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11월 경제지표 지연 우려...12월 정책 판단 흐려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최장 기간 이어졌던 미국 정부 셧다운이 이번 주 종료되더라도, 연방준비제도(연준)가 12월 정책회의에서 금리 방향을 결정하는 데 필요한 핵심 경제지표 확보가 여전히 불확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시장과 물가를 비롯한 주요 데이터가 지연되면서, 연준은 제한된 정보 속에서 정책 판단을 내려야 하는 상황이다.
11일(현지시간) 투자전문매체 배런스(Barron's)에 따르면 미국 통계 기관들은 정부가 재가동된 후 지연됐던 9월 노동시장 및 물가 데이터를 신속히 발표할 계획이지만, 10월과 11월의 주요 보고서는 12월 9~10일 예정된 연준 정책회의 이전에 확인하기 어려울 가능성이 높다.
이번 셧다운은 2013년보다 길게 이어지며 여러 달에 걸친 경제지표 발표에 큰 영향을 미쳤고, 정책 결정자들에게 불확실성을 확대했다.
민간 기업이 일부 데이터를 제공했지만, 공식 통계보다 분산되어 있고 신뢰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연준의 정책 판단을 어렵게 하고 있다.
![]() |
|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사진=로이터 뉴스핌] |
◆ 9월 고용·물가 지표는 신속 공개 예상
셧다운 이후 공개될 첫 번째 데이터는 9월 고용보고서로, 비농업 고용 변화, 실업률, 임금, 근로시간 등이 포함된다.
언스트영 수석 이코노미스트 그레고리 다코는 "9월 고용보고서는 셧다운 이전에 대부분 준비가 완료돼, 정부 재가동 직후 수일 내 발표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9월 소매판매, 무역 데이터,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지수, 실업급여 신규·지속 청구건수 등도 비교적 신속히 공개될 예정이다.
헤이버애널리틱스의 모린 해버는 "주별 데이터를 계속 제출한 주가 있어, 청구건수 데이터는 가장 쉽게 발표될 수 있다"면서 "버진아일랜드만 예외"라고 말했다.
◆ 10월·11월 경제지표, 연준 회의 전 확인 어려울 수도
반면 10월 경제 데이터는 기관들의 설문 조사, 가격 조사, 자료 처리에 차질이 생기면서, 발표가 늦어지고 오차 범위도 커질 가능성이 있다.
미국 노동통계국(BLS)은 11월 경제지표 발표 시 일반적인 기준일(12일 주간)을 놓칠 수 있으며, 기업 데이터를 활용해 부분적·덜 상세한 자료를 확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해버는 "통계 기관들은 데이터 결측 값을 싫어하는 사용자들을 고려해, 10월과 11월 소비자물가지수 계산에 평소보다 추정치를 더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다만 향후 발표에서 월별 데이터를 통합해 제공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모간스탠리 수석 이코노미스트 마이클 게이펜은 2013년 셧다운 사례를 참고할 때, 10월과 11월 고용보고서는 12월 8일경 발표될 가능성, 10월 소매판매 및 물가 데이터는 12월 18일경 발표 가능성을 제시했다. 하지만 올해 셧다운은 2013년보다 훨씬 길어, 여러 달 경제지표 발표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고 덧붙였다.
KPMG 수석 이코노미스트 다이앤 스웡크는 "정부 공식 데이터 부족으로 인한 불확실성은 재가동 이후에도 당분간 지속될 수 있다"며, "연준이 통화정책을 바꾸는 데 다소 신중한 이유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이어 "안개 속에서는 속도를 늦출 수밖에 없다. 파월 의장이 언급했듯이"라고 덧붙였다.
결국 정부 재가동에도 불구하고 연준은 12월 회의에서 제한된 데이터만을 바탕으로 금리 결정을 해야 하는 상황이 이어지면서, 금융시장에서는 정책 경로 불확실성이 여전히 큰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kwonjiun@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