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저녁 말레이 현지 동포 만찬 간담회
27일 캄보디아와 정상회담…스캠 대응 주목
말레이와 정상회담…무역·인프라·방산 강화
다카이치 새 日 여성 총리와 만남도 관심사
[쿠알라룸푸르=뉴스핌] 박찬제 기자 김종원 선임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6일 오후 1박 2일간의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도착했다.
이날 오전 김혜경 여사와 함께 서울공항을 통해 출국한 이 대통령은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 도착했다.
여승배 주말레이시아 대사 부부와 이장근 주아세안 대사가 영접했다. 말레이 측에서는 다또스리 알렉산더 난타 공공사업부 장관, 다또 유바즐란 외교부 의전장, 다툭 로자이너 총리실 의전관이 이 대통령 부부을 맞았다.
![]() |
|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26일 오후 아세안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프 국제공항에 도착해 환영 의장 행사를 받으며 걸어 나오고 있다. [사진=KTV] |
이 대통령 부부는 도착 첫날인 이날 저녁 말레이시아 현지 동포들과 만찬 간담회를 한다.
이튿날인 27일에는 첫 일정으로 캄보디아 훈 마네트 총리와 정상회담을 한다. 한-캄보디아 전략적 동반자 관계 발전과 함께 온라인 스캠(사기) 범죄 대응 공조 등 양국 간 현안에 대해 협의한다.
같은 날 오전에 열리는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한-아세안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발전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한다. 이어지는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에서는 아세안과 한중일 간 협력 강화를 표명할 예정이라고 위 실장은 설명했다.
특히 아세안+3 정상회의 계기로 지난 21일 취임한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새 총리와 첫 대면이 이뤄질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같은 날 오후에는 이 대통령이 올해 아세안 의장국인 말레이시아의 안와르 이브라힘 총리와 정상회담을 한다. 전략적 동반자 관계 심화와 함께 무역·투자·인프라·방산 등 실질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한다.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는 27일 저녁까지 진행된다. 하지만 이 대통령은 경주 APEC 정상회의 준비를 위해서 27일 오후에 귀국길에 오른다. 나머지 일정은 조현 외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맡는다.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지난 24일 이번 아세안 정상회의 참석과 관련한 브리핑에서 "아세안 정상회의를 시작으로 경주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로 이어지는 다자 정상회의 슈퍼위크가 펼쳐진다"고 말했다.
![]() |
이번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참석 기대 성과로 ▲한국의 아세안 중시 기조 재확인과 한-아세안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발전 방향 제시 ▲아세안과 한중일 다층적 지역 협력 견인 ▲한국 정부의 한반도 정책의 아세안 지지 확보라고 위 실장은 3가지를 설명했다.
아세안 중시 기조 재확인과 한-아세안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발전 방향 제시와 관련해 위 실장은 "이 대통령은 취임 후 처음 참석하는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에서 한-아세안 간 2000억 달러(288조원)에 달하는 연간 교역과 1200만명을 상회하는 인적 교류를 한 단계 더 도약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위 실장은 "AI(인공지능) 등 미래 전략 분야에 대한 협력을 강화하고 온라인 스캠 범죄 등 역내 도전에 함께 대응하는 포괄적 전략 동반자로서 한-아세안 관계의 발전을 도모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세안과 한중일 다층적 지역 협력 견인과 관련해 위 실장은 "아세안과 한중일이 함께 참석하는 아세안+3 정상회의를 통해 디지털 격차와 식량, 에너지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 사업 추진 동력을 확보한다"면서 "아세안을 매개로 한중일 3국 협력의 모멘텀을 선순환적으로 강화하는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 정부의 한반도 정책에 대한 아세안 지지 확보와 관련해 위 실장은 "한반도 평화 공존과 공동 번영의 새 시대를 구축하고자 하는 한국의 한반도 구상을 아세안에 공유하며 이에 대한 지지와 건설적 기여를 당부할 것"이라고 말했다.
kjw861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