마주도 2일 일제히 상승세를 보여 오늘 주가 동향이 주목된다. 중국 정부가 내년 고체폐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하고 각 지방정부도 플라스틱 사용 규제를 강화하면서 최근 중국에서는 생분해 플라스틱 업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李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 이유 [서울=뉴스핌] 이영태 선임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오는 3일 역대 대통령 중 취임 후 가장 짧은 시일인 취임 30일을 기념해 '타운홀미팅' 형식의 기자회견을 개최하는 이유는 '소통'의 자신감이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지난달 30일 브리핑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30일을 맞는 오는 7월 3일 오전 10시 기자회견을 갖는다"면서 "기자회견은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라는 제목으로 진행되며, 민생경제·정치·외교안보·사회문화 등 분야별로 문답이 이뤄질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27일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국가유공자 및 보훈가족 등 160여 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을 함께하고 있다. 2025.6.27 [사진=대통령실] 강 대변인은 "이번 기자회견은 인수위 없이 출발한 이재명 정부의 국정 운영 조기 안착을 알리고 앞으로의 국정 운영 방향과 주요 정책 등에 대해 활발히 소통하는 자리로 마련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기자들과 더욱 가까이 소통하자는 취지에서 '타운홀미팅' 형식으로 회견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타운홀미팅'은 조직 구성원들이 모여 자유롭게 의견을 주고받는 회의 형식을 의미한다. 주로 스타트업이나 작은 기업에서 많이 활용되는 타운홀미팅은 미국의 전통적 지역사회 정치 행사에서 유래했으며, 개방적이고 수평적인 소통을 지향한다. 지난 4일 취임한 이 대통령이 취임 30일째를 기념해 여는 기자회견은 1987년 민주화 이후 역대 대통령 중 가장 빠르다. 날수로 따지면 불과 취임 29일 만이다. '소통'과 추진력을 강조하는 이 대통령의 자신감 있는 행보로 풀이된다. 김영삼 전 대통령 이후 역대 대통령들은 취임 100일을 전후해 기자회견을 열어왔다. 김 전 대통령은 1993년 6월 3일 취임 100일을 기념해 청와대 춘추관에서 기자회견을 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도 취임 100일인 1998년 5월 10일 기자회견을 열었고, 노무현 전 대통령은 취임 98일 만인 2003년 6월 2일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취임 116일 만인 2008년 6월 19일 회견을 열었으며, 박근혜 전 대통령은 취임 100일 기자회견을 건너뛰고 첫 기자회견을 316일 만에 개최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과 윤석열 전 대통령은 취임 100일 회견을 진행했다. 취임 29일 만에 '30일 기자회견'을 갖는 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국민과의 직접 소통을 강조하며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X(옛 트위터) 등 SNS(소셜네스워크서비스, 사회관계망서비스)를 적극 활용하는 등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 취임 이후 연일 소통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이 대통령은 지난 16일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캐나다로 향하는 대통령 전용기 안에서 예정에 없던 깜짝 기자간담회를 약 20분간 진행했다. 취임 7일째인 지난 10일에는 용산 대통령실 구내매점에서 기자단과 차담회를 가진 데 이어 11일과 12일에도 기자식당과 직원식당에서 일부 출입 기자들과 오찬을 가졌다. 이 대통령은 또 공식 행사를 전후해 예고 없이 전통시장 등을 찾아 시민들을 만나거나 지역 타운홀미팅을 여는 등 '소통 행보'에 열의를 보이고 있다. 지난달 24일 대통령실이 국정 전반에 대해 국민이 질문을 던지면 이 대통령이 직접 답변하는 소통 창구인 '국민사서함'을 운영한다고 밝힌 배경에도 이 대통령의 강한 의지가 담겨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통령실은 보도자료를 통해 "국민 목소리에 귀 기울여 신속히 실천에 옮기겠다는 대통령의 국정 철학이 담겼다"며 "앞으로도 국민이 모든 정책 결정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소통 창구를 확대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가겠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취임 초기에 첫 기자회견을 개최하는 이유에 대해 "이 대통령이 강조하는 '새로운 정부, 일하는 정부'의 면모를 확실하게 보여주려는 취지"라며 "이재명 정부는 이전 정부와 다르다는 인상을 심어줄 것"이라고 말했다. '타운홀미팅' 형식으로 진행되는 기자회견장으로는 청와대 영빈관이 유력 후보로 거론된다. 용산 대통령실과 달리 대규모 인원을 수용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다만 구체적인 기자회견 장소 등 세부 일정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는 게 대통령실 입장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27일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국가유공자 및 보훈가족 등 160여 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을 함께한 자리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6.27 [사진=대통령실] medialyt@newspim.com 2025-07-01 06:44
사진
내란 특검, 尹 조사일 변경 요청 거부 [서울=뉴스핌] 김영은 기자 = 내란 특검이 윤석열 전 대통령 측의 소환 조사일 변경 요청을 거부하고, 이번 주 내 출석 일자를 다시 통보할 예정이다. 윤 전 대통령 측이 이에 불응할 경우, 형사소송법상 마지막 조치를 취하겠다고도 예고했다. 박지영 특검보는 30일 오후 5시 30분쯤 브리핑을 열고 "이날 오후 4시쯤 윤 전 대통령의 변호인으로부터 금주의 특정 일자를 지정한 출석 기일 변경 요청서를 접수했다"며 "특검 내부 논의 결과, 기일 변경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기로 하고 이를 변호인에게도 통지했다"고 밝혔다. 윤석열 전 대통령 측은 이날 내란 특별검사팀에 2차 소환 조사일을 '7월 5일 이후'로 미뤄달라고 요청했다. 사진은 29일 새벽 1시쯤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서 1차 소환 조사를 마친 뒤 귀가하는 윤 전 대통령 모습. [사진=이형석 기자] 이어 "내일(7월 1일) 출석에 불응할 경우, 즉시 금주 중에 있는 특정 일자와 시간을 지정해 재차 소환을 통보할 예정이다"라며 "만약 그때도 출석에 응하지 않을 경우 형사소송법상 마지막 단계의 조치를 취할 것이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당초 7월 3일 이후 출석을 요청했으나, 최근 의견서를 내고 7월 5일 이후로 출석 일자를 더 늦춰달라고 재요청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후, 윤 전 대통령 측은 한 차례 기일 변경 요청서를 제출함으로써 오는 7월 1일 소환 조사에 참여할 수 없다는 의견을 재차 피력했다. 특검은 7월 4일 또는 5일로 재소환 일정을 확정할 것으로 보인다. 박 특검보는 "금주의 중 정할 특정일자는 4일 또는 5일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 특검보는 '마지막 단계의 조치'와 관련해 해당 내용이 체포영장 청구 이상의 단계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박 특검보는 '마지막 단계로 체포영장 청구가 있는데, 출석 불응 시 검토하는가'라는 취재진의 질문에 "그 부분에 대해서는 당연히 출석을 불응하는 경우에 체포영장이 될 수도 있고, 그 다음 단계가 될 수도 있고 이런 여러가지 고민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사전 협의가 부족했다'고 주장하는 윤 전 대통령 측의 주장에 대해서는 "윤 전 대통령 측이 의견서를 보내면 특검 측이 검토하고, 이런 (모든) 과정이 협의라고 생각한다"며 "저 쪽(윤 전 대통령 측)의 의견을 수용하는 것만이 협의는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앞서 내란 특검은 지난 28일 윤 전 대통령에 대한 1차 피의자 조사를 마친 뒤 오는 30일 다시 출석해 조사를 받으라고 통보한 바 있다. 하지만 윤 전 대통령 측은 건강상의 이유, 재판 준비 등을 이유로 7월 3일 이후로 일정을 조정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특검은 윤 전 대통령 측의 사정 등을 고려해 하루 늦춘 7월 1일로 날짜를 재통보하며 2차 소환조사 출석을 요구했으나, 윤 전 대통령 측은 날짜를 미뤄달라고 이날 다시 요구했다. 특검은 현재 윤 전 대통령 측의 수사 방해 행위를 수사하기 위한 경찰 인력 3명을 경찰청에 요청하는 한편, 오는 1일 2차 소환 조사를 차질 없이 마무리하도록 준비할 방침이다.  yek105@newspim.com 2025-06-30 18:5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