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멕시코 정부가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에서 수입되는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현행 20%에서 50%로 인상할 방침이다.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지 않은 국가들이 주요 대상이며, 중국 외에도 한국, 인도, 인도네시아, 러시아, 태국, 튀르키예 등이 포함된다.
10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마르셀로 에브라르드 멕시코 경제부 장관은 이날 기자들에게 "이미 관세가 존재하지만 이를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이 허용하는) 최대 수준까지 끌어올릴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중국산 자동차가 '참조가격(reference price)' 이하로 유입되고 있다며 "일정 수준의 보호장치 없이는 사실상 경쟁이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자동차 외에도 철강·장난감·오토바이는 35%, 섬유류에는 10~50%의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경제부는 이번 조치로 전체 수입의 8.6%가 영향을 받을 것이며, 멕시코 내 산업·제조업 분야 일자리 32만5000개를 보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치는 의회 승인이 필요하지만 여당이 과반을 점하고 있어 통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된다.
미국이 멕시코에 중국과의 경제적 연계를 제한하라고 압박해온 가운데, 이번 결정은 사실상 미국의 요구에 부응하는 성격이 강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마리아나 캄페로 연구원은 "미국은 중국이 멕시코를 '우회 통로(backdoor)'로 활용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미국과 멕시코는 캐나다와 함께 자유무역협정(USMCA)을 맺고 있어 상호 간 최대 교역 파트너다. 해당 협정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에서도 멕시코가 상당 부분을 피할 수 있게 해줬으며, 내년 재검토를 앞두고 있다.
![]() |
지난 4월 9일 인천 연수구 인천신항에 있는 컨테이너들. [사진=뉴스핌 DB] |
wonjc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