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꾼의 심리전...피해자의 조바심 이용
중고거래 사기...2024년 10만건 이상 발생
'사기 링크' 따라 들어가면 '가짜 돈' 입금
[서울=뉴스핌] 조준경 기자 = 지난 2월 A씨는 B씨로부터 중고거래 어플리케이션 당근마켓에 올려 놓았지만 몇 달 째 팔리지 않던 물건을 사겠다는 연락을 받았다. 사기꾼이었던 B씨는 자신이 사용하는 쇼핑몰 마일리지를 사용하고 싶다며 링크 주소를 전달했다. 그러나 해당 쇼핑몰 링크는 사기 범죄를 위해 조성된 '가짜 공간'이었다.
중고거래 사기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지난 2024년 12월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1월부터 10월까지 발생한 중고거래 사기는 8만여건을 넘어섰다. 2024년 한해 전체 발생한 수는 10만건 이상으로 추정된다.
경찰청이 집계한 통계에 따르면 올해 1~6월 사기범죄 발생 건수는 21만2289건이다. 대략적으로 보더라도 전체 사기범죄에서 중고거래 사기는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 |
[화면캡처=A씨 제공] 중고거래 어플리케이션 당근마켓에서 사기를 위해 접근한 B씨(채팅창 좌측)가 A씨(채팅창 우측)에게 중고거래를 제안하고 있다. |
A씨의 사례를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자. A씨가 당할 뻔한 사기는 '가짜 사이트' 링크를 줘서 피해자를 유도하는 방식이다. 사기꾼 B씨는 출장 등을 핑계로 직접 만나서 거래하는 대신 택배로 A씨의 물품을 보내 달라고 요청하며 자신이 사용하는 쇼핑몰의 마일리지를 사용하고 싶다며 링크를 보냈다.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자 다른 사람들의 중고거래 게시글도 올라와 있는 등 외견상 그럴듯한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 |
[화면캡처=A씨 제공] 중고거래 어플리케이션 당근마켓에서 사기를 위해 접근한 B씨(채팅창 좌측)가 A씨(채팅창 우측)에게 중고거래를 제안하고 있다. |
B씨는 A씨에게 해당 쇼핑몰에 가입해 판매하려는 상품 글을 올리고 자신에게 해당 글의 제목을 알려주면 구매하겠다고 말했다.
B씨가 구매를 완료했다고 말하자 사이트에선 A씨에게 80만 포인트가 입금됐다고 안내했다. 그러나 해당 사이트의 상담 채팅에선 입금된 포인트를 현금화하려면 여러 이유를 들며 보증금 형식으로 40만원을 사이트에 입금해야 한다고 안내했다.
![]() |
[화면캡처=A씨 제공] 중고거래 어플리케이션 당근마켓에서 사기를 위해 접근한 B씨(채팅창 좌측)가 A씨(채팅창 우측)에게 중고거래를 제안하고 있다. |
이상함을 감지한 A씨는 우선 입금하지 않고 B씨에게 "사이트가 이상하다"며 "구매한 것을 취소하시고 직거래를 하자"고 요청했지만 B씨는 "뭐가 이상한가요?"라고 반문했다.
B씨는 구매를 취소하지 않겠다며 버티기 시작했다. A씨가 B씨에게 구매 취소를 요청한 것은 B씨로부터 80만 포인트를 자신의 사이트 계정으로 입금 받은 것을 반환해주기 위함이었다.
![]() |
[화면캡처=A씨 제공] 중고거래 어플리케이션 당근마켓에서 사기를 위해 접근한 B씨(채팅창 좌측)가 A씨(채팅창 우측)에게 중고거래를 제안하고 있다. |
A씨는 "거래 방식은 내가 동의해야 하는 것"이라며 다시 취소를 요구했지만 B씨는 "제가 취소하려고 구매한것도 아니구요 빨리 마무리해 주시고 송장번호 보내요"라며 다급한 명령조로 대화를 시도했으나 곧 "네 제가 취소해볼게요"라며 태도를 바꿨다.
![]() |
[화면캡처=A씨 제공] 중고거래 어플리케이션 당근마켓에서 사기를 위해 접근한 B씨(채팅창 좌측)가 A씨(채팅창 우측)에게 중고거래를 제안하고 있다. |
A씨는 사이트 최하단에 있는 우편주소를 네이버 지도에 검색했다. 그랬더니 대형 중고거래 쇼핑몰로는 볼 수 없는 경기도 외곽의 한 건물이 나왔다. 해당 사이트 이름을 네이버와 구글 등 대형 포털에 검색했지만 역시 나오지 않았다.
A씨는 자신의 기지로 다행히 금전적 피해를 입진 않았지만 사기꾼을 상대로 시간과 감정을 낭비해 허탈감을 느껴야 했다. A씨는 B씨로부터 이후 답장을 받지 못했고 당근마켓으로부터 'B는 거래 문제로 이용 정지 됐다'라며 '주의하라'는 안내를 받았다.
A씨는 "무언가에 홀리듯이 사기꾼이 시키는대로 따라 했다"면서 "입금받은 돈을 현금화하는데 그만큼의 액수를 다시 입금해 보증금 형식으로 맡기라는 것이 말이 안돼 정신이 번쩍 들었다"고 설명했다.
A씨의 사례를 보면 사기 범죄에서 통용되는 전형적인 심리학적 수법을 볼 수 있다. 물건을 빨리 팔고 싶어하는 피해자의 조바심을 이용하고 부채 의식을 심어줘 압박을 가하는 것이다.
사기꾼들은 덫을 피해 달아나려는 피해자에게 강압적 태도를 보이는 등 심리적 굴종 상태를 만들려한다.
모든 사람이 A씨와 같이 피해를 모면한 것은 아니다. 경찰청에 따르면 중고거래 사기 피해 규모는 2020년 897억원에서 지난해 3340억원으로 늘어났다. 소액 사기가 신고되지 않는 점을 감안하면 피해는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중고거래 사기 방식은 다양하다. 선입금 택배거래를 유도한 후 잠적하는 경우 안전결제 피싱 사칭 링크, 직거래임에도 내용물 바꿔치기 등 대처하기 어려울 정도로 사기 수법이 다변화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선입금을 방식을 피하고, 상대방에게 자신의 위치를 먼저 알리지 말고 택배 거래 유도를 회피해야 한다"며 "거래 상대방 번호가 신고 이력이 있는지 조회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calebca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