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라이브
KYD 디데이
중국 나우앤퓨처

속보

더보기

세계가 호평, 중국 웹드라마 글로벌 전성시대 활짝

기사입력 : 2017년12월15일 15:36

최종수정 : 2017년12월15일 15:36

2017년 웹드라마 봇물, 퀄리티 장르 다양화
백야추흉, 하신, 무증지죄 넷플릭스 진출
글로벌 시장서 중국 문화콘텐츠 영향력 강화

[뉴스핌=홍성현 기자] 2017년 중국 드라마 시장에서는 ‘웹드 전성시대’라고 할만큼 웹드라마(웹드)가 존재감을 과시했다. 유료회원제가 자리잡은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을 기반으로 우수한 콘텐츠를 보강해 양적 질적 성장을 거뒀다. ‘웹드는 수준 미달’이라는 편견을 깨고 콘텐츠 수준을 인정받으며 본격 글로벌 시장 진출에 나섰다.

11월 30일, 미국 최대 동영상 스트리밍 기업 넷플릭스(Netflix)가 중국 웹드라마 백야추흉(白夜追兇)의 해외 배포권을 사들인 소식이 발표됐다. 아이치이(愛奇藝) 제작 드라마 무증지죄(無證之罪)와 하신(河神)도 2018년 1분기 넷플릭스 상륙을 앞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왼쪽부터 중국 웹드라마 백야추흉, 하신, 무증지죄 순 <사진=바이두>

‘웹드 원년’ 조회수 평점 둘다 합격점

'웹드라마(網劇)'란 말 그대로 웹(Web), 다시 말해 인터넷 사이트에서 송출하는 드라마를 말한다. 중국으로 치면 아이치이, 유쿠(優酷) 등 동영상 스트리밍업체가 제작을 주관하고, 자체 플랫폼(사이트,앱)을 통해 내보내는 드라마가 바로 웹드라마다.

중국 드라마 시장에서 2017년을 ‘웹드의 원년’이라고 할 만큼 웹드라마가 봇물처럼 쏟아져 나왔다. 통계에 따르면, 2017년 새로 출시된 웹드라마는 206편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작품의 총 조회수는 833억뷰이며, 상위 10개 작품의 조회수가 353억뷰로 전체의 42%를 차지했다. 2017년 히트한 중국 드라마 가운데 30~40%가 웹드라마일 정도로 인기 몰이에도 성공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조회수 못지 않게 평점도 높았다는 사실이다. 중국 웹드라마 최초로 넷플릭스에 진출한 백야추흉(白夜追兇)은 리뷰사이트 더우반(豆瓣) 평점 9.0점을 기록했다. 이는 2017년 방영된 중국 드라마를 통틀어 가장 높은 점수다.

백야추흉에 이어 2018년 1분기 넷플릭스 상륙을 앞두고 있는 하신(河神)과 무증지죄(無證之罪) 역시 중국 현지에서 고품격 웰메이드 드라마로 인정받은 작품이다. 더우반 기준 하신과 무증지죄는 모두 8점 중반대의 좋은 평가를 받았다.

넷플릭스에 해외배포권을 판매했다는 것은 글로벌시장에서 콘텐츠 품질을 인정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국 현지업계에서는 ‘중국산 드라마는 저급’이라는 오명을 벗게 됐다면서 반색했다. 수출 대상이 웹드라마라는 점도 고무적이다. 일반적으로 웹드라마는 재미위주의 트렌디 드라마라는 인식이 깔려있기 때문.

해외 진출에 성공한 백야추흉, 하신, 무증지죄는 영화 같은 화질과 특수효과, 촘촘한 스토리 구성으로 '웹드는 킬링타임용'이라는 편견을 철저히 무너뜨렸다. 현재 인기리에 방송되고 있는 웹드 해상목운기(海上牧雲計)의 경우 준비기간만 2년이 걸렸고, 총 3억위안(약 5백억원)의 제작비를 투입했다. 최근 방송되는 중국 웹드라마는 단지 웹드라는 이유만으로 무시할 수 없는 완성도와 스케일을 자랑한다.

왼쪽부터 아이치이, 유쿠, 텐센트스핀 순 <사진=바이두>

고품질 웹드 해외진출, 중국 문화콘텐츠 영향력 강화

중국 웹드가 황금기를 맞이하게 된 것은 아이치이(愛奇藝), 텐센트스핀(騰訊視頻), 유쿠(優酷) 등 동영상 스트리밍업체가 안정적으로 뿌리내린 것과 연관이 깊다. 이들은 TV 방송 프로그램이나 영화를 주로 송출했던 시대를 지나 직접 콘텐츠를 생산해 내보내는 자체 제작 시대를 맞이했다.

유료회원제가 잘 구축된 것도 웹드 콘텐츠 품질을 강화할 수 있었던 기반이라는 분석이다. 반대로 중국 동영상 스트리밍업체들은 콘텐츠 경쟁력을 무기로 유료회원을 끌어 모은다. 우수한 콘텐츠가 결제를 유도하고 다시 그 비용을 콘텐츠 보강에 활용하는 선순환이 이뤄지고 있다.

특히 2017년에는 IP(지식재산권) 기반 드라마뿐만 아니라 창작 콘텐츠 개발과 품질 혁신에 공을 들이는 움직임을 보였다. 넷플릭스가 판권을 사간 유쿠의 백야추흉과 아이치이의 하신, 무증지죄는 모두 각 동영상 스트리밍 사이트에서 직접 제작에 참여한 작품들이다.

현지 업계에서는 지난 한해 중국 웹드라마가 품질과 규모, 장르 다양성 면에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됐다고 평가한다. 초창기 웹드라마는 TV드라마에 비해 비용, 제작규모, 광고수량 등 면에서 TV드라마에 못 미치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동영상 사이트 활성화로 자본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면서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것.  

예전의 웹드는 청춘로맨스, 코미디 등 일부 장르에 국한되는 경향이 있었지만, 이제 미스터리, 수사물, SF, 액션 등 소재가 점차 다양화되는 추세다. 2017년에는 미스터리 장르가 웹드 시장의 대세였다. 백야추흉, 하신, 무증지죄 외에도 노구먼(老九門), 무심법사(無心法師), 도묘필기(盜墓筆記)와 같은 미스터리 드라마가 조회수와 평점 모두 평균치 이상을 기록하며 인기를 끌었다.

한편, 현지 업계에서는 중국 웹드의 콘텐츠 업그레이드와 해외 수출이 이어지며 점차 중국 문화의 글로벌 영향력이 강화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모은다. 실제로 중국 드라마에는 문화적 색채가 짙게 깔려있는 경우가 많고, 최근에는 중국의 현실을 반영한 리얼리티극이 많이 제작되는 추세다.

일각에서는 중국 드라마의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한류 드라마의 중국 시장 공략법도 달라져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 되고 있다. 사드 갈등 이후 신작 한국 드라마가 자취를 감춘 사이, 중국 동영상 사이트는 고품질 웹드라마로 채워졌다. 중국 콘텐츠 수준이 개선되고 현지 드라마 시장이 급변한 상황에서 한류 드라마의 차별화 방안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12월14일 바이두 인기드라마 순위, 상위 8개 작품 중 5개가 웹드라마다.

 

[뉴스핌 Newspim] 홍성현 기자 (hyun22@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다이빙 주한 중국대사 뉴스핌 기고 국제 정세가 혼란스럽고 국지적 충돌과 불안정한 상황이 이어지는 가운데 경제 글로벌화가 역풍을 맞고 있고 일방주의와 보호주의가 고개를 들고 있다. 불확실성의 시대에 직면한 많은 국가들은 '겨울이 오고 있다'(Winter is Coming)며 불안감을 감추지 못한다. 이러한 시기에 중국은 실질적인 행동으로 세계에 안정성과 긍정적 에너지를 불어넣고 있다. 중국은 세계 경제를 안정적 발전으로 이끄는 강력하고 확실한 힘이다. 중국은 세계 2위 경제국, 1위 제조업 대국이자 2위 소비시장이다. 이런 조건하에서 중국 경제는 체제와 수요, 공급, 인재 등 네가지 부문에서 두드러진 우위를 보이며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공고히 하고 있다. 2024년 중국 경제는 5% 성장률을 달성했고 GDP 증가량은 1조 500억 달러에 달했는데, 이는 중간 경제국가의 연간 경제 총량에 해당하는 규모다. 2025년 복잡한 환경과 숱한 도전에 직면한 상황에서도 중국 경제는 안정 성장 추세를 유지하여, 1분기 5.4% 성장을 달성했고 1~4월 상품무역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했다. 더욱 중요한 성과는 외부의 압박과 억제가 오히려 중국의 기술 돌파를 촉진하는 수많은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중국은 인공지능(AI), 로봇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 잇따라 '딥시크(DeepSeek) 순간'을 맞이하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은 설정된 발전 목표를 달성하며 세계 경제 성장의 가장 중요한 엔진이자 안전 장치 역할을 계속 해 나갈 충분한 자신감과 능력을 지니고 있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주한 중국대사관 다이빙(戴兵) 중국 대사. 사진=중국 대사관 제공.  2025.05.24 chk@newspim.com 중국은 글로벌 협력을 촉진하는 확실한 힘이다. 대외 개방은 중국의 기본 국책으로, 보호주의의 역류가 거셀수록 중국은 더욱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높은 수준의 개방을 추진해나갈 것이며 국제 사회가 모두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할것이다. 중국은 150여 개 국가 및 지역의 주요 무역 파트너이며, 30개 국가 및 지역과 23개의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했다. 2024년 중국의 평균 수입 관세율은 이미 7.3%로 떨어져 절대 다수 국가보다 낮으며, 43개 최빈국에 대해서는 '무관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얼마 전 성공적으로 개최된 중국 중앙주변공작회의에서는 주변국들과 협력하여 아름다운 미래를 함께 만들어갈 것임을 다짐했다. 시진핑 국가주석의 동남아 순방과 러시아 방문이 커다란 외교적 성과를 거두었고,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유럽의 여러 국가 지도자들이 중국을 방문했다. 갈수록 더 많은 국가들이 중국과의 동행은 바로 기회와의 동행이며, 중국에 대한 신뢰는 곧 미래에 대한 신뢰임을 인식하고 있다. 중국은 국제 질서를 수호하는 확실한 힘이다. 중국은 현행 국제 질서 속에서 발전해 온 만큼 이 체계의 수혜자이자 지지자, 수호자이다. 중국은 국가 간의 평등 및 호혜 상생을 견지하고 진정한 다자주의를 지향하며, '국력의 크기'를 발언권의 기준으로 삼거나 '자국 우선'을 국제 규칙 위에 두는 것에 반대한다. 국제 사회에서 중국은 책임감 있고 신뢰할 수 있는 대국이다. 중국에 대해 '국제 질서 도전자'라고 지목하는 것은 사리에 맞지 않는다. 많은 한국인들은 이전의 규칙 제정자(rule-maker)가 파괴자로 변해 전 세계를 혼란에 빠뜨렸다고 솔직하게 말한다. 부당한 관세 전쟁에 직면한 중국은 단호한 대응으로 국가의 정당한 권익을 보호하고 나섰을 뿐만 아니라 국제적 공정성과 보편적 세계 정의를 수호하는데도 앞장섰다. 결과적으로 중국의 이런 대응은 국제 사회의 많은 나라들이 적극적 협상을 통해 경제∙무역 갈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여지를 넓혀줬다. 중국은 줄곧 각국의 운명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중국과 한국은 중요한 이웃이자 협력 파트너로서 더욱 그러하다고 여겨왔다. 중한 수교 이후 33년 동안 양국 간 각 분야에서의 교류와 협력은 커다란 성과를 거두었으며, 양국 외교는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격상됐다. 최근 몇 년간 중한 양국의 국가 상황과 지역 정세, 세계 구도에 모두 큰 변화가 있었고, 중한 관계의 복잡성도 다소 커졌다. 양국은 경험과 교훈을 총정리해 재인식, 재출발해야 한다. 이때 가장 근본적인 것은, 중한 우호 협력의 강화가 양국과 양국 국민의 근본적 이익에 가장 부합한다는 점이다. 한국 정국에 변화가 일어나고 국제 정세 변화의 충격도 마주한 가운데, 대다수의 한국 국민은 국가적 통합을 강화하고 경제와 민생을 발전시키기를 기대하고 있다. 한국의 많은 지인들은 중한 관계를 개선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한국이 대내외적 도전에 대응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이야기한다. 현재 중한 관계는 지난 날을 토대로 앞날을 개척하는 중요한 단계에 놓여 있다. 중국의 대(对)한국 정책은 확실하며, 중국은 최대한의 성의와 노력으로 중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심화할 의향이 있다. 한국이 시대 물결과 국제 흐름을 파악하고 바른 방향을 견지하며 중국과 함께 중한 관계를 건전하고 안정적이며 긍정적으로 발전시키길 희망한다. 글 = 주한 중국대사관 다이빙(戴兵) 중국대사 서울= 최헌규 중국전문기자(전 베이징 특파원) chk@newspim.com 2025-05-24 13:27
사진
트럼프 "애플 25% 관세, 삼성에도" [뉴욕=뉴스핌]김근철 특파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 시간) 중국 등에서 대부분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애플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이 같은 조치는 삼성전자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애플(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면서 "이것은 삼성과 다른 스마트폰 업체들에게도 해당된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 내 제조를 장려하려면 모든 기업에 공정하게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2025.05.24 kckim100@newspim.com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함께 유럽연합(EU)과의 무역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현재 유지 중인 50%의 관세를 그대로 두겠다는 입장도 거듭 확인했다. 그는 "EU와의 대화가 더디다"면서 "협상 타결을 기대하지 않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트루스 소셜 계정을 통해 "나는 애플의 팀 쿡에게 오랫동안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은 반드시 미국에서 생산되어야 한다고 말해왔다. 인도나 다른 나라에서 만들어서는 안 된다"며 "그렇지 않다면, 최소 25%의 관세를 애플이 미국에 지불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EU에 대해서도 "우리의 협상 과정은 아무런 진전이 없다"며 "2025년 6월 1일부터 EU산 제품에 일관 50% 관세를 부과할 것을 권고한다"고 밝혔다. 이어 "EU는 미국을 무역에서 이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과 다름없고, 협상하기 매우 어려운 상대"라면서 "그들은 강력한 무역 장벽과 부가가치세, 터무니없는 기업 벌금, 비금전적 무역 장벽, 환율 조작, 미국 기업에 대한 부당하고 정당하지 않은 소송 등으로 미국과 연간 2억 5000만 달러 이상의 무역 적자를 초래했다"고 비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언급은 증시에 바로 영향을 미쳤다. 뉴욕 증시에서 애플의 주가는 마감을 앞두고 2.92%까지 하락했다. 유럽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급락했다. 독일과 프랑스, 이탈리아 등은 모두 1.5% 이상 떨어졌다. 범유럽 지수인 STOXX 600 지수는 전장보다 5.14포인트(0.93%) 내린 545.13으로 장을 마쳤다.    kckim100@newspim.com 2025-05-24 04:3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