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부터 3차례 통합 시도 불발...4번째 또 무산에 지역주민 '허탈'
행·재정력 낭비, 지역주민 허탈감 등 후폭풍 예고...정치 쟁점 부각 전망
[전주=뉴스핌] 이백수 기자 = 완주·전주 통합이 사실상 무산됐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기자간담회에서 "민선 8기 동안에 완주·전주 통합이 어렵게 됐다"고 25일 밝혔다.
앞서 지난 9월 25일 윤호중 행안부 장관, 김관영 전북지사, 안호영·이성윤 의원, 우범기 전주시장, 유희태 완주군수 등의 '6자 회담'이후 2개월이 넘도록 행안부가 주민투표와 관련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왔다.
![]() |
| 지난 9월 25일 완주-전주 통합논의를 위한 국회 간담회에 윤호중 행안부 장관과 김관영 전북지사, 안호영 의원, 이성윤 의원, 우범기 전주시장, 유희태 완주군수가 기념촬영했다.[사진=전북자치도]2025.11.25 lbs0964@newspim.com |
이에따라 내년 6월 지방선거 이전 통합 불발은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가운데 통합 당사자인 전주시장의 '부정적' 의견표명은 이번이 처음이다. 물론 유희태 완주군수는 통합 반대입장을 견지해 왔기 때문에 완주·전주 통합은 양 자치단체장들에 의해 '무산'이 확인된 셈이다.
지역주민들은 내년 6월3일 지방선거에서 통합시장을 뽑으려면 내일 당장 주민의사를 묻는 절차에 들어간다해도 물리적으로 쉽지 않기 때문에 6자회담 당사자들의 공식적인 의견표명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였다. 때문에 우범기 전주시장의 이날 의사표명에 이어서 김관영 전북지사 및 윤호중 행안부장관의 공식적인 발표가 요구된다.
완주군 및 전주시 주민들은 지난 1997년, 2009년, 2013년 모두 3차례 통합시도가 무산된 이후 지난해부터 불붙기 시작한 통합논의에 대해 나름대로 기대를 걸어왔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지난해 '시군상생발전 조례'까지 제정하며 통합을 뒷받침하려 했으나 무산수순에 들어감에 따라 행·재정력 낭비를 포함해 지역주민 허탈감 등 후폭풍 또한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입후보자들 사이에서도 '정치 공약에 대한 정치적 책임론' 등 완주·전주 통합 불발은 정치 쟁점으로 부각될 전망이다.
lbs0964@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