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산업 제약·바이오

속보

더보기

수젠텍, 중국 휴먼웰그룹과 스마트 헬스케어 사업협력 추진

기사입력 : 2019년04월17일 12:50

최종수정 : 2019년04월17일 12:50

[서울=뉴스핌] 김양섭 기자 = 바이오 진단 전문기업 ㈜수젠텍(253840, 대표이사 손미진)이 지난 15일 중국의 종합 제약사인 휴먼웰 헬스케어 그룹(Humanwell Healthcare Group Co Ltd)과 여성질환 퍼스널케어 제품과 관련한 중국 내 사업협력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양사는 수젠텍이 개발 중인 여성질환 퍼스널케어 제품인 슈얼리 스마트(Surearly Smart)의 중국 내 판매 및 해당 제품을 통한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하고, 향후 구체적인 사업 추진 방안을 협의하기로 했다.

수젠텍이 개발 중인 슈얼리 스마트(Surearly Smart)는 수젠텍 고유의 초소형/저전력 분석기술을 기반으로 개인이 가정에서 편리하게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퍼스널케어 제품으로,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소형의 진단기기와 진단시마다 교체하며 사용하는 일회용 스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진단 결과를 스마트폰과 연계하여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진단 결과를 활용한 다양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수젠텍은 1차적으로 호르몬 변화에 따른 여성질환들의 예측 및 진단용 스틱을 개발하여 마무리 단계에 있으며, 추가로 다양한 만성질환들을 진단할 수 있는 스틱도 개발하고 있다.

수젠텍의 이정은 부사장은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 시장에서 여성질환 퍼스널케어 제품에 대한 수요가 크고, 진단 결과를 활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헬스케어 제품 마케팅 사업 등 다양한 사업에 대한 성장성이 높아 중국의 헬스케어 대표 그룹이라고 할 수 있는 휴먼웰과 이번 사업협력을 추진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수젠텍과 사업을 제휴한 중국 휴먼웰은 1993년에 설립되어 신경계 의약품, 혈액제제, 전통의약품, 의료기기 등을 취급하는 헬스케어 및 의약품 종합회사로서, 2017년 매출액 154억위안(약 2.6조원), 영업이익 30억위안(약 5,149억원)을 달성하였고, 1997년에 중국 상하이 증시에 상장되어 현재 시가총액은 약 3조원에 달한다. 20여 개 의약품 및 헬스케어 관련 자회사 보유하고 미국 및 아프리카 등 지역에서 R&D, 유통 및 생산 기지를 설립하여 적극적으로 글로벌시장 진출하고 있으며, 스마트 헬스케어 사업에도 관심을 갖고 이번에 수젠텍과 사업제휴를 추진하게 됐다.

한편, 수젠텍은 퍼스널케어 제품 이외에도 국내 유일의 다중면역블롯 진단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자가면역질환, 알레르기, 알츠하이머 치매 등 여러 바이오마커를 동시에 진단해야 하는 질병의 진단 제품과 세계 최초로 혈액으로 결핵을 진단하는 키트를 개발하고 있으며, 지난 4월 14일 코스닥 이전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통과하여 공모 절차를 앞두고 있다.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

 

[자료제공=수젠텍]

 

ssup825@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SKT 이용자 1천명, 공동손배소 예고 [서울=뉴스핌] 최수아 인턴기자 = SK텔레콤(SKT) 유심 정보 해킹 사태와 관련해 이용자 1천여 명이 SKT를 상대로 집단 손해배상 청구 공동소송을 예고했다. 법무법인 대륜은 2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소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주 또는 늦어도 다음 주 초에는 약 1000명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1인당 손해배상 청구 금액은 100만원으로 전해졌다.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가 21일 오후 SK텔레콤의 유심(USIM) 정보 유출 사태 고발인 조사를 위해 서울 중구 남대문경찰서에 출석하며 입장을 밝히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은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와 보안 담당자 등을 정보통신망법 위반,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배임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2024.05.21 yym58@newspim.com 대륜은 "집단소송 신청자는 1만 명 이상이나 서류 취합까지 완료된 분들에 한해서만 1차 민사소장 접수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들은 해당 소장을 접수한 이후에도 2차 소장 모집을 계속할 계획이다.  대륜은 "역대 최대 규모의 유심정보 유출 사고로, 장기간 해킹에 노출된 정황이 있으며 피해자들은 유심 교체 등으로 현실적인 불편을 겪었다"면서 "SKT는 보안에 소홀한 반면 높은 영업이익을 유지해왔고, 지금까지도 피해 규모나 경위에 대해 충분히 밝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러한 점을 종합하여 1인당 100만 원의 위자료 청구가 정당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또 "SKT는 고객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보호에 있어 구조적인 소홀과 의도적인 비용 감축 정황이 확인된다"고 주장했다. 공동소송이란 원고 또는 피고 혹은 그 쌍방이 여러 사람일 경우, 즉 소송주체가 다수일 경우를 의미한다. 이번 사건처럼 다수에게 피해가 발생했을 때 다수의 피해자가 함께 소송에 참여한다.  앞서 대륜은 지난 1일 SKT 유영상 대표이사와 SKT 보안 책임자를 업무상 배임과 위계 공무집행 방해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으며 전날(21일) 남대문경찰서에서 고발인 조사를 받았다. geulmal@newspim.com 2025-05-22 12:49
사진
폭스콘 "AI 데이터센터, 단계 건설"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세계 최대 전자 위탁생산업체인 대만 폭스콘이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와 함께 추진 중인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가 최대 100메가와트(MW) 규모로 단계적으로 건설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류양웨이 폭스콘 회장은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2025 컴퓨텍스 타이베이' 기조연설에서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 만큼, 단계적으로 구축할 것"이라며 "1차로 20메가와트 규모로 시작한 뒤, 40메가와트를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며, 궁극적으로는 100메가와트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프로젝트는 전날 엔비디아가 대만을 대표하는 제조 기업 TSMC·폭스콘 및 대만 정부와 함께 초대형 AI 생태계를 대만에 구축한다고 발표한 데 따른 후속 설명이다. 2024년 10월 8일 대만 타이페이에서 열린 폭스콘 연례 기술 전시회에 전시된 폭스콘 전기이륜차 파워트레인 시스템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5.14 kongsikpark@newspim.com 류 회장은 "전력은 대만에서 매우 중요한 자원"이라며 "공급 부족이라는 표현은 쓰고 싶지 않지만, 이를 감안해 여러 도시를 대상으로 부지를 분산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시설은 대만 남서부 가오슝시에 우선 들어서며, 나머지는 전력 여건에 따라 다른 도시로 확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류 회장의 키노트 무대 위로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깜짝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황 CEO는 "이번 AI 센터는 폭스콘, 엔비디아, 그리고 대만 전체 생태계를 위한 시설"이라며 "우리는 대만을 위한 AI 팩토리를 만들고 있다. 여기에는 대만의 350개 파트너사가 참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확보를 통해 AI 학습 및 추론 속도를 크게 높이고, 대만 내 AI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oinwon@newspim.com 2025-05-20 23:4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