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 트러스트, AI 보안 등 기술 개발 및 상용화 통해 국가 디지털 경쟁력 강화
보안·인증 분야를 선도하는 기술로 안전한 디지털 생태계 구축에 앞장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IT 보안·인증 플랫폼 전문기업 라온시큐어는 박현우 보안개발본부장이 '2025 대한민국 디지털 이노베이션 어워드'에서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고 17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박현우 상무는 라온시큐어의 제로 트러스트 보안, 생성형 AI 보안, 양자내성암호(PQC) 등의 기술 개발과 상용화를 총괄하며 국가 디지털 경쟁력 및 사이버 보안 강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번 표창을 받았다.
특히 박현우 상무는 라온시큐어의 제로 트러스트 보안 제품군인 다중인증(MFA) 기반 통합 인증 플랫폼 '원패스(OnePass)', 엔터프라이즈 통합 디바이스 관리 플랫폼 '원가드(OneGuard)', 통합계정 권한 관리 플랫폼 '터치엔 와이즈억세스(TouchEn Wiseaccess)' 등의 개발과 고도화를 이끌며 국내 보안 기술 경쟁력 향상에 기여했다.
![]() |
| 박현우 라온시큐어 보안개발본부장(상무)가 '2025 대한민국 디지털 이노베이션 어워드(Digital Innovation Award)'에서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을 수상하고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라온시큐어] |
또한 박현우 상무는 AI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AI 보안 기술 개발도 총괄하고 있다. 라온시큐어는 생성형 AI 기반 딥페이크 탐지, 동형암호 기반의 AI 안면인식, AI를 활용한 악성앱과 스미싱 공격 탐지, AI 작성 콘텐츠 탐지 기술 등을 개발하여 고도화하고 있다.
이미 생성형 AI 기반 딥페이크 탐지 기술은 무료 모바일 백신 어플리케이션인 '라온 모바일 시큐리티'에 탑재돼 딥페이크로 인한 사회적 피해 방지에 일조하고 있다. 향후 딥보이스 탐지와 실시간 탐지 기능이 추가돼 동영상뿐만 아니라 화상·음성 통화 중에도 딥페이크를 탐지할 수 있게 될 예정이다.
아울러 박현우 상무는 양자 컴퓨팅 시대의 본격화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목적으로 양자내성암호 기술의 연구개발 및 상용화를 주도하고 있다. 라온시큐어는 지난 2024년부터 자사의 보안 솔루션에 양자내성암호 기술을 순차적으로 탑재하며 국내 양자암호 시장의 확장을 이끌고 있다.
박현우 상무는 "이번 수상은 최신 보안·인증 기술의 지속적인 개발과 혁신을 통해 국내 사이버 보안 분야 경쟁력 제고에 기여한 라온시큐어에 앞으로 더욱 발전하라는 격려의 의미라 생각한다"며, "라온시큐어는 앞으로도 보안·인증 시장을 선도하는 기술력을 기반으로 국가 디지털 경쟁력 강화와 안전한 디지털 생태계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대한민국 디지털 이노베이션 어워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주최하는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의 대표적인 정부 포상으로, 정보통신기술 개발 및 융복합 활용을 통해 국가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나 기업·기관을 표창하는 행사다.
nylee54@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