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흥 지구, 수도권 최대 신도시로 부상
경제자유구역 지정으로 8만 8000명 고용 창출
인접 산업 생태계와의 시너지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
[광명=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 광명시가 광명시흥 3기 신도시 내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 |
광명시 전체 조감도. [사진=광명시] |
시에 따르면 시흥시와 함께 경제자유구역 추가지정 후보지 공모에 참여하기 위해 신청서를 20일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정 신청 대상지는 수도권 3기 신도시 중 최대 규모인 광명시흥 지구 내 자족시설용지의 일부로, 면적은 74.9만㎡이다. 시는 대상지 중앙부를 인공지능과 미래차 연구개발 집적 용지로, 남부를 문화 및 바이오 집적 용지로 개발할 계획이다.
이 지역이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될 경우, 지식집약산업에 종사하는 8만 8000여 명이 고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연간 4조 4393억 원의 부가가치 창출이 기대되고 있다. 이 중 10%인 4439억 원이 광명과 시흥 지역 내에서 유통되어 8876억 원의 부가가치를 만들어낼 전망이다.
비용편익 분석에 따르면 B/C가 1.24로,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경제성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부가가치 창출 효과와 경제성 평가는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 진행됐다.
광명시흥 지구가 가진 편리한 교통환경과 인접 산업 생태계는 이 계획의 원동력이다. 제3차 경제자유구역 기본계획과의 조화를 강조하며, 지역발전과 글로벌 첨단비즈니스 거점으로서의 가능성을 부각하고 있다.
이 지역은 주변에 신도시 및 대규모 개발사업, 혁신산업이 밀집해 있음에 따라 광역경제권 내 핵심 거점으로 조성될 가능성이 있다. KTX-광명역과 지하철 1호선, 7호선 등 기존 교통망과 더불어 추가적으로 남북철도, 신안산선, GTX-D, GTX-G 등의 철도 노선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수도권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시범노선' 개발 및 현대자동차와의 협력을 통해 도시 전체가 AI·모빌리티 연구의 전진기지로 거듭나는 중이다.
![]() |
광명시흥 경제자유구역 지정 신청 대상지. [사진=광명시] |
이어 광명시흥 테크노밸리와의 연계를 통해 ICT, BT, 스마트 R&D 및 물류 등의 분야에서 제조업과의 근거리 연계가 가능하다.
기존 경제자유구역의 제조업과 운수창고업 중심의 한계를 극복할 대안으로 광명시흥 지역의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통한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이는 한국이 글로벌 산업 재편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신청 지역은 외국인 투자가 선호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근거리에 있는 첨단 IT산업 생태계와의 교류도 원활할 것으로 보인다.
수원, 평택, 용인 등 반도체, 자동차 및 전자부품 생태계와의 연계가 가능하다는 점 또한 장점이다.
박 시장은 "광명시흥 지구의 자족용지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려면 혁신기업이 선호하는 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그 대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