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 중인 내란 특별검사(특검)가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의 내란 가담 의혹과 관련해 신용해 전 법무부 교정본부장을 다시 소환했다.
박지영 특검보는 5일 정례 브리핑에서 "오전부터 신 전 본부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하고 있다. 박 전 장관과 관련돼 있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밝힐 수 없다"고 전했다.
![]() |
| 신용해 전 법무부 교정본부장. [사진=뉴스핌DB] |
박 전 장관은 지난해 12월3일 비상계엄이 선포된 직후인 오후 11시30분께 법무부 실·국장 회의를 소집해 교정본부 수용 인력을 점검하고 공간 확보를 지시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와 관련해 신 전 본부장은 회의 전 박 전 장관과 통화한 뒤 교정본부 직원들에게 비상소집 발령을 공지했고, 김문태 전 서울구치소장에게 구치소 수용 현황 등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그는 다음날인 4일 새벽 박 전 장관에게 3600명 추가 수용이 가능하다는 내용이 담긴 문건을 보고했으며, 전국 교정기관장 회의에서도 수용 여력 파악 지시를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특검은 박 전 장관에 대한 구속영장 재청구를 위해 혐의 다지기에도 주력하고 있다. 특검은 지난달 박 전 장관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으나 법원으로부터 기각당한 뒤 영장 재청구를 준비하고 있다.
박 특검보는 "추가 압수물에 대한 분석 작업이 늦어지고 있어, 분석 작업이 완료돼야 재청구 시기를 정할 수 있을 것 같다"며 "영장 재청구는 쉽지 않다. 그래서 더욱더 신중을 기하고 할 수 있는 증거수집은 다 하는 등 모든 여력을 다하고 있어 다소 시간이 걸린다"고 설명했다.
박 특검보는 박 전 장관에 대한 추가조사 여부에 대해 "압수물을 분석하고 수집한 증거가 무엇인가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며 "분석에 의해서 발견된 증거가 추가 조사가 필요 없다면 (조사) 없이 결정할 수 있지만, (박 전 장관의) 소명 등을 들어야 한다면 부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특검은 늦어도 다음 주 중 '외환 의혹' 관련 수사를 마무리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박 특검보는 "외환 의혹 관련 대상자는 다음 주 중으로 기소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며 "외환 의혹과 관련된 경우 피의자의 범위, 범죄사실 등에 대해선 최대한 신중하고 절제된 범위 내에서 이뤄지고 있고, 이런 부분을 가장 고려해 처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hyun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