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Anda 중국

속보

더보기

[중국업종] 中정부 '원자력 발전' 전폭 지원, 향후 5년간 96조원 투자 전망

기사입력 : 2016년04월25일 16:46

최종수정 : 2016년04월25일 16:46

정부 정책 호재 등에 관련 산업 전망 밝아
중국 주요 펀드, 원자력 테마주에 투자 확대

[편집자] 이 기사는 04월 11일 오후 5시16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베이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주춤했던 중국 원자력발전산업이 다시금 비상을 위한 날갯짓을 하고 있다. 시진핑 국가주석과 리커창 국무원 총리 등 지도부가 잇따라 원자력발전 필요성을 강조한 데 이어‘13차5개년규획(2016-2020년, 13.5규획)’요강에 신규 원자력발전소 프로젝트 건설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는 등 관련 산업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이 본격화하고 있다. 향후 5년간 대규모 자금이 투입될 것으로 점쳐지는 가운데, 자본시장 또한 관련 산업 및 업체의 미래가 밝을 것으로 전망한다.

<이미지=바이두(百度)>

◆ 中 지도부 “원자력산업 발전 고도 중시”, 5년간 96조원 투자

세계 최대 원자력기술 이용국가 중 하나가 된 중국은 앞으로 전체 에너지 중 원자력 에너지 비중을 확대해 갈 것으로 보인다. 비용과 환경문제·에너지 수요 등을 고려할 때 원자력 발전만큼 효율성이 높은 에너지원이 없다는 인식도 커지고 있다.

원자력산업에 대한 중국의 관심은 지도부 발언에서도 엿볼 수 있다. 최근 제4차 핵안보정상회의에 참석한 시진핑 주석은 중국이 그간 핵안보 분야에서 거둔 성과에 대해 소개했으며, 리커창 총리는 6일 베이징에서 열린 제12회 태평양지역 원자력대회에 보낸 축하서신에서 “중국 정부는 원자력 발전을 고도로 중시하고 있으며, 안전하고 높은 효율의 원자력발전을 지속해서 발전시켜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향후 5년 중국 사회·경제 발전의 청사진을 담은 ’13.5규획’ 요강에서도 원자력발전산업은 상당히 비중 있게 다뤄졌다. ’13.5규획’에 따르면, 중국은 오는 2020년까지 원자로 발전용량을 5800만kW까지 늘리고, 건설 중인 원자로 발전 용량 또한 3000만kW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이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13.5규획’은 ‘에너지발전중대공정’ 중에 ‘연해 지역에 신규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중국광핵그룹(中國廣核集團, CGN) 공식 데이터에 따르면, 2015년 말 기준 중국 본토에서 가동 중인 원자로는 총 30기, 발전능력은 2856만6000kW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26기 원자로가 건설 중이며 이들 원자로의 발전용량은 2945만9000kW 수준일 것으로 알려졌다.

CNG 데이터대로라면 중국은 향후 5년간 100만kW급 원자로 6기를 추가로 건설해야만 ’13.5규획’에서 제시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셈이다. 일반적으로 3세대 100만kW급 원자로 1기를 건설하는 데 드는 비용은 약 180억 위안(한화 약 3조1842억 원)으로, 이에 따라 ’13.5규획’ 기간 동안 원자로 건설에 약 5400억 위안의 자금이 투입될 것으로 제일재경망(第一財經網)은 추산했다.

◆ ‘원자력 테마주’ 각광, 기관들 투자 확대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속에 2015년 원자로 건설 심의가 재개된 데 이어 ‘일대일로(一帶一路)’ 전략이 원자력 기업에 거대한 성장 공간을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되면서 자본시장에서도 원자력 테마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최근 원자력 기업들의 펀더멘털이 크게 개선되면서 A주 관련 종목의 주가가 치솟고 있다. 중국 대표 원자력 기업인 중국핵전(中國核電, 601985)이 이달 초 발표한 지난해 실적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핵전의 지난해 순이익은 37억800만-38억3100만 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0-55% 가량 늘어난 것으로, 신규 원자로 가동에 따른 발전능력 제고가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이와 함께 ▲천교기중(天橋起重, 002523) ▲안태과기(安泰科技, 000969) ▲승화배극(升華拜克, 600226) ▲대당발전(大唐發電, 601991) 등의 순이익 또한 동기 대비 50% 이상 증가했으며, ▲대해핵전(臺海核電, 002366) ▲옥이핵재(沃爾核材, 002130) ▲지혜능원(智慧能源, 600869) ▲상해임항(上海臨港, 600848) ▲명성전람(明星電纜, 603333) 등 역시 동기 대비 2배 늘어난 순이익을 실현할 것으로 내다봤다.

각종 호재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중국 대형 펀드들은 앞다퉈 원자력 발전 테마주, 특히 원자로 건설설비 제조업체와 폐기물 처리 업체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중국증권보(中國證券報) 자료에 따르면, 응류고빈(應流股份, 603308)은 최근 21개 펀드의 집중 매수 대상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력발전 관련 설비 제조업체로서, 기술 면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어 향후 중국 정부의 원자력 발전 투자 확대의 수혜주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또한 원자력 발전 후처리 분야로 사업 분야를 확대하고 있는 점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고 있다는 분석이다.

대해핵전과 영봉환경(盈峰環境, 000967)은 각각 16개 펀드의 투자 포트폴리오에 이름을 올렸다. 대해핵전은 원자력 발전 설비 및 재료 공급업체로 업계 선두지위를 확보하고 있으며, 폐기물설비 제조에서도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영봉환경은 환경 종합서비스 제공업체다.

이밖에 장기 투자대상으로서 중국핵전과 대당발전·한위전자(漢威電, 300007) 또한 각각 7개, 6개, 3개 펀드의 포트폴리오에 포함됐다.

 

[뉴스핌 Newspim] 홍우리 기자(hongwoori@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틱톡, 세계 최초 시각 인식 AI 공개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틱톡의 모기업인 바이트댄스(중국명 쯔제탸오둥, 字節跳動)는 언어 지시가 아닌 시각을 이해해 동영상을 제작하는 '비디오월드'라는 이름의 AI 솔루션을 공개했다. 바이트댄스 산하 더우바오(豆包) AI 대형 모델 팀은 베이징교통대학, 중국과학기술대학과 공동으로 제작한 비디오월드를 발표했다고 중국 제일재경신문이 11일 전했다. 오픈AI가 공개한 AI 동영상 생성 모델인 소라(Sora)는 텍스트를 입력하면 관련된 동영상을 제작한다. 이에 반해 비디오월드는 텍스트나 음성이 아닌 시각 정보만으로 동영상을 제작한다. 시각 정보로 동영상을 제작하는 AI 솔루션인 비디오월드가 처음이라고 매체는 평가했다. 종이 접기 혹은 넥타이 매기 등의 복잡하거나 세밀한 동작은 언어로 명확히 표현하기 어렵다. 비디오월드는 AI가 인간 혹은 사물의 동작을 시각으로 인식해서 동영상을 제작하는 프로그램이다. 바이트댄스는 "비디오월드는 학술 연구 프로젝트로 현재 새로운 기술 방법을 탐색하는 과정에 있을 뿐이고, 제품화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바이트댄스는 "비디오월드는 바둑 및 로봇 제어 환경 시뮬레이션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지만, 실제 세계 환경에서는 아직 미비점이 많다"고 소개했다. 비디오월드는 바둑 게임에서 프로 5단 수준의 실력을 달성했으며, 다양한 환경에서 로봇 작업을 수행했다는 것이 회사의 설명이다. 또한 바이트댄스는 "수많은 문제를 해결해 비디오월드를 현실 세계의 범용 지식 학습기로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더우바오는 바이트댄스가 2023년 8월 발표한 AI 챗봇이다. 현재 중국 내에서 딥시크에 이어 사용자 수 2위에 올라 있는 AI 대형 모델이다. 더우바오팀은 바이트댄스 내부에 2023년 만들어졌다. 더우바오팀은 최첨단 AI 대형 모델 기술 개발을 전담하고 있다. 연구 방향은 딥러닝, 강화 학습, 대규모 언어 모델(LLM), AI 음성 인식, AI 시각 인식, AI 인프라, AI 보안 등이다. 바이트댄스가 공개한 비디오월드 시연 화면 [사진=제일재경신문 캡처] ys1744@newspim.com 2025-02-11 11:30
사진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 신청 접수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는 오는 17일부터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사업' 신청 접수를 받는다고 9일 밝혔다. 배달·택배비 지원사업은 정부가 지난해 7월 발표한 '소상공인·자영업자 종합 대책'의 후속 조치 일환이다. 고물가·고금리 등으로 가중된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이들의 배달·택배비를 올해 한시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배민라이더스 배달기사 노조가 23일 오후 서울 송파구 배달의민족 본사 앞에서 기본배달료 인상, 오토바이수당 및 픽업거리 할증 도입을 촉구하는 집회를 마치고 오토바이로 행진을 하고 있다. 2021.12.23 pangbin@newspim.com 지원 대상은 ▲2023년 또는 지난해 연 매출액이 1억400만원 미만이며 ▲배달·택배 실적이 있고 ▲신청일 기준 폐업하지 않은 개인·법인 사업자다. 또 배달·택배를 주업으로 하는 업종과 소상공인 정책 자금 제외 업종을 제외한 전 업종을 지원 대상으로 한다. 지원 금액은 최대 30만원으로 1인당 1개 사업체만 신청해 지원받을 수 있다. 배달·택배비는 지난해 실적과 과거 증빙자료 등을 보관하지 않거나 확인이 어려운 경우를 감안해 올해까지의 실적도 폭넓게 인정한다. 중기부는 소상공인의 배달·택배비 증빙자료 확보 용이성을 토대로 신청자 유형에 따라 순차적으로 신청 접수를 개시할 예정이다. 연내 차질 없는 지원을 목표로 '신속 지급'과 '확인 지급' 절차로 나눠 실시한다. 지원 대상자 유형별 신청 일정 [자료=중소벤처기업부] 2025.02.08 rang@newspim.com 먼저 신속 지급 절차는 약 8만개사를 대상으로 한다. 중기부는 온라인 신청과 증빙자료 등록 등에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지원받을 수 있도록 신속 지급 절차를 마련했다. 중기부는 소상공인들의 자료 증빙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 ▲생각대로 ▲바로고 ▲부릉 등 6개 배달 플랫폼과 배달 대행사로부터 소상공인이 지출한 배달비 제공에 대한 협조를 받았다. 신속 지급 대상자 데이터베이스(DB)에 포함된 약 8만개사 소상공인들은 별도의 증빙자료 없이 사업자등록번호와 계좌번호 등의 정보만 입력하면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증빙 부담이 대폭 줄고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속 지급 대상자들은 오는 17일부터 신청이 가능하며, 신청 단계에서 사업자등록번호를 입력할 시 신속 지급 대상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최초 신청 후 지원금이 30만원 미만이더라도 추가 신청 없이 올해 12월까지 배달비 실적이 확인되면 누적 금액 최대 30만원까지 차액을 지급한다. 신속 지급 대상자 DB에 포함되지 않은 확인 지급 대상자는 4월 중 신청할 수 있다. 확인 지급 대상자는 신속 지급 대상자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로 모든 택배와 배달 플랫폼, 배달대행사, 퀵서비스, 심부름센터 등을 이용해 직접 자료 증빙이 가능한 자를 말한다. 혹은 배달 플랫폼 또는 택배사를 이용하지 않고 소상공인 대표 또는 직원이 상품을 고객에게 직접 배달해 증빙이 어려운 경우를 일컫는다. 직접 자료 증빙이 가능한 소상공인은 지난해 1월 1일부터 올해 12월 31일까지 상품 판매를 위해 배달 또는 택배를 이용한 건에 대한 증빙자료를 시스템에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 제출하면 된다. 증빙자료는 배달·택배비 사용 금액이 확인 가능한 전자세금계산서와 택배 운송장, 배달 정산 내역서 등이 있다. 직접 배달 소상공인은 특성상 실적에 대한 직접 자료증빙이 어려운 만큼 관련 협·단체 등 업계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 합리적인 배달·택배비 지급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확인 지급 대상자에 해당하는 두 가지 경우 모두 소상공인이 직접 자료를 입력해야 한다. 중기부는 증빙 방안을 다음 달 말까지 마련해 4월부터 신청을 받을 계획이다. 사업 신청은 전용 사이트인 '소상공인배달택배비지원.kr'이나 '소상공인24'를 통해 가능하다. 오는 17일 신속 지급 신청 시행 이후 첫 이틀간은 접속자 분산을 위해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 기준으로 홀짝제를 적용한다. 세부적인 내용은 중기부 누리집 혹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누리집 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소상공인 배달 택배비 지원 콜센터를 통해서도 안내받을 수 있다. 배달 택배비 지원사업 진행 절차 [자료=중소벤처기업부] 2025.02.08 rang@newspim.com rang@newspim.com 2025-02-09 12: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