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SKT, 4년차 5G 평가서 '압도적 품질'

기사입력 : 2022년12월29일 17:26

최종수정 : 2022년12월29일 17:26

과기정통부, 29일 5G이동통실서비스 품질평가 결과 공개
KT, 5G→LTE 전환율 3위
LG유플러스, 전년比 상용 와이파이 다운로드 속도 66.7%↓

[서울=뉴스핌] 이지민 기자 = 5세대(5G)이동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 이통3사의 5G 커버리지(서비스 가능 구역)와 속도가 모두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통신사별로는 SK텔레콤이 다방면에서 압도적으로 높은 품질을 자랑했다. 부문별로 KT와 LG유플러스가 순위를 뒤집으며 접전을 벌였지만 SK텔레콤을 따라잡긴 역부족인 모양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전국 85개 시 전체 행정동과 주요 읍·면 지역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2년 통신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이번 평가 대상은 무선 인터넷(5G, LTE, 3G, 와이파이)과 유선인터넷(100Mbps, 500Mbps, 1Gbps, 10Gbps급),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 등이다.

◆커버리지 면적·다운로드 전송속도서 1위 수성한 SK텔레콤

올해 10월 기준으로 조사 대상 지역 옥외에서 이통3사의 5G 사용 가능 지역 평균 면적은 3만3212.50㎢로 전년 동월 1만9044.04㎢ 대비 74.4% 확대됐다. 해당 수치로는 5G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지역이 확대됐다고 해석할 수 있다.

통신사별로는 SK텔레콤 3만4241.58㎢, KT 3만3185.10㎢, LG유플러스 3만2210.82㎢다.

SK텔레콤은 2년 연속으로 5G 커버리지 1위를 달성했다. SK텔레콤은 현재 서울시·6대광역시·78개 중소도시 등 모든 기준에서 최대 5G 커버리지를 보유하고 있다.

1~2년 전까지 넓은 커버리지를 자랑하던 LG유플러스의 커버리지 면적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 농어촌 공동망 구축과 도심 음영지역 해소 작업 진행 등의 여파로 통신 3사의 커버리지가 엎치락뒤치락하며 그 규모가 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5G 다운로드 속도는 이통3사 평균 896.10Mbps 수준으로, 전년 대비 11.8%(94.62Mbps) 향상됐다. 통신사별로 보면 SK텔레콤 1002.27Mbps, KT 921.49Mbps, LGU+ 764.55Mbps 순으로 조사됐다.

LTE 다운로드 속도는 SK텔레콤 208.96Mbps(전년 대비 0.72Mbps↑), KT 135.41Mbps(전년 대비 2.82Mbps↓), LG 유플러스 111.40Mbps(전년 대비6.97Mbps↑)로 나타났다. LG유플러스의 LTE 다운로드 속도는 전년과 비교해 가장 큰 상승폭을 보여줬음에도 3위에 그쳤다.

◆5G→LTE 전환율 3위 KT...집계 방식 또는 망 운용 노하우 문제?

5G 망 안정성을 나타내는 '5G→롱텀에볼루션(LTE) 전환율'은 3사 평균 1.34%로 전년(1.88%) 대비 0.54%포인트 증가했다. 통신사별로는 SK텔레콤 0.98%, LG유플러스 1.32%, KT 1.72% 순으로 나타났다. 5G→LTE 전환율이 낮을수록 5G 서비스가 원활히 제공되고 있음을 나타내는데, 올해 평가에선 KT가 3위를 차지했다.

업계에선 조사 방식의 차이 또는 망 운용 노하우의 문제로 인해 KT의 5G→LTE 전환율이 가장 높았다고 보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현재 NSA 방식이기 때문에 단순하게 보면 5G 전파가 잘 안 닿는다고 집계될 수도 있고, 전파 세기가 충분하지 않아 NSA 방식이 작동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면서도 "또는 전환율 같은 경우 측정 지역이 명시되지 않아 모호한 감이 있지만 단편적으로는 셀 설계나 망 운용 노하우의 문제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비단독모드라고 불리는 NSA 방식은 5G 망과 LTE 망을 함께 활용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와이파이 속도 '뚝'...LG유플러스는 상용 와이파이 다운로드 66.7% 하락

주요 품질 지표서 3위를 기록한 LG유플러스는 특히 상용 와이파이 다운로드 속도에서 고전을 면치 못했다.

이통3사의 상용·개방·공공 와이파이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전년과 비교해 올해 전반적으로 떨어졌다. 상용 WiFi는 338.56Mbps(지난해 400.85Mbps), 개방 WiFI는 WiFi 353.30Mbps(지난해 420.20Mbps), 공공 WiFi는 336.21Mbps(지난해 328.04Mbps) 수준이었다.

통신사 가입자만 이용 가능한 상용 와이파이를 기준으로 보면 KT가 545.75Mbps로 가장 빨랐고, SK텔레콤 349.45Mbps, LG유플러스 107.52Mbps 순이었다.

이 가운데 LG유플러스의 와이파이 다운로드 속도는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급격히 느려졌다. 지난해 322.94Mbps, 337.16Mbps의 다운로드 속도였던 LG유플러스의 상용·개방 와이파이는 올해 각각 107.52Mbps(66.7%↓), 167.29Mbps(50.4%↓)로 하락했다.

이에 대해 업계 한 관계자는 "와이파이 공유기가 100Mbps급과 기가(Gbps)급이 있는데 LG유플러스의 경우 100Mbps급 와이파이 비율이 지난해와 비교해 급증한 것으로 안다"며 "때문에 표본에 100Mbps급 회선이 많이 들어가면 평균 속도가 낮아질텐데 그 케이스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도 "추정하기로는 LG유플러스의 기가급 와이파이 비율이 타사 대비 현저히 낮은 걸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catchmi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