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건 AI 개발 성과...대다수 커리어플랫폼·채용컨설팅 관련
컨설팅플랫폼 매출 11%↓..."AI와 시너지 창출 미지수" 지적
[서울=뉴스핌] 이석훈 기자 = 국내 대표 인적자원(HR) 플랫폼 기업 사람인이 실적 부진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채용시장 위축이 전 산업권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회사가 대대적으로 추진한 인공지능(AI) 기반 서비스 강화 전략이 아직 가시적 성과로 이어지지 못하면서 수익성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업황 부진과 비용 부담이 겹치며 내년 경영 시험대가 본격화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 핵심 사업 매출 일제히 둔화…커리어플랫폼·컨설팅 모두 하락
17일 업계에 따르면 사람인의 올해 3분기 누적 커리어플랫폼 매출은 500억1578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565억1594만원) 대비 11.5% 감소한 수치다. 취업포털 중심의 기존 광고·구인구직 서비스 매출이 전반적으로 줄어든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다.
![]() |
채용컨설팅 부문도 성장세가 정체됐다. 연간 매출이 ▲2022년 179억9800만원 ▲2023년 166억1700만원 ▲2024년 175억3400만원 수준에서 등락을 반복하며 제자리걸음을 거듭했다. 올해 3분기 누적 매출 역시 139억7029만원으로, 연간 기준으로는 작년과 유사한 흐름을 보일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반면 인재파견·업무위탁 등 아웃소싱 서비스 매출은 371억6500만원으로 2022년도 대비(345억6600만원) 대비 7.5% 증가했다. 사람인의 주요 사업 가운데 유일하게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셈이다.
한 HR업계 관계자는 "사람인이 업계 1위사업자이자 AI 기술 도입 속도가 가장 빠른 기업임은 부정할 수 없다"면서도 "그러나 AI가 HR 서비스의 수익성을 단기간에 높여 줄지 여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말했다.
스타트업 업계 한 관계자도 "AI 기반 서비스는 개발·운영 비용이 상당한 데 비해 즉각적으로 매출화하기 어려운 구조"라며 "채용광고 중심 모델을 가진 기업에게는 AI 전환이 오히려 비용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 AI 중심 R&D 비용 확대…"수익 전환까지 시간 걸릴 것"
사람인은 최근 2년간 AI 투자를 대폭 확대했다. 매출 대비 연구개발(R&D) 비중 역시 10.19%에서 11.56%로 상승하며 기술 투자에 드라이브를 걸었다. 회사는 AI 자기소개서 첨삭, AI 기반 헤드헌팅 프로토타입 등 5개 이상의 AI 기반 신규 서비스를 출시했지만, 대부분이 커리어플랫폼·채용컨설팅 등 규모가 크지 않은 영역에 집중돼 있어 실적 기여 효과는 제한적이라는 평가다.
업계에서는 사람인의 AI 실행 속도와 과감성은 높게 평가하면서도, 단기 실적 개선으로 이어지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HR 컨설팅업계 관계자는 "HR 시장은 노동 규제, 기업 채용 규모, 경기 민감도 등 외부 변수가 커서 AI 도입 효과가 곧바로 실적에 반영되기 어렵다"며 "기존 광고 매출 중심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AI 역량을 확장해야 하는 이중 부담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황현순 대표의 리더십이 내년 진검승부를 맞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취임 후 2년이 지나며 회사의 중장기 전략·비전이 가시화될 시기인 만큼, AI 중심의 체질 개선이 실적 개선으로 연결되는지가 판단 기준이 될 것이란 분석이다.
회사 관계자는 "채용시장이 위축되고 경쟁 구도가 치열해지면서 실적이 일시적으로 떨어진 측면이 있다"며 "AI 기반 신사업 확대, 내실 중심 경영을 병행해 조만간 경영 상황이 정상 궤도에 진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stpoemseok@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