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나우앤퓨처

속보

더보기

포스트 전자상거래 '신소매', 중국 유통질서 재편 가속

기사입력 : 2017년08월21일 17:14

최종수정 : 2017년09월01일 10:05

신소매는 유통을 넘어 현대기업 핵심 경쟁력
100강 기업중 알리바바 징둥 샤오미 선두서 각축

[뉴스핌=이동현기자]신소매(新零售)가 중국 유통계의 지각 변동을 예고하는 가운데,알리바바 징둥 샤오미가 신소매 분야에서 최고의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소매는 알리바바의 마윈(馬雲) 회장이 지난해 언급해 주목 받은 개념으로, ‘온라인+오프라인+물류’의 세 분야를 융합한 전자상거래를 대체하는 미래유통의 모델로 평가된다.

시장조사기관 핀투(品途)가 발표한 ‘2017년 신소매 경쟁력 TOP 100 업체’에 따르면 알리바바, 징둥, 샤오미가 상위 3위 업체로서 신소매 분야에서 압도적인 경쟁력을 확보한 것으로 조사됐다.더불어 신소매는 유통업체에 국한되지 않고 업종에 상관없이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트렌드로서 산업 전반으로 확산돼 가는 추세라고 진단했다.

특히 중국 전자상거래를 대표하는 기업인 알리바바와 징둥(京东)은 적극적으로 온∙오프라인 통합을 시도하며 신소매를 둘러싼 유통 시장의 승기를 잡기 위해 각축을 벌이고 있다. 또 샤오미의 경우 오프라인 매장인 샤오미즈자(小米之家)를 3년내 1000여 곳까지 늘리기로 하는 등 신소매 전략에 본격 시동을 걸고 있다.

◆알리바바 절대강자, 징둥 샤오미 맹추격

알리바바가 동네 상권부터 대형 백화점까지 자사의 신소매 유통망으로 편입시키며 명실상부한 신소매 분야의 1인자로 부상했다. 특히 주택가에 위치한 소규모 점포들을 신소매와 접목시키면서 유통 영토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관련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680만 소규모 매장 중 30%가 농촌 및 향진(乡镇) 지역에 분포돼 있다. 그 뒤를 이어 현(县)급 도시 및 3선 도시에 각각 21%,25%의 소규모 점포가 운영되고 있다.

알리바바는 이같은 동네상권을 신소매의 중요한 유통채널로 봤다. 특히 ‘마지막 1킬로미터 전략’을 내세워 빠르게 자사의 상품 배송이 가능하고, 소비자들에게 접근성이 뛰어난 주택가 점포를 오프라인 플랫폼으로 삼는다는 포석이다.

한때 전자상거래에 밀려 생존을 위협받은 동네 점포들이 신소매의 전략적 채널로 부상하면서 알리바바와 징둥 모두 자사의 유통망에 이 매장들을 포함시키기 위해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징둥의 경우, 류창둥(刘强东)회장이 올해 4월 자신의 SNS에 편의점 100만개 개설을 선포했다.그 중 절반을 농촌 지역에 구축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징둥의 편의점사업의 경우 기존의 오프라인 점포를 프랜차이즈 매장으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추진하고 있다. 징둥은 이미 2015년에 신규유통채널 부서를 조직해 오프라인매장에 물류지원,오프라인 마케팅,데이터공유와 같은 솔루션을 제공해 왔다.

알리바바 B2B 플랫폼

알리바바도 오프라인 점포를 겨냥한 디지털 솔루션을 내놓았다. 2016년 알리링서우퉁(阿里零售通)라는 B2B 플랫폼을 출시하면서 2선도시 이하 지역의 오프라인 매장을 대상으로 상품구매,물류,부가서비스,마케팅 등 관련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있다. 오프라인 매장 운영자들이 모바일 앱만 다운받으면 알리바바의 상품 구매 및 물류 서비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이처럼 신소매가 주목받는 배경으로 폭발적 성장을 이룬 중국 전자상거래 산업이 최근 눈에 띄게 둔화되고 전통 오프라인 소매업체들이 점점 경쟁력을 잃어가면서, 신소매가 신성장동력으로 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알리바바는 이미 몇 년 전부터 신소매 전략을 본격화했다. 지난 2014년 3월 알리바바는 백화점 체인 인타이상예(銀泰商業)에 198억 홍콩달러를 투자해 보유지분을 74%로 늘리면서 최대주주로 등극했다. 인타이상예는 저장(浙江)성과 안후이(安徽), 베이징을 중심으로 29개 백화점과 17개 쇼핑몰을 운영하고 있는 중국 대형 백화점 체인이다.

중국 신선식품 유통업체 허마셴성(盒馬鮮生)은 알리바바의 신소매 1호 사업으로 평가된다. 2016년 1월 알리바바는 허마센성에 1억 5000만달러 규모의 지분투자에 참여했고, 알리바바의 투자를 받은 이후 허마셴성은 ‘전자상거래 + 오프라인 체험형 매장’의 모델을 도입하며 시장의 폭발적인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신소매 시대 골목상권 소매 점포 황금된다

중국 최대 가전판매업체 쑤닝윈상(蘇寧雲商) 또한 알리바바의 신소매 전략을 실현해줄 협력업체로 꼽힌다. 지난 2015년 8월 알리바바는 쑤닝윈상에 283억위안을 투자하며 제2대 주주로 올라섰다. 두 기업은 전자상거래, 물류, 애프터서비스(A/S), 마케팅, 금융, 빅데이터 등에서 협력을 맺고 있다.

이에 맞서 경쟁업체 징둥은 세계 최대 유통업체 월마트와 손잡고 신소매 사업에 뛰어들었다. 징둥은 2016년 6월 월마트 산하 전자상거래업체 1하오뎬(1號店)을 인수하면서 월마트에 5%의 지분을 양도했다. 월마트는 올해 2월 징둥의 지분을 12.1%로 늘리며 3대 주주로 올라섰다. 

또 중국 대형 유통업체인 융후이마트(永輝超市)에 43억위안을 투자해 10%의 지분을 확보했고, 2016년 3월에는 신선식품 온라인 유통업체 톈톈궈위안(天天果園)의 시리즈 D 펀딩에 참여하며 온∙오프라인 융합 모델을 추진해왔다.

한편 샤오미의 경우 오프라인 매장 확대를 통해 샤오미 생태계 구축에 열중하고 있다. 샤오미의 오프라인 매장 샤오미즈자(小米之家)는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샤오미 전동휠, 밴드,다리미,이어폰,드론,청소기 등 샤오미 브랜드의 다양한 IT제품을 취급하고 있다.

샤오미는 그동안 추구했던 온라인 판매 전략을 과감히 수정해 체험형 매장을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100여개의 오프라인 매장을 향후 3년내에 1000여 곳으로 늘린다는 방침이다.특히 소비자들이 오프라인 매장에서 샤오미의 온라인 채널과 동일한 가격으로 샤오미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점이 경쟁력으로 꼽힌다.

샤오미즈자(小米之家)<사진=바이두(百度)>

[뉴스핌 Newspim] 이동현 기자(dongxua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LH, 올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공급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과 2만8000가구 규모 공공택지 공급에 나선다. 또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21조6000억원의 투자를 집행하고 재원조달 방식 등을 다양화해 재무여건 체질을 개선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21만 8000+α가구 규모의 주택 공급에 나선다. 사진은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5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서계동 복합문화단지 조성사업 업무협약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핌DB] 23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도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핵심 업무인 주택 공급에 집중한다. 10만가구 사업승인과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등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을 공급한다. 동시에 민간 주택건설 활성화를 위해 2만8000가구 규모의 공공택지를 조성한다. 주택 착공물량은 지난해(5만가구) 대비 20% 증가한 6만가구를 추진하고 지난해 8·8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에 포함된 서울서리풀 등 5만가구 규모의 사업지구 역시 인허가 일정을 최대한 단축해 안정적 공급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도심 내 신속한 주택공급과 비아파트 시장 정상화를 위해 신축매입임대 5만가구 이상을 공급하고 전세사기 피해자 회복 지원을 위해 피해 주택 7500가구를 매입한다. 올해 주택 승인물량의 37%를 청년·신혼·고령자에게 공급하고 출산가구 우선공급(통합공임)과 실버스테이 등 새로운 유형의 시니어 주택을 통해 가속화되는 저출산·고령화 문제에도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아울러 쪽방·고시원·반지하 거주자의 주거 상향 지원을 지속하고 예술인 등 다양한 수요층에 부응한 특화형 매입임대도 확대한다. 공공주택은 합리적 가격의 고품질을 보장한다. 무엇보다 최근 급등한 주택 분양가격을 낮춰 국민들의 내 집 마련을 돕는다. 이를 위해 사업지구별 목표 원가를 설정해 관리와 검증을 강화하고 가처분면적 확대와 사업일정 단축으로 조성원가를 인하해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공공주도의 기술개발을 통해 민간기업을 선도할 수 있도록 모듈러주택 표준평면 개발 등 OSC 공법을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고도화하고 LH가 개발한 층간소음 1등급 설계기준과 국내 최대규모의 층간소음 시험시설(데시벨35랩)을 활용해 주택 품질 혁신을 추진한다. 관련 예산은 조기 집행한다. 전체 공공기관 투자계획(66조원)의 33% 수준인 21조6000억원을 차질 없이 집행할 계획이다. 특히 상반기 역대 최대 규모인 57% 이상의 투자를 집행한다. 지역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3000가구를 매입하고 1기 신도시 특별정비계획 수립,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조성 등도 차질없이 추진한다. 손실 최소화 등 재무여건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재원조달 방식도 개선한다. 광명시흥 등 대규모 사업지구에 LH와 기금이 함께 출자하는 신도시 리츠를 설립해 사업에 따른 재무부담을 완화한다. 또 토지 패키지형 공모 등 지구별 특성과 시장 여건에 맞춘 다양한 매각 방식을 도입해 판매여건 개선과 대금 회수를 촉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임금 직접지급 관리를 강화하고 설게 등 공모에 참여하는 외부 심사위원의 정성평가 비중을 축소해 업체 선정의 공정성을 제고한다. 이한준 LH 사장은 "국민의 삶과 국가 경제가 어려운 만큼, 올해도 신속한 주택공급과 투자집행 등 LH가 맡은 역할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라며 "선도적인 공적 역할을 통해 확실한 정책성과를 창출하여 국민 주거안정을 지원하고 국가 경제회복의 마중물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min72@newspim.com 2025-02-23 20:07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