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로보뉴스 = DB증권에서 15일 CJ ENM(035760)에 대해 '언젠가는 슬기로울 티빙...'라며 투자의견 'BUY'의 신규 리포트를 발행하였고, 목표가 75,000원을 내놓았다. 전일 종가 기준으로 볼 때, 이 종목의 주가는 목표가 대비 33.0%의 추가 상승여력이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 CJ ENM 리포트 주요내용
DB증권에서 CJ ENM(035760)에 대해 '티빙 따라 갈 ENM의 운명: 3월 말 기준 티빙 MAU는 552만명으로 24년 KBO 개막전 수준까지 내려 옴. 네이버멤버십 제휴 종료 효과는 3월까지 모두 반영됐다고 판단되며, 4월부터는 다시 KBO 트래픽 증가할 것으로 추정. 유료가입자는 최근 420만명으로 추정되며, 3Q25 약 500 만명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4/2부터 계정 공유 제한도 시행하면, 야구 트래픽이 절정인 3Q24 에는 분기 bep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 다만, KBO 시즌인 2Q-3Q에만 가입자와 실적이 일시적 으로 좋은 점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한계가 있을 듯. 회사가 밝힌 글로벌 진출과 웨이브와의 합병을 통해 안정적인 트래픽을 유지하는 모습을 빠른 시일 내에 보여줄 필요 있다고 보임.'라고 분석했다.
또한 DB증권에서 '기대치 하회 전망: 1Q25 매출액은 11,205억원(-2.9%yoy), 영업이익 186억원(+51.0%yoy)으로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255억원) 하회 전망. 여전한 TV 광고 시장의 침체 및 별들에게 흥행 부진으로 동사 TV광고 매출은 역성장 추정. F/S은 드라마 5회(epi.), 영화 1편을 공급하며 전년대비 적자(-120억원) 축소 전망. 티빙은 스터디그룹/환승연애 등 오리지널을 다수 방영하며 제작비 증가로 영업적자 250억원 추정. 음악은 Mnet 광고 부진 및 Mnet Plus 플랫폼 투자 비용이 증가했으나, 제베원 일본 앨범, IZNA 싱글 앨범 흥행으로 영업이익 65억원 전망.'라고 밝혔다.
◆ CJ ENM 직전 목표가 대비 변동
- 목표가 유지, 75,000원 -> 75,000원(0.0%)
- DB증권, 최근 1년 목표가 하락
DB증권 신은정 애널리스트가 이 종목에 대하여 제시한 목표가 75,000원은 2025년 02월 13일 발행된 DB증권의 직전 목표가인 75,000원과 동일하다. 최근 1년 동안 이 종목에 대해 DB증권이 제시한 목표가를 살펴보면, 24년 04월 16일 107,000원을 제시한 이후 하락하여 이번 리포트에서 75,000원을 제시하였다.
◆ CJ ENM 목표가 컨센서스 비교
- 평균 목표가 83,214원, DB증권 보수적 평가
- 지난 6개월 대비 전체 컨센서스 보수적 변화
오늘 DB증권에서 제시한 목표가 75,000원은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 평균 목표가인 83,214원 대비 -9.9% 낮지만 전체 증권사 중 최저 목표가인 KB증권의 70,000원 보다는 7.1% 높다. 이는 DB증권이 타 증권사들보다 CJ ENM의 주가를 비교적 보수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참고로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의 평균 목표가인 83,214원은 직전 6개월 평균 목표가였던 104,438원 대비 -20.3% 하락하였다. 이를 통해 CJ ENM의 향후 주가에 대한 증권사들의 전체적인 분석이 보수적으로 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기사는 뉴스핌과 금융 AI 전문기업 씽크풀이 공동 개발한 기사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실시간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 CJ ENM 리포트 주요내용
DB증권에서 CJ ENM(035760)에 대해 '티빙 따라 갈 ENM의 운명: 3월 말 기준 티빙 MAU는 552만명으로 24년 KBO 개막전 수준까지 내려 옴. 네이버멤버십 제휴 종료 효과는 3월까지 모두 반영됐다고 판단되며, 4월부터는 다시 KBO 트래픽 증가할 것으로 추정. 유료가입자는 최근 420만명으로 추정되며, 3Q25 약 500 만명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4/2부터 계정 공유 제한도 시행하면, 야구 트래픽이 절정인 3Q24 에는 분기 bep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 다만, KBO 시즌인 2Q-3Q에만 가입자와 실적이 일시적 으로 좋은 점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한계가 있을 듯. 회사가 밝힌 글로벌 진출과 웨이브와의 합병을 통해 안정적인 트래픽을 유지하는 모습을 빠른 시일 내에 보여줄 필요 있다고 보임.'라고 분석했다.
또한 DB증권에서 '기대치 하회 전망: 1Q25 매출액은 11,205억원(-2.9%yoy), 영업이익 186억원(+51.0%yoy)으로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255억원) 하회 전망. 여전한 TV 광고 시장의 침체 및 별들에게 흥행 부진으로 동사 TV광고 매출은 역성장 추정. F/S은 드라마 5회(epi.), 영화 1편을 공급하며 전년대비 적자(-120억원) 축소 전망. 티빙은 스터디그룹/환승연애 등 오리지널을 다수 방영하며 제작비 증가로 영업적자 250억원 추정. 음악은 Mnet 광고 부진 및 Mnet Plus 플랫폼 투자 비용이 증가했으나, 제베원 일본 앨범, IZNA 싱글 앨범 흥행으로 영업이익 65억원 전망.'라고 밝혔다.
◆ CJ ENM 직전 목표가 대비 변동
- 목표가 유지, 75,000원 -> 75,000원(0.0%)
- DB증권, 최근 1년 목표가 하락
DB증권 신은정 애널리스트가 이 종목에 대하여 제시한 목표가 75,000원은 2025년 02월 13일 발행된 DB증권의 직전 목표가인 75,000원과 동일하다. 최근 1년 동안 이 종목에 대해 DB증권이 제시한 목표가를 살펴보면, 24년 04월 16일 107,000원을 제시한 이후 하락하여 이번 리포트에서 75,000원을 제시하였다.
◆ CJ ENM 목표가 컨센서스 비교
- 평균 목표가 83,214원, DB증권 보수적 평가
- 지난 6개월 대비 전체 컨센서스 보수적 변화
오늘 DB증권에서 제시한 목표가 75,000원은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 평균 목표가인 83,214원 대비 -9.9% 낮지만 전체 증권사 중 최저 목표가인 KB증권의 70,000원 보다는 7.1% 높다. 이는 DB증권이 타 증권사들보다 CJ ENM의 주가를 비교적 보수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참고로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의 평균 목표가인 83,214원은 직전 6개월 평균 목표가였던 104,438원 대비 -20.3% 하락하였다. 이를 통해 CJ ENM의 향후 주가에 대한 증권사들의 전체적인 분석이 보수적으로 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기사는 뉴스핌과 금융 AI 전문기업 씽크풀이 공동 개발한 기사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실시간으로 작성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