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켈리보다 리그 지배했지만, 보장 금액이 크지 않을 것"
[서울=뉴스핌] 남정훈 기자 = 이번 시즌 KBO리그를 지배한 한화의 외국인 에이스 코디 폰세의 거취가 뜨거운 관심사로 떠올랐다. 시즌이 끝난 뒤 메이저리그 복귀설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지만, 계약 조건에 따라 한화 잔류 가능성도 완전히 닫힌 것은 아니다.
미국 MLB닷컴은 5일(한국시간) 내년 메이저리그 무대로 복귀할 가능성이 있는 일본프로야구(NPB) 및 KBO리그 출신 선수들을 소개하며 폰세의 이름을 언급했다. 이 매체는 폰세 외에도 드류 앤더슨(SSG), 송성문(키움), 르윈 디아즈, 아리엘 후라도(이상 삼성) 그리고 강백호(kt) 등을 함께 거론했다.
![]() |
| [서울=뉴스핌] 2025시즌 투수 부문 4관왕을 달성한 한화의 코디 폰세. [사진 = 한화]2025.10.16 wcn05002@newspim.com |
폰세는 2025시즌 한화에서 29경기에 등판해 180.2이닝을 던지며 17승 1패 평균자책점 1.89, 탈삼진 252개를 기록하는 압도적인 활약을 펼쳤다. 평균자책점, 다승, 탈삼진, 승률 등 주요 투수 지표 4개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며, 2011년 윤석민(KIA 타이거즈) 이후 14년 만의 투수 4관왕을 달성했다. 시즌 내내 한화의 상승세를 이끌며 최동원상을 수상했고, 정규시즌 최우수선수(MVP)와 투수 부문 골든글러브 수상도 사실상 확실시되는 상황이다.
한화 구단은 당연히 폰세와의 재계약을 최우선 과제로 두고 있지만, 문제는 메이저리그 구단들의 '러브콜'이다. 2023년 NC에서 뛰며 MVP를 차지한 뒤 MLB 시카고 화이트삭스로 복귀한 에릭 페디의 사례처럼, KBO리그를 발판으로 빅리그로 돌아간 선례가 이미 있기 때문이다.
흥미로운 점은 MLB닷컴이 폰세를 평가하면서 페디보다는 메릴 켈리의 사례에 더 가까운 유형으로 분석했다는 것이다. 매체는 "KBO리그 출신 투수가 메이저리그로 돌아올 때마다 구단 관계자들은 '그가 메릴 켈리만큼 성공할 수 있을까'라고 묻는다"라며 "하지만 켈리조차 폰세처럼 리그를 완전히 지배한 적은 없었다"라고 평했다.
켈리는 2010년 탬파베이에서 프로 커리어를 시작했지만, 2014년까지 메이저리그 진입에 실패한 뒤 2015년 SK(현 SSG)로 이적하며 새로운 도전에 나섰다. 이후 KBO에서 4시즌 동안 119경기 729.2이닝을 소화하며 48승 32패 평균자책점 3점대 후반을 기록했다. 당시 '타고투저' 흐름이 강했던 리그 환경 속에서도 매년 180이닝 이상을 던지며 팀의 에이스 역할을 톡톡히 했다.
![]() |
| [서울=뉴스핌] 정규 시즌 투수 4관왕을 달성한 폰세. [사진 = 한화 SNS] 2025.10.17 wcn05002@newspim.com |
켈리는 2018시즌을 마친 뒤 애리조나와 2년 총액 550만 달러(약 79억원)에 계약을 맺으며 메이저리그 무대에 입성했다. 이후 2019년부터 꾸준히 선발 로테이션을 지키며 통산 65승을 쌓았으며, 미국 국가대표로도 활약했다.
MLB닷컴은 "켈리에 비해 폰세의 KBO리그 퍼포먼스는 훨씬 더 압도적이지만, 금전적인 관점에서는 KBO 잔류가 더 유리할 수도 있다"라고 분석했다. 메이저리그 구단이 폰세에게 제시할 보장 금액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비슷한 사례로 카일 하트(전 NC)의 이름도 언급됐다. 하트는 올해 초 샌디에이고와 1+1년 최대 600만 달러(약 86억원) 계약을 맺었지만, 실질적으로는 2025년 연봉 100만 달러(약 14억원)와 2026년 미계약 시 지급되는 전별금 50만 달러(약 7억원)만 수령했다.
이 같은 사례를 들어 MLB닷컴은 "폰세가 빅리그에서 선발 자리를 보장받는 계약을 따내더라도, KBO리그에서 에이스로 뛰며 안정적인 고액 연봉을 받는 편이 더 현명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해당 기사에서는 폰세 외에도 KBO리그에서 빅리그 복귀 가능성을 보여준 선수들이 다수 언급됐다. 삼성의 르윈 디아즈는 50홈런·158타점·장타율 0.644로 타격 3관왕을 차지하며 "2017년 에릭 테임즈처럼 MLB로 복귀할 잠재력이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다만 MLB닷컴은 "삼성 혹은 다른 KBO 구단과의 재계약이 현실적으로 더 높은 연봉을 보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포스팅을 준비 중인 송성문(키움)에 대해선 "유틸리티로 시작했지만 KBO 최고의 3루수로 성장했으며, OPS(출루율+장타율) 0.917과 개인 최다 26홈런을 기록했다"라고 평가했다. 자유계약선수(FA) 자격을 얻은 강백호(kt)에 대해서는 "한때 리그를 대표하는 장타자였지만 부상 여파로 주춤했다. 다만 올해 OPS 0.825로 반등했다"라며 "MLB 구단이 포수로서의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본다면, 제3포수 자원으로 계약할 수도 있다"라고 분석했다.
wcn05002@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