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 FDA 피드백 이후 시다라 목표주가 상향
CD388 3상 완주 위한 5억달러 현금 확보
2026년 3상 임상 완료, 2027년 상업화 전망
이 기사는 9월 25일 오후 4시48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시다라 테라퓨틱스 ① FDA 긍정적 피드백에 7년래 최고가>에서 이어짐
[서울=뉴스핌] 김현영 기자 = ◆ 월가 애널리스트들의 '강력 매수' 러시
이번 FDA 피드백 발표 이후 월가 투자은행들이 잇따라 시다라 테라퓨틱스(종목코드: CDTX)의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며 '강력 매수' 컨센서스를 형성하고 있다. CNBC 집계에 따르면 시다라를 커버하는 8개 투자은행 중 3곳이 '강력 매수', 5곳이 '매수' 의견을 제시했으며, 평균 목표주가는 127.71달러로 현재 주가 대비 44.17%의 추가 상승 여력을 나타내고 있다.
![]() |
시다라 테라퓨틱스 로고 [사진 = 업체 홈페이지 갈무리] |
24일 RBC 캐피털 마켓의 브라이언 에이브러햄스 애널리스트는 목표주가를 115달러에서 137달러로 상향 조정하고 '시장수익률 상회' 투자의견을 재확인했다. 그는 "향후 500만 명이 넘는 사람이 이 약을 복용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CD388이 2028년 출시되어 미국에서 최대 24억 달러, 전 세계에서 37억 달러의 매출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했다.
에이브러햄스는 FDA와의 EOP2 회의록 공개 내용을 바탕으로 "3상 임상시험 개발에 긍정적인 신호가 포착되었고, 65세 이상 고령층 포함 권고는 시장 예상보다 더 넓은 적응증 라벨 획득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진단했다.
니덤의 조셉 스트링거 애널리스트는 잠재 시장 규모 확대를 반영해 미국 최대(peak) 매출 전망치를 이전 15억 달러에서 22억 달러로 상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도 74달러에서 100달러로 올렸다. 스트링거는 "투자자들이 예상했던 것보다 업데이트가 더 좋았다"고 평가했다.
구겐하임의 시머스 페르난데스 애널리스트는 목표주가를 70달러에서 167달러로 대폭 인상하며 '매수' 의견을 유지했다. 그는 "FDA와의 EOP2 회의에서 받은 피드백이 회사 기대치를 뛰어넘었다"며 "FDA와의 논의를 강력한 지지와 검증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H.C. 웨인라이트의 사라 닉 애널리스트는 매수 투자의견을 재확인하며 목표주가를 74달러로 설정했다. 그는 "CD388이 백신이 아닌 방식으로 접근한다는 점이 상업적 기회 측면에서 긍정적"이라고 분석했다.
WBB 증권의 스티브 브로작 애널리스트는 '강력 매수' 투자의견을 재확인하고 목표주가 123달러를 유지했다. 앞서 22일 브로작은 목표주가를 45달러에서 123달러로 대폭 상향 조정한 바 있다. 시티즌스 JMP의 로이 뷰캐넌 애널리스트도 목표주가를 66달러에서 153달러로 상향 조정하고 '시장수익률 상회' 의견을 유지했다.
◆ 견고한 재무 기반으로 3상 임상 완주 가능
시다라 테라퓨틱스는 강력한 재무 상태를 바탕으로 3상 임상 완주에 대한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회사는 올여름 성공적인 자금 조달을 완료한 후 기존 현금과 현금성 자산으로, 계획된 3상 개발 프로그램을 완료할 때까지 완전히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2분기 실적 발표에서 회사는 5억 달러 이상의 현금을 보유한 강력한 재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대차대조표상 부채보다 많은 현금을 보유하고 있어 재무 건전성도 우수한 상황이다.
이러한 안정적인 재무 기반은 투자자들에게 3상 임상시험의 성공적인 완주에 대한 확신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바이오테크 업계에서 자금 부족으로 인한 임상 중단 사례가 빈번한 상황에서, 시다라의 충분한 현금 보유는 상당한 경쟁 우위로 작용하고 있다.
◆ 시다라 테라퓨틱스 기업 개요
시다라 테라퓨틱스는 2012년 12월 설립된 생명공학 기업으로,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 본사를 두고 있다. 회사는 심각한 질병, 특히 종양 및 감염성 질환 환자를 위한 치료제의 발굴, 개발, 상용화에 주력하고 있다.
회사의 포트폴리오는 독점 플랫폼인 클라우드브레이크 기술을 기반으로 종양, 바이러스, 자가면역 질환을 표적으로 하는 혁신적인 접근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력 후보물질인 CD388 외에도 레자펀긴 아세테이트 등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클라우드브레이크 기술은 장기 지속형 항바이러스 치료제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는 시다라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평가받고 있다.
◆ 거대한 시장 기회와 투자 매력
독감 예방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거대한 규모를 자랑한다. 회사에 따르면 현재 미국인의 49%만이 매년 독감 백신을 접종하고 있으며, 2021~2022년 독감 시즌에는 64%가 백신을 접종하지 않아 미국에서만 5000명이 독감 관련 질병으로 사망했다. 독감으로 인한 의료비와 사회경제적 비용은 연간 112억 달러를 넘는다.
![]() |
CD388과 백신의 상호보완적 작용 [자료 = 시다라 테라퓨틱스] |
CD388은 백신 부작용을 우려하거나 면역력이 약한 고령자들에게 새로운 대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1회 투여로 계절 전체를 커버할 수 있다는 편의성과 높은 예방 효과는 기존 치료 패러다임을 바꿀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월가 애널리스트들은 CD388의 성공 시 인플루엔자 예방 시장의 판도를 바꿀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투자 리스크와 전망
물론 투자에 따른 리스크도 존재한다. 시다라는 아직 매출을 창출하지 못하는 임상 단계 기업이라는 점, 3상 임상 실패 가능성, 경쟁사 대비 상대적으로 늦은 시장 진입 등이 주요 위험 요소로 꼽힌다.
하지만 이미 2b상에서 입증된 효능과 안전성, FDA의 긍정적인 피드백, 간소화된 승인 절차 등을 고려할 때 성공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일반적인 평가다.
시다라 테라퓨틱스는 현재 시가총액 22억 5000만 달러 규모로, 올해 들어 229.54%, 최근 1년간 720.95%의 인상적인 주가 수익률을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상당한 관심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