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한겨레 이어 조선일보 멤버십 서비스로 확대
초기 비용 및 지면 배송 비용 절감, 수익 다각화 효과
[서울=뉴스핌] 조한웅 기자 = 국내 주요 언론사들이 비큐AI의 클라우드 에디션 뷰어 '위고뷰(WIGOVIEW)'를 잇따라 도입하며 디지털 지면 서비스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다. 위고뷰는 기존 PDF 기반 뷰어의 한계를 넘어 독자 중심의 편의성과 확장성을 제공해 프리미엄 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전환의 핵심 솔루션으로 자리 잡고 있다.
위고뷰는 신문, 잡지, 소식지, 카탈로그, 사보 등 다양한 형태의 지면을 Active-X 및 Plug-In 설치 없이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에서 고화질로 열람할 수 있는 차세대 뷰어 서비스다.
위고뷰는 ▲디바이스별 최적화된 화면 제공 ▲기사 스크랩 및 메모 기능 ▲날짜별 간편 이동 ▲온라인 기사 연동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독자는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지면을 열람할 수 있으며, 고객사는 디지털 환경에서 효율적인 아카이브 관리와 독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현재 위고뷰는 중앙일보, 한겨레 등 주요 일간지를 비롯해 다수의 언론사에서 이용 중이며, 15일에는 조선미디어그룹의 조선멤버십 전용 뷰어로 탑재돼 조선일보를 포함한 8종의 신문·매거진 서비스를 시작했다.
고객사들은 위고뷰 도입을 통해 개발비, 인건비, 서버 구축비 등 운영 비용 절감과 유료화를 통한 수익 다각화, 지면 배송 비용 절감, 멤버십 등 독자서비스 강화 등의 효과를 보고 있다.
업계에서는 위고뷰가 단순한 열람 툴을 넘어 미디어 자산을 디지털화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플랫폼으로 평가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디바이스에서의 일관된 서비스 환경 구축과 과거지면 등 축적된 콘텐츠의 활용도를 크게 높일 수 있고 신문·매거진 등의 디지털 활용에 최적화된 다양한 기능 제공이 강점으로 꼽힌다.
비큐AI 관계자는 "위고뷰는 AI시대의 핵심 자산인 데이터 자산 강화 전략의 하나로 데이터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고객사는 독자 경험 개선과 아카이브 자산의 가치 향상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으며 향후 자체 AI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AI서비스가 연동 가능한 형태로 확장해 위고뷰 클라우드 플랫폼을 완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비큐AI는 향후 언론사뿐 아니라 잡지사, 기업, 정부기관, 지방자치단체, 대학 등으로 범위를 넓혀 클라우드 뷰어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 |
[로고=비큐AI] |
whits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