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락날락·'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 센터 등 방문
부산 5분도시 구현, 아시아 확산 중심지로 주목
[부산=뉴스핌] 남동현 기자 = 부산시는 15분도시 이론 창안자인 카를로스 모레노 교수가 지난 3월 부산을 방문해 박형준 시장과 대담을 나눈 콘텐츠를 시 공식 유튜브 채널 '부산튜브'에서 공개했다고 19일 밝혔다.
프랑스 제1대학 팡테옹 소르본 부교수인 모레노 교수는 지난 3월 23일부터 이틀간 부산에 머물며 15분도시 주요 시설과 특화 프로그램을 체험하고 부산의 15분도시 비전에 대해 논의했다. 모레노 교수는 저서 '도시에서 살권리'를 통해 15분도시 개념을 처음 제창한 도시 계획 분야의 세계적 석학이다.
![]() |
박형준 부산시장(오른쪽)과 15분도시 이론 창안자인 카를로스 모레노(Carlos Moreno) 교수과 환담을 나누고 있다. [사진=부산시] 2025.05.19 |
모레노 교수는 부산 방문 기간 동안 15분도시 주요 앵커시설인 '어린이복합문화공간 들락날락'과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 센터' 등을 방문했다. 이론이 실현된 '들락날락'이 부산 전역에 100곳이 넘게 조성된 사실에 놀라움을 표했다.
'들락날락'은 유엔 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위원회와 씨티넷 공동주관 SDG 시티어워즈에서 세계 70개 도시와 경쟁해 대상을 받으며 지속적인 도시 개발과 사회적 포용성을 높인 사례로 평가받았다. '우리동네 ESG 센터'는 '2025 그린 월드 어워즈'에서 은상을 수상하며 시니어 인력을 활용한 지역 내 폐자원 선순환 모델로 인정받았다.
도모헌(옛 시장관사)에서 진행된 대담에서 박형준 시장은 이러한 공간들이 지역과 지역민을 묶어주는 구심점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15분도시의 진가는 '오랜 시간의 축척'으로 만들어지며, 핵심은 '좋은 사회적 관계 구축과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에 있다고 설명했다.
모레노 교수는 부산이 지역 특성에 맞게 15분도시 이론을 발전시키고 구현한 노력에 존경을 표했으며 "부산이 아시아지역 15분도시 확산을 위한 허브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를 밝혔다.
프랑스어와 한국어를 오가며 진행된 이번 대담은 방송인 이 올리비아의 진행으로 심도 있게 이뤄졌다. 대담 풀버전은 지난 17일 '부산튜브' 채널에 공개됐으며 15분도시 부산을 알리기 위한 대시민 이벤트도 함께 진행 중이다.
한편, 모레노 교수는 2022년 10월 세계 지식 포럼 부산 개최 당시에도 부산을 방문해 부산형 15분도시 계획안에 호평한 바 있으며 이번 방문을 통해 15분도시 부산의 발전 상황을 직접 확인했다.
ndh40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