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고관세 정책 따른 경기도 수출 중소기업 영향 실태조사 결과
47.3% 직접적인 피해 경험
[수원=뉴스핌] 박노훈 기자 =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하 경과원)은 이달 발행한 '이슈 브리핑(ISSUE BRIEFING)'을 통해 '미국 고관세 정책에 따른 경기도 수출 중소기업 영향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
![]() |
경과원 전경. [사진=경과원] |
이번 조사는 글로벌 통상 환경 변화 속에서 도내 수출기업의 피해 현황을 진단하고 향후 지원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추진됐다.
조사는 지난 9월 경기도 내 수출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기업들의 애로사항과 대응전략, 정책 수요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조사 결과 응답 기업의 47.3%가 미국 고관세 정책 변화로 인해 직접적인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52.5%는 '상당한 타격'을 입었다고 응답해 충격 규모가 적지 않음을 보여줬다.
피해 유형으로는 ▲수출 단가 상승에 따른 가격경쟁력 약화(29.3%) ▲해외 바이어 거래 유지 어려움(28.0%) 등이 가장 크게 꼽혔다.
이는 고관세로 인한 원가 부담이 단순히 기업 수익성 악화에 그치지 않고, 해외 거래선 이탈로 이어지는 구조적 문제로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럼에도 기업들은 적극적인 대응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체 응답 기업의 55.0%는 ▲생산비 절감(20.3%) ▲신규 수출국 발굴(20.0%) 등을 통해 자구책을 추진 중이라고 답했다.
업종별로는 자동차 업종이 신규 시장 개척 의지를 36.1%로 나타내 평균보다 훨씬 높았으며, 반도체 업종은 기존 시장 유지·집중 전략을 선택한 비율이 51.5%에 달해 보수적 태도가 뚜렷했다.
신규 진출 희망 지역으로는 ▲EU(24.7%) ▲인도(11.1%) ▲일본(6.2%) 순으로 조사돼, 미국 의존도를 낮추고 시장 다변화를 모색하려는 흐름도 확인됐다.
기업들은 관세 외에도 ▲수출 운영자금 부족(49.7%) ▲운송비 상승(44.0%) ▲가격경쟁력 약화(40.3%)를 주요 애로사항으로 꼽았다.
응답 기업의 62.7%가 수출금융 지원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으며, ▲해외전시회 참가 지원(48.0%) ▲해외규격 인증 지원(47.7%) ▲해외마케팅 대행 지원(46.7%) 등 글로벌 시장 진출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사업에 대한 수요가 높게 나타났다.
경기도의 수출지원제도 활용 경험은 전체의 52.7%였으며, 이 가운데 71.5%는 "만족한다"고 답해 제도의 효과성이 입증됐다.
김현곤 경과원장은 "이번 조사로 미국 고관세 정책 변화가 도내 수출 중소기업에 큰 충격을 주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기업들의 자구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경기도와 긴밀히 협력해 금융·마케팅 등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과원은 산업·경제·신기술 분야 주요 현안을 다루는 '이슈 브리핑'을 발간하고 있다.
이번 '미국 고관세 정책에 따른 경기도 수출 중소기업 영향 실태조사' 자료는 경과원 홈페이지www.gbsa.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ssamdory7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