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상하이 FTZ 출범기획] ④제2의 FTZ 후보 경쟁 가열, 광둥·톈진·충칭·푸젠 선두

기사입력 : 2013년09월16일 16:52

최종수정 : 2013년09월16일 16:52

[뉴스핌=조윤선 기자]  중국 주요 도시들이 상하이에 이은 제 2  자유무역지대 후보지 선정을 둘러싸고  벌써부터 치열한 물밑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그래픽=송유미 기자]

제일재경일보(第一財經日報) 등 중국 언론들은 상하이 FTZ가 오는 29일 정식 출범하는 가운데 제2의 FTZ 후보지를 둘러싼 경쟁과 최종적으로 어느 도시가 후보지로 낙점을 받을지 여부에 국내외 관심이 쏠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 언론들은 상하이 FTZ가 국무원으로부터 정식 비준을 통과한 후 전국에 걸쳐 자유무역지대 건설 러시가 일고 있다며, 중국 개혁개방 1번지 광저우(廣州)성의 난사(南沙)와 주하이 헝친(橫琴), 선전 첸하이(前海)는 물론, 톈진(天津), 푸젠(福建)성 샤먼(廈門), 저장(浙江)성 저우산(舟山), 심지어는 내륙지역인 충칭(重慶)까지 다음 자유무역지대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고 전했다.

◇광둥성, 차기 FTZ 경쟁의 맡형

앞서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상하이 FTZ 방안이 통과될 당시, 중국 정부가 "상하이 FTZ 를 시범 운영해 본 뒤 경험 축적을 통해 타지역에도 적용 가능하다"고 밝혀 중국의 상당수 도시가 FTZ 구축에 뜨거운 관심을 표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제2의 FTZ로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는  후보지는 광둥성이다.  광둥성 주샤오단(朱小丹) 성장은 지난 8월 "광둥성 정부는 이미 난사와 첸하이, 헝친에 국가 FTZ를 설립을 정식으로 국무원에 신청했다"며 "광둥성은 지리적 특성을 활용해 위에강아오(粵港澳 광둥·홍콩·마카오) FTZ를 조성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광둥성 정부 관계자는 "중국 정부가 강력하게 FTZ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우선 상하이를 기점으로 기타 지역에 대한 FTZ 설립 비준은 상하이 FTZ 운영 상황에 따라 점진적으로 이뤄질 것"이라며 "광둥성은 빠르면 내년즈음 비준을 받아 본격적인 설립 및 운영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중국 당국은 시범 시행을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패턴으로 개혁 정책을 추진해왔다"며 "상하이도 작년부터 FTZ 설립 준비 작업에 돌입해 올해 정식 시범 운영을 시작으로 향후 기타 지역으로 FTZ 추진 범위가 확대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광둥성은 중국 대외무역 1번지로 기타 지역에 비해 전반적인 여건이 갖춰져 있어 다음번 FTZ가 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그는 말했다.

전문가들은 광둥성 FTZ 설립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광둥성과 홍콩, 마카오간의 조화로운 경쟁과 협력 구도를 어떻게 형성할 것인가에 달려 있다며, 첸하이는 주로 금융분야 협력 업무를 담당, 첸하이는 서비스 무역을, 면적이 가장 넓은 난사는 화물 무역 분야에서 경쟁력을 발휘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밖에 광둥성 FTZ 설립지로 거론되는 헝친신구는 106.46㎢, 첸하이 선강(深港) 현대서비스업 합작구는 15㎢, 난사신구는 803㎢에 달해 그 면적이 상하이 FTZ(28.78㎢)를 훨씬 초과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 'FTZ  홍역' 중국 전역으로 번져

광둥 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들도 잇따라 FTZ 설립에 뛰어들고 있다.

북방 항구도시 톈진은 10㎢에 달하는 둥장(東疆)보세항구를 FTZ로 전환하는 방안을 올해 현지 정부의 중요한 업무 중 하나로 설정하고 이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중국 언론은 전했다.

톈진 정부는 향후 5년내 이 지역에 500억 위안(약 8조원) 이상의 자금을 투입해 항구 주변의 바다를 육지로 조성, 총 40㎢에 달하는 FTZ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중국의 동남부 연해지역에 위치한 푸젠성 성도인 샤먼도 적극적으로 FTZ를 추진하고 있다.

중국민주동맹 샤먼시 경제·도시 건설 위원회 궁샤오웨이(龔小瑋) 부주임 등 전문가들이 시 정부에 '샤먼 FTZ 전체 방안'을 올해 초 현지 양회(兩會ㆍ전인대와 정협)에서 중점 안건으로 제출한 것.

샤먼 FTZ가 아직 실질적으로 정식 신청 단계에 들어간 것은 아니지만, FTZ 설립에 대한 작업이 상당 부분 이뤄진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충칭도 내륙지역 가운데서는 FTZ 설립에 가장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올해 초 중국 전국 양회에서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이자 충칭 양강신구(兩江新區) 관리위원회 탕쭝웨이(湯宗偉) 상무부주임이 '충칭 양강신구 내륙 FTZ 설립에 관한 건의'를 제출, 중앙 정부에 정책적 지원을 호소한 바 있다.

이밖에 산둥(山東)성 칭다오(青島)와 항저우 저우산도 FTZ 설립 의향을 적극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상하이 재경대학 천보(陳波) 교수는 "광둥성을 비롯한 지방정부가 잇따라 FTZ 설립 신청을 하고 있지만 중앙 정부가 우선 상하이 FTZ를 추진한 이후 점진적으로 기타 지역으로 확대할 것으로 보여, FTZ가 단기간내 타 지역에서 시행될 가능성은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사실상 FTZ 확대는 상하이 FTZ 확장이나 기타 FTZ 설립 또는 FTZ 관련 법률법규 개선이나 개혁의 형태로 추진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베이징(北京)대학 양카이중(楊開忠) 교수는 "톈진이든 광둥성이든 FTZ 신청은 대부분 당국의 비준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며 "단지 시간 문제일 뿐"이라고 말했다.

한편 상하이 FTZ 설립으로 국제금융센터로서 홍콩의 경쟁력이 약화될 것이라는 일각의 우려에 대해 양 교수는 "홍콩은 상하이 FTZ 설립으로 경쟁이 불가피하지만 각지의 특색을 살려 협력과 상호보완성을 강화할 수 있다"며 "홍콩은 지리적 이점을 활용해 광둥성과 심도있는 협력을 모색할 수 있다"고 역설했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해외 투자 자금이 대체로 홍콩을 거쳐 중국 본토로 유입되고 있기 때문에, 광둥성의 '위에강아오' FTZ 설립 비준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중앙지법, 尹 구속적부심 18일 오전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내란 특검(특별검사)'의 재구속 적법성 여부가 오는 18일 나온다. 1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은 형사9-2부(재판장 류창성)오는 18일 오전 10시15분 윤 전 대통령 측이 청구한 구속적부심을 진행한다. 윤석열 전 대통령. [사진=뉴스핌DB] 윤 전 대통령 측 법률대리인단은 이날 오전 중앙지법에 구속적부심사를 청구했다. 윤 대통령 측은 "적부심의 일반적 법리인 구속이 실체적, 절차적으로 위법·부당하다는 점을 다툴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검은 지난 6일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후 서울중앙지법 남세진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지난 9일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진행한 뒤 다음 날 새벽 '증거인멸 우려'를 이유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형사소송법에 따르면 법원은 구속적부심사 청구가 접수된 후 48시간 이내에 피의자를 심문하고, 증거 조사를 진행해야 한다. hyun9@newspim.com 2025-07-16 14:41
사진
'강선우 임명' 딜레마 빠진 대통령실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임명 여부를 놓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보좌진 갑질' 의혹과 해명 번복, 임금 체불 논란 등이 이어지며 여론이 악화한 가운데, 대통령실은 인사 원칙과 여성 내각 구성이라는 정치적 목표 사이에서 셈법이 복잡해진 분위기다. 강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는 지난 15일 마무리됐지만, 논란은 오히려 커졌다. 국회 보좌진들 사이에선 익명 폭로가 이어지고, 여성단체들까지 "사퇴해야 한다"는 성명을 잇달아 내고 있다. 여권 내부에서도 부담을 토로하는 기류가 감지된다. 그럼에도 대통령실은 결정을 미루고 있다. 남은 청문회 과정을 모두 지켜본 후 종합 판단하겠다는 게 현재까지 대통령실 입장이다. 내부적으로 '임명 강행'과 '철회' 사이에서 득실 계산이 한창이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세계정치학회(IPSA) 서울총회 개막식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4 photo@newspim.com ◆ 여성 인재 중용 기조...정치적 부담 상존 임명을 강행할 경우,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여성 인재 중용 기조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이 대통령은 내각 여성 비율을 30% 목표로 한다고 공언했으며, 여성가족부를 존치한 배경에도 그 같은 상징성이 깔려 있다. 실제로 강 후보자 외에도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등 여성 후보자들이 줄줄이 청문회에 오르면서, 한 명의 낙마가 전체 균형을 흔드는 도미노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정치적 부담도 고려 대상이다. 강 후보자는 현직 국회의원이다. 만약 청문회를 거쳐 낙마할 경우, 이는 청문회 제도가 도입된 2000년 이후 사실상 처음 있는 '현역 의원 낙마' 사례가 된다. 이는 청문회 제도와 야당의 검증력을 키워주는 반면, 여당에겐 타격이 될 수 있다. 임명을 강행할 경우의 리스크도 작지 않다. 무엇보다 시민사회와 보좌진들 사이에 형성된 비판 여론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의 도덕성과 인사 기준 자체에 흠이 날 수 있다. 강 후보자는 앞서 '사적 지시는 없었다'는 취지로 부인했으나, 이후 공개된 텔레그램 메시지로 거짓 해명 논란이 일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07.14 mironj19@newspim.com ◆ '버티기 인사' 반복시 내각 전체 불신 확산 우려 또한 임명 강행은 향후 이진숙 후보자 청문회에도 불똥을 튀게 할 수 있다. 여론이 악화된 상황에서 '버티기 인사'를 반복하면, 결국 전체 내각에 대한 불신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게 일부의 우려다. 대통령실은 16일 이후 여론 흐름 등을 토대로 강 후보자에 대한 거취를 결정할 방침이다. 일각에선 이진숙 후보자 청문회까지 모두 지켜본 뒤, 장관 인선을 '패키지'로 정리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정권 초반 인사를 둘러싼 시험대에서 이 대통령이 어떤 선택을 할지 주목된다. 강 후보자의 임명은 단순한 인사 문제를 넘어, 여성 인재 정책과 인사 기준, 여당 내 권력구도와도 맞물린 상징적 분기점이 되고 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의원 보좌진 모임인 민주당보좌진협의회(민보협) 역대 회장단은 이날 성명을 통해 강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요구했다. 이들은 "국회의원에게 보좌진은 단순한 직원이 아니라 의정활동 전반을 보좌하는 파트너이자 국민과 국회를 잇는 다리"라며 "그런 보좌진의 인격을 무시한 강 후보자의 갑질 행위는 여성가족부 장관은 물론 국회의원으로서의 기본적 자세조차 결여된 것이라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parksj@newspim.com 2025-07-16 14:3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