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발트빛 바다·붉은 장엄이 연출하는 황홀
수로부인·헌화가·해가·숙종대왕·송강·겸재·옥소선생...스토리텔링 보고
[울진=뉴스핌] 남효선 기자 = 코발트빛 바다와 붉은 장엄이 연출하는 빛깔은 가히 자연만이 가져다주는 '황홀'이다.
송강(松江) 정철(鄭澈) 선생이 일찍이 울진 망양정(望洋亭; 당시 기성현 소재)을 찾아 비로소 눈으로 확인한 '천근(天根, 하늘뿌리, 수평선)'이 '푸른빛과 붉은빛이 어우러진' 형용할 수 없는 빛깔을 선사한다.
![]() |
| 동해안의 최고의 해돋이 명소로 각광받는 경북 울진의 망양정.[사진=울진군] 2025.11.25 nulcheon@newspim.com |
망양정이 본래 기성면 망양리에서 이곳 근남면 산포리로 이건하기 전 송강(松江) 정철 선생이 밟은 망양정은 바다와 맞닿은 해안 절벽 위에 자리를 틀고 있었다.
이는 조선 조 최고의 진경화가인 겸재 정선의 '망양정도(望洋亭圖)'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겸재 정선의 망양정도는 그야말로 해안 기암절벽에 단아한 모습으로 푸른 동해를 조망하는, 당시의 망양정을 실사(實寫)처럼 보여준다.
파도가 햇볕에 흰 포말을 유리알처럼 부수며 해안 절벽을 오르는 모습은 상상 속에서도 황홀 그 자체이다.
울진군 기성면 구산항을 지나 봉산 포구를 돌아 '오징어 풍물거리'로 조성된 망양리에 다다르면 '울진 바다의 아름다움과 빛깔을 오롯이 만나는' 망양정 옛터를 만난다.
![]() |
| [울진=뉴스핌] 남효선 기자 = 조선조 진경산수화의 대가인 겸재 정선의 '망양정도'. 2025.11.25 nulcheon@newspim.com |
겸재 정선은 "조선 조 천하제일루"의 명성을 떨친 망양정을 만나기 위해 한양을 떠나, 천리 길을 달려와 "만경창파를 굽어보며 파도가 부서지는 해안 단애 꼭대기에 하늘을 받치고 있는 망양정을 보고 단숨에 불후의 명작 '망양정도'를 남겼다.
정선의 '망양정도' 만으로도 숙종 대왕이 왜 '천하제일루'라는 액편을 하사했는지를 너끈히 알 수 있다.
'천하제일루'의 명성은 이제 유허비와 세 그루의 송림으로 남고, 망양정은 '울진의 젖줄'인 왕피천이 바다와 만나는 울진군 근남면 산포리로 이건돼 옛 명성을 다시 되살리고 있다.
울진군은 몇 해 전 겸재 정선의 망양정도를 토대로 옛 망양정을 복원했다.
![]() |
| 동해안 최고의 해돋이 명소로 각광받는 경북 울진의 망양정[사진=울진군] 2025.11.25 nulcheon@newspim.com |
◇ 신라 수로 부인이 펼친 열정의 스캔들 현장, 기성 조도잔(鳥道棧)
망양정에는 사뭇 가슴을 치는 수로 부인의 연정이 오롯이 녹아 있다.
남편인 강릉 태수를 만나기 위해 당시 신라 수도인 동경(현 경주)을 떠나, 험한 파도 넘실대는 바다 길을 따라 먼 여정에 나선 수로 부인이 울진 땅 기성에 도착해 '열정의 스캔들'에 빠진다. 삼국유사는 수로 부인이 얽힌 소중한 사랑의 노래 두 편을 남겼다. 하나는 '헌화가(獻花歌)'이며, 또 하나는 '해가(海歌)'이다.
몇 해 전 영덕군이 마련한 '수로 부인 헌화가 재조명 학술 심포지엄'에서 "영덕군 굴곡포가 '헌화가의 발상지'이며 '임해정이 울진 월송정 인근'"이라는 주장에 나와 주목받았다.
당시 심포지엄에서 전영권 교수(대구가톨릭대학교 지리학)는 '수로 부인 행로의 문화, 역사, 지리적 분석'이라는 학술논문을 통해 "영덕 굴곡포가 헌화가의 배경 발상지"라며, 이의 근거로 "삼국유사 '수로 부인 조'의 배경과 굴곡포의 지형적 배경이 맞아떨어지고, 굴곡포로부터 이틀 거리인(1일 도보 30km 기준) 울진 평해 월송정이 삼국유사 수로 부인 조에 나오는 임해정"임을 제시했다.
이 같은 주장에 근거해 '영덕 굴곡포가 헌화가의 발상지'일 경우 울진군 월송정 일원은 삼국유사의 '해가'의 발상지인 '임해정(臨海亭)'이 유력해진다.
반면, 삼척시의 주장대로 '삼척 새천년 도로 일원이 해가의 발상지'이면 '울진은 헌화가의 발상지'가 되는 셈이다.
![]() |
| [울진=뉴스핌] 남효선 기자 = 숙종대왕이 '천하제일루'라는 액편을 하사한 경북 울진군 기성면 망양리의 '망양정 옛 터'에 복원된 누각.2025.11.25 nulcheon@newspim.com |
최근 일부 사학자들과 울진 지역 향토사학자들은 "울진 기성 옛 망양정 부근이 수로 부인 관련 배경지"임을 비정한 바 있다.
실제, 조선 숙종·영조 대의 뛰어난 문인인 옥소(玉所) 권섭(權燮, 1671~1795)의 '玉所稿' '遊行錄' 권二에 "임의(해?)대(臨猗(海?)臺)는 망양정 아래에 있다"는 기록에 미루어, 옛 망양정 부근이 '임해대(정)'로 확인될 경우, 울진 망양정 부근이 '수로 부인 관련 역사문화적 배경지'로 새롭게 조명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옥소 권섭 선생의 '기성팔경' 등 옛 문헌 기록에 나타나는 기성 망양리의 해안 절벽을 잇는 옛길인 '조도잔(鳥道棧)'으로 미루어 '기성 망양 해안'이 수로 부인의 해가(海歌)의 현장이라는 설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망양정 옛터는 조선 후기 기행가이자 문인인 옥소 권섭의 유행록(遊行錄) 속에 등장하는 '조도잔(鳥道棧)'과 함께 신라 시대 수로 부인이 남편인 강릉 태수를 만나러 가는 길에서 벌어지는 로맨틱 스캔들을 담은 "꽃 꺾어 바친 백수노인"의 이야기인 '헌화가(獻花歌)'와 '해가(海歌)'의 현장으로도 추정돼 울진의 정수를 보여주는 스토리텔링의 현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nulcheon@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