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1.9% 그쳐...비정규직 비율 11.1%p 증가·외식비 상승 영향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최근 10년간 청년층의 실질소득 증가율이 전 세대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29일 '2014~2024년 세대별 실질소득 추이 분석'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최근 10년 간 청년층 실질소득 증가율은 연 1.9%로 전 세대 중 가장 낮았으며, 실질소득 증가 추세도 과거 5년(2014~2019년) 연평균 증가율 2.6%에서 최근 5년(2019~2024년) 연평균 1.1%로 둔화됐다.
![]() |
[자료=한국경제인협회] |
한경협은 청년층 실질소득 증가율 부진의 요인을 실질소득을 구성하는 명목소득과 물가로 나눠 분석했다. 우선 청년층의 명목소득 증가의 제약 요인으로 청년층 고용의 '질적저하'를 꼽았다.
최근 10년 간 청년층의 근로소득 연평균 증가율은 3.6%로 모든 세대 중 가장 증가율이 낮았다. 아울러 청년층은 명목 경상소득 내 근로소득 비중이 높은 가운데, 저조한 근로소득 증가율이 명목 경상소득 상승 부진으로 이어졌다. 같은 기간, 청년층의 명목 경상소득 증가율은 연 4.0%로 모든 세대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같은 기간 청년층의 실업률은 3.2%p(9.0%→5.8%) 낮아졌고, 고용률도 3.6%p(57.4%→61.0%) 상승하면서 청년층 고용의 '양적 개선'이 이뤄졌다. 하지만 근로소득 수준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비정규직 비율이 11.1%p(32.0% → 43.1%) 늘어나며 청년층 고용의 '질적 개선'은 이뤄지지 않았다.
![]() |
[자료=한국경제인협회] |
외식비 상승에 따른 체감물가상승도 청년층 실질소득 부진의 주요 원인이다. 최근 5년 간, 소비지출 항목 중 청년층에서 지출 비중이 가장 높은 음식·숙박비가 식사비(외식비 포함)를 중심으로 가파르게 상승했다.
가처분소득과 체감물가를 과거 5년과 최근 5년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청년층 명목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2014~2019년 연 3.8%에서 2019~2024년 연 4.0%로 상승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청년층 체감물가 상승률이 연 1.1%에서 2.8%로 뛰면서, 명목 가처분소득 상승효과가 상쇄되며, 청년층 실질소득 증가율은 오히려 하락했다.
한경협은 가파른 음식ˑ숙박비 상승을 청년층 체감물가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지목했다. 최근 5년 간 '음식·숙박' 물가는 '식사비'를 중심으로 연 4.0% 올랐는데, 이는 소비지출 항목 중 '식료품ˑ비주류음료'(5.1%)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한편, 청년층의 소비 바스켓 구성 항목의 청년층 체감물가에 대한 상승 기여율을 분석한 결과, '음식·숙박'이 30.9%로 전 항목 중 가장 높았다.
한경협은 청년층 실질소득 개선을 위해 고용의 질을 높이는 노동시장 정책과 함께 체감물가 개선을 위한 외식물가 안정화가 필요하다고 바라봤다.
2022년 한국의 GDP 대비 전체 노동시장정책 지출규모(1.02%)는 OECD 평균(0.98%)을 상회하며 개선된 수치를 기록 중이나, 여전히 '직접 일자리 창출'과 같은 양적 개선에 편중돼 있다. 이에 한경협은 고용훈련, 기업의 양질의 고용창출 여력 확대 등 질적 제고를 위한 노동시장 정책 다변화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한경협 측은 "최근 외식업체의 높아진 식재료비 부담을 고려하여 할당관세,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등을 통해 식재료비 원가 부담을 줄임으로써 외식물가의 안정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ay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