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별 3~5단계 성취수준 설정 및 세부 특성 명시
3000여 명 교사 연수 참여, 학생 맞춤형 피드백 강화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도교육청은 전국 최초로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14개 교과에 대한 '성취평가 표준화 평가도구'를 개발해 보급하기로 했다고 16일 밝혔다.
![]() |
| 성취평가 표준화 평가도구 개발자료표지. [사진=경기도교육청] |
도교육청에 따르면 이번 평가도구 개발은 지난해 12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국어, 수학, 사회, 과학 등 4개 교과의 자료를 개발한 것에서 확대된 사례다. 성취평가는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학생의 성취 수준을 구체적으로 파악해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식이다.
도교육청은 성취기준에 따른 성취수준(A~E) 파악을 통해 실제 수업에서 실용적인 평가가 가능하도록 각 교과별로 표준화 평가도구를 마련했다. 이 평가도구는 교과 성취기준에 따라 3단계 또는 5단계의 성취수준을 설정하고, 각 수준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명시해 지필 및 수행 평가 설계 기준을 제시했다.
또한 도교육청은 ▲각 평가요소에 적합한 평가방법 제안 ▲교과별 특성을 반영한 채점 기준표 제공 ▲분할점수 예시 자료 제공 등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이 도입되는 고등학교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도교육청은 평가도구 개발 후 교원을 대상으로 학생 평가 실행 연수를 시행해 성취평가의 정착을 지원하고 있으며, 11월 기준으로 도내 3천여 명의 교사가 이 연수에 참여해 전문성 향상에 나서고 있다.
이 평가도구의 활용으로 학생들은 자신의 성취수준을 정확히 알고 학습 과정을 성찰할 수 있다. 교사는 수업과 평가를 긴밀히 연결해 학생에게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학교 교육의 본질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14개 교과에 대한 평가도구 자료는 도교육청 누리집의 '뉴스/소식-통합자료실–중등교육과'에서 누구든지 내려받아 사용할 수 있다.
1141world@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