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륙 뒤 앞바퀴 접힌 이유는…"잔여 압력에 노즈기어 잠금 해제"
공군 "기체 중대 결함 없어"…유압·랜딩기어 특별 점검·안전핀 신설
'조류 충돌'로 1대 조기 퇴역까지…도입 6년 만에 F-35A 사고 잇따라
[서울=뉴스핌] 오동룡 군사방산전문기자 = 공군이 지난 24일 청주국제공항에 비상착륙한 F-35A 스텔스 전투기의 사고 원인을 27일 공식 발표했다. 좌측 메인기어 '전방 유압호스 파열'로 유압유가 누설되면서 경고등이 점등된 것으로 최종 확인됐다.
지난 24일 오후 6시 46분쯤 공군 제17전투비행단 소속 F-35A 1대가 야간 임무 수행 중 유압계통 이상 경고를 받고 청주국제공항에 긴급 착륙했다. 전투기는 활주로에 정상 착륙했으나 정지 상태에서 앞바퀴(노즈기어)가 갑자기 접히면서 기수 일부가 활주로에 접촉했다. 다행히 조종사를 포함한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 |
| 대한민국의 첫 스텔스기인 F-35A 전투기 2대가 태극기를 달고 지난 2019년 3월 39일 청주 제17전투비행단 기지에 착륙하고 있다. [사진=공군 제공] 2025.11.27 gomsi@newspim.com |
장동하 공군 서울공보팀장은 27일 브리핑에서 "메인기어 도어를 여는 유압을 공급하는 호스가 파열돼 사고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착륙 후 앞바퀴가 접힌 것은 유압계통 내 잔여 압력으로 비정상 작동이 발생해 노즈기어 잠금장치가 풀렸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공군은 기체에 중대한 결함이 없다고 판단하고 27일 오후부터 비행을 단계적으로 재개하기로 했다. 향후 안전 대책으로 비행 전 유압계통 및 랜딩기어 계통 전반에 대한 특별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유압계통 이상 발생 시 착륙 즉시 안전핀을 삽입해 노즈기어를 고정하는 절차를 마련할 방침이다.
한편, 공군이 도입한 F-35A 40대 중 1대는 이미 퇴역 조치됐다. 2022년 1월 4일 청주기지를 이륙한 F-35A가 약 330m 저고도 비행 중 독수리와 충돌하는 '버드 스트라이크'로 서산기지에 동체 착륙했다. 당초 외관상 손상은 경미해 보였으나 정밀 조사 결과 엔진, 조종·항법 계통 등 300여 곳에 손상이 확인됐고, 수리 비용이 1400억원으로 신규 구매(1100억원)보다 높아 2023년 말 퇴역 결정이 내려졌다. 현재 공군은 39대의 F-35A를 운용 중이다.
gomsi@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