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경북, 충북 등 7개 지역 지자체 관리 도로, 국도·국지도로
도로 간선기능 향상, 산업단지·공항 등 연결성 강화 등 목표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전남, 경북, 충북 등 7개 지역의 지방자치단체 도로 중 14개 노선이 국도·국가지원지방도로(이하 '국지도')로 승격·지정됐다.
![]() |
노선 지정(승격)한 국도 8건, 국가지원지방도 6건 위치도. [자료=국토교통부] |
9일 국토교통부는 이달 11일 일반국도(8구간, 269.9km)와 국지도(6구간, 83.9km) 지정 방안을 국도·국지도 승격·지정 노선으로 고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역 간 연결성을 높이고 간선도로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조치다.
이달 2~8일 도로정책심의위원회(도로 건설·관리계획의 수립, 도로노선의 지정 등 주요 도로정책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는 기관)의 심의를 거쳤다. 인구 밀집지역과 주요 산업 거점을 잇는 간선망이 보강되면서 공항, 산업단지, 관광지로의 접근이 더 편리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도로는 기능과 종류에 따라 일반국도, 지방도, 시·군도 등으로 등급이 나뉜다. 등급에 따라 관리 주체, 시설 기준이 달라진다. 에컨대 주간선도로인 일반국도의 설계 시속은 80km지만 지방도는 60km다.
주요 도시와 공항, 산업단지 등을 연결해 고속국도와 함께 간선 기능을 수행하는 일반국도(동지역 제외)는 국가에서 건설·관리하고 있다. 교통유발시설을 연결하고, 국가간선망을 보조하는 지방도는 국가지원지방도로 지정해 국비를 지원(설계비 100%, 공사비 70%)한다.
국토부는 2023년부터 전국 지자체 대상 수요조사를 통해 등급 조정이 필요한 도로 노선을 발굴했다. 교통량(화물차 혼입률), 주요 도시·산업단지 접근성, 지역균형발전 등 정량적 평가기준을 바탕으로 전문가 자문과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14개 구간을 승격 노선으로 선정했다.
이번 노선 승격을 통해서 강릉 성산면, 담양 담양읍, 고창 무장면 등 인구밀집지역을 우회하도록 해 도로의 간선기능을 확보한다. 석문 국가산업단지, 대구경북 신공항, 경주 관광지 등과 같은 주요 시설로의 연결성과, 고흥·통영 등 도서·소외지역의 접근성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우제 국토부 도로국장은 "교통 혼잡 해소를 통한 국민의 교통편의 개선과 물류 비용 절감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의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도로의 연결성 개선을 위한 간선도로망의 구축·관리를 위해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