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랠리 뒤 숨 고르기…뉴욕 선물 소폭 하락
메타의 '구글 AI칩' 검토에 엔비디아·AMD↓
오늘 발표될 소비·물가 지표에 시장 촉각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전날 인공지능(AI) 대형주가 주도한 랠리로 뉴욕 증시가 급등한 뒤, 25일(현지시간) 미국 주가지수 선물은 소폭 하락하며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투자자들은 이날 발표될 소비·물가 지표와 주요 기업 실적을 기다리며 관망세를 보였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미 동부 시간 오전 7시 40분 기준 S&P500 E-미니 선물은 전장보다 3.00포인트(0.04%) 내린 6718.25를 기록했다. 나스닥100 선물도 38.75포인트(0.16%) 하락한 2만4909.50에 거래 중이다. 다우 선물은 49.00포인트(0.11%) 전진한 4만6465.00을 가리켰다.
![]() |
|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트레이더 [사진=블룸버그통신] |
이날 시장의 관심은 엔비디아를 향했다. 더 인포메이션 보도에 따르면 메타 플랫폼스가 2027년부터 데이터센터용 AI 칩을 엔비디아 대신 구글의 칩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내년부터는 구글 클라우드에서 칩을 임대하는 방안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보도에 ▲엔비디아(NASDAQ:NVDA)와 ▲AMD(AMD)는 개장 전 주가가 2~4% 떨어졌고, 반대로 구글 모회사 ▲알파벳(GOOGL)은 프리마켓에서 4% 넘게 급등했다. 알파벳과 협력관계를 맺고 있는 ▲브로드컴(AVGO)도 3% 넘게 올랐다.
전날 뉴욕 증시는 오랜만에 기술주 중심 반등세를 연출했다. S&P500은 1.6% 뛰었고, 나스닥은 2.7% 급등하며 6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주요 기술주가 지난 한 달간 조정을 받았던 흐름을 되돌리는 모습이었다. 다우지수도 0.4% 오르며 강한 마감을 보였다.
특히 알파벳은 '매그니피센트 세븐(M7)' 가운데 가장 돋보였고, 하루 동안 6.3% 상승했다. AI용 ASIC 칩 수요로 수혜를 본 브로드컴은 11% 넘게 뛰며 S&P500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알파벳의 주가는 이미 올 들어 68% 상승하며 시가총액 4조 달러에 근접했다. 최근 버크셔 해서웨이의 지분 투자와 신형 AI 모델 '제미니 3'에 대한 호평이 추가 상승 동력이 됐다.
다만 미국 3대 지수는 아직 11월 월간 기준으로는 모두 마이너스권이다. S&P500은 이달 들어 약 2%, 나스닥은 3.6%, 다우는 2.3% 하락한 상태다. 올해 상반기 AI 랠리를 이끈 기술주의 밸류에이션 부담이 재차 도마 위에 오르며, 시장이 연말 랠리로 이어질지 또는 모멘텀 반전이 나올지 불확실성도 커진 상황이다.
![]() |
| 구글 클라우드 로고 조형물 [사진=블룸버그통신] |
JP모간 프라이빗뱅크의 애비 요더 전략가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10월 말부터 시장 유동성이 빠지면서 강한 조정이 나타났다"면서도 "그동안 AI 지출과 AI 산업 전반의 펀더멘털은 견조하게 유지돼 왔다"고 평가했다. 그는 "연말로 갈수록 투자심리는 개선될 수 있지만, 시장의 선별력은 더 강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준의 통화정책 회의도 최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시장은 12월 연준이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할 가능성을 80% 이상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불과 1주일 전 40% 수준에서 급등한 것이다.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가 "단기적으로 금리 인하 여지가 있다"고 밝힌 데 이어,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도 "노동시장 둔화를 고려해야 한다"며 인하를 지지한 것이 영향을 줬다.
이날 시장 개장 전 발표될 9월 소매판매, 11월 소비자신뢰지수, 지연 발표된 9월 생산자물가지수(PPI) 등이 미국 소비의 체력과 연준의 물가 판단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전망이다. 딕스 스포팅 굿즈(NYSE:DKS), 베스트 바이(BBY), 애버크롬비 & 피치(ANF), 콜스(KSS) 등 주요 소비기업 실적도 예정돼 있어 시장은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크다.
기업별 이슈도 이어졌다. 광학기기 제조업체 ▲코히런트(COHR)는 베인캐피털이 11억4000만 달러 규모 지분을 블록딜로 매각한다는 소식에 프리마켓에서 주가가 3% 가까이 떨어졌다. ▲줌 커뮤니케이션스(ZM)는 연간 실적 전망을 상향 조정하며 시간외 거래에서 5% 넘게 상승했다.
한편, 시장은 우크라이나 평화협상 관련 소식과 미·중 무역관계 개선 신호도 이어서 지켜보고 있다.
koinwon@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