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문선 기자 = 제15회 혼불문학상 수상자 김아나 작가가 "나와 비슷한 (좋지 않은 사건을 겪은) 사람들을 찾아서 소통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28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는 제15회 혼불문학상 출간 기념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 |
| [서울=뉴스핌] 최문선 기자 = 혼불문학상 수상 작가 김아나. [사진=다산북스] 2025.10.28 moonddo00@newspim.com |
'4인칭의 아이들'은 '행복한 아이들의 섬'이라 불리는 곳의 기숙학교에서 생활했던 아이들이 섬에서 당한 착취와 통제를 고발하며 시작되는 소설이다. 철저히 이용당하고 섬에서 쫓겨난 아이들은 같은 꿈을 꾸기 시작하고, 자신들의 기억이 다른 아이들과 연결되어 있음을 깨닫게 된다. 그리하여 끝내 서로의 목소리를 모아 연대로 나아가는 이야기를 그린다.
심사위원단은 "타협하지 않는 서술을 통해 3인칭에서 3.5인칭 그리고 종내에는 4인칭까지 나아가는 방식이 독보적이었다. 쓰고 싶은 이야기를 쓰는 게 아니라 쓸 수밖에 없는 이야기를 쓰는 절박함. 이러한 순도 높은 절박과 진실 앞에서는 미숙도 과잉도 미학이 된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깨달았다. 앞으로 작가는 분명 더 많은 이들의 작은 목소리를 우리 곁에 생생히 전달해줄 것"이라고 평했다.
김아나 작가는 "이 상은 내가 아니라 내 소설 속 아이들과 그들의 이야기에 주는 상이라고 생각한다"며 "단지 아이들의 이야기를 종이에 받아 적는 역할을 했다. 그렇기에 이 상의 무게가 나에게는 상당히 무겁게 다가온다"고 말했다.
이어 "이 소설을 쓰면서 나와 가장 이야기를 많이 나누었던 사람은 어린 시절 내 자신이었다. 글쓰기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고 난폭했으며 절망에 빠졌던 자신이었다. 나 자신을 지칭할 수 있는 건 오로지 1인칭에 불과하다고 여겼던 때였다. 슬픔을 어떤 방식으로 표현해야 할지 모르는, 말수가 적은 어린아이에 불과했던 나였다. 하지만 서른여덟 살의 나는 어린 시절의 나에게 새로운 인칭을 선물해 줬다"고 했다.
![]() |
| [서울=뉴스핌] 최문선 기자 = 혼불문학상 수상 작가 김아나. [사진=다산북스] 2025.10.28 moonddo00@newspim.com |
김 작가는 '4인칭 아이들' 집필 계기에 대해서도 밝혔다. 그는 "작가의 말에서 언급했듯이 나 역시 좋지 않은 일련의 사건을 겪었다. 나와 비슷한 사람들을 찾아서 소통하고 싶었다. 하지만 그 사람들을 어떻게 찾아야 할지도 몰랐고, 만나서 무슨 이야기를 해야 할 지도 몰랐다. 하지만 나는 글을 쓸 수 있었다. 그들을 찾기 위해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소설을 쓰는 일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김아나 작가는 '4인칭'의 개념과 그 개념이 소설의 주제와 연결되는 것에 대해서도 답했다. 그는 "초고를 마치고 퇴고하는 과정에도 소설 속에는 4인칭이라는 개념이 없었다. 동료 소설가들과 함께 작품을 비평하는 과정에서, 한 소설가가 저에게 올가 토카르추크가 이야기한 4인칭에 대하여 알려줬고, 소설에 적용해 보도록 권유했다"며 "내가 생각하는 4인칭이라는 개념은 같은 경험을 공유했으며 경험에 대하여 소통하는 집단이다. 또 자유롭게 뭉치고 흩어지는 것이 가능한 유동적인 여러 사람의 모임이라고도 생각했다. 소설 속의 아이들은 치유를 위하여 예희의 집에 모였다가 다시 자신들의 삶으로 돌아간다. 각자의 삶에 충실하면서도 함께 모여 아픈 기억을 치유하는 일련의 과정이 4인칭의 개념과 연결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혼불문학상은 고(故) 최명희 작가의 대하소설 '혼불'이 품은 인간의 불멸성과 언어의 진정성을 현재의 문학으로 되살리기 위해 제정된 상으로, 올해로 15회를 맞았다.
moonddo00@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