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매출 56% 급증…저가 매수 기회 vs 중국 리스크
반도체·스노우플레이크 등 AI 관련주 반등세
트럼프의 연준 간섭에도 시장 무덤덤…29일 PCE 지수 주목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28일(현지시간) 뉴욕증시 개장 전 주요 주가 지수 선물이 보합권에서 등락을 거듭했다.
전날 장 마감 후 발표된 인공지능(AI) 반도체 대장주 엔비디아의 2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웃돌았지만, 3분기 실적 전망에서도 엔비디아가 중국 판매 가능성을 배제하는 등 불확실성이 부각되며 투자자들이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미 동부시간 오전 8시 40분(한국시간 오후 9시 35분) 기준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S&P500 E-미니 선물은 3.25포인트(0.05%) 하락한 6,492.75에, 나스닥100 선물은 28.75포인트(0.12%) 내린 2만3,600.00을 기록했다. 반면 다우 선물은 31.00포인트(0.07%) 상승한 4만5,673.00에 거래됐다.
![]() |
뉴욕증권거래소(NYSE) 트레이더들 [사진=로이터 뉴스핌] |
◆ 엔비디아 매출 56% 급증…"저가 매수 기회" vs "중국 리스크"
엔비디아는 2분기 매출이 467억4000만달러(약 65조원)로 전년 대비 56% 급증하며 시장 예상치를 넘어섰다. 다만 데이터센터 부문 매출이 411억달러(약 57조원)로 기대치에 소폭 못 미쳤고, 3분기 매출 가이던스도 540억 달러로 시장 예상(531억 달러)을 소폭 웃도는 수준에 그쳤다. 기대에 못 미친 데이터센터 매출, 중국향 판매 불확실성 등에 하락하던 ▲엔비디아(NYSE:NVDA)의 주가는 이날 정규장 개장 시간이 다가오면서 낙폭을 줄이고 있다.
월가 전문가들은 "중국향 H20 칩 판매를 제외한 보수적 전망"이라며, 향후 미·중 간 협의 진전에 따라 매출 상향 가능성이 남아 있다고 지적했다. JP모간, 씨티, 번스타인 등 월가 투자은행들도 일제히 목표가를 올리며 장기 성장성에 무게를 두었다.
앱터스 캐피털 어드바이저스의 데이비드 와그너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데이터센터 매출 우려에도 엔비디아의 분기 매출 성장률이 50%를 넘는다"며 "현재 조정은 과도하다. 저가 매수 기회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 |
블랙웰(왼쪽)과 H100(오른쪽)을 들어 보이는 젠슨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 [사진=업체 제공] |
◆ 반도체·스노우플레이크 등 AI 관련주 반등세
엔비디아 실적에 대한 해석이 엇갈렸지만 AI 산업 전반의 성장 기대는 여전했다. 프리마켓 개장 직후 하락하던 반도체 기업들의 주가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반도체 기업 ▲브로드컴(AVGO)은 프리마켓에서 0.5% 반등했고, 데이터 클라우드 기업 ▲스노우플레이크(SNOW)는 AI 수요 확대에 힘입어 2026 회계연도 제품 매출 전망치를 상향하면서 개장 전 주가가 14% 급등했다.
스노우플레이크는 27일 실적 발표에서 연간 제품 매출을 44억 달러(약 6조 1037억원)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기존 전망치 43억 3000만 달러에서 올린 수치다.
전자제품 전문 유통 기업 ▲베스트바이(BBY)는 2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추가 관세 가능성을 언급하며 연간 가이던스를 동결했다. 이에 프리마켓에서 하락하던 주가는 소폭 반등세로 돌아섰다.
미국 할인 소매업체 ▲달러 제너럴(DG)은 연간 전망치를 상향하며 개장 전 주가가 4% 넘게 오른 반면, 목욕·위생용품 판매 기업 ▲배스 앤 바디 웍스(BBWI)는 2분기 실적 부진으로 개장 전 주가가 4% 이상 떨어졌다.
전날 뉴욕 증시는 엔비디아 실적에 대한 기대감 속에 S&P500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상승세로 마감했다. 8월 들어 S&P500과 나스닥은 각각 2% 이상, 다우지수는 3% 넘게 올랐다.
◆ 트럼프의 연준 간섭에도 시장 무덤덤…29일 PCE 지수 주목
투자자들은 이번 주 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리사 쿡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에게 해임을 통보하며 중앙은행 독립성에 위협을 가한 것에는 크게 개의치 않는 모습이다. 쿡은 법적 대응을 예고한 상태다.
시장의 다음 관문은 29일(금요일) 발표될 인플레이션 지표다. 다우존스 사전 조사에서 전문가들은 7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가 월간 0.2%, 연간 2.6% 상승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koinw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