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대사관 앞서 기자회견 "전쟁 포로처럼 취급…국제인권규약 위반'"
[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 = 미국 조지아주 현대자동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일어난 대규모 한국인 체포 사건에 대해 시민단체가 모여 미국 트럼프 행정부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과 자주통일평화연대, 전국민중행동, 트럼프위협저지공동행동 등은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미국 대사관 앞에서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에 대규모 대미 투자를 강요한 것도 모자라 한국 노동자들의 인권까지 폭력적으로 유린했다"며 즉각 사과와 재발 방지를 요구했다.
![]() |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 민주노총 등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미국 대사관 앞에서 '美 구금사태' 관련 긴급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자주통일평화연대, 전국민중행동,트럼프위협저지공동행동 등 4개단체는 이날 한국에 대규모 대미 투자를 강요한 것도 모자라, 한국 노동자들의 인권까지 폭력적으로 유린한 미 트럼프 정부를 강력 규탄했다. 2025.09.09gdlee@newspim.com |
박석운 전국민중행동 공동대표는 "'유엔 피구금자 처우에 관한 최저 기준 규칙'에 고통을 주는 발목 수갑 등 장비 사용을 금지하고 있는데 미국은 한국 노동자 발목에 사슬을 채웠다"며 "국제인권규정을 위반한 가혹행위"라고 지적했다.
이어 "본질은 국제인권규정을 위반한 가혹행위 범죄"라며 "공개 사죄할 것을 촉구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앞서 지난 4일(현지시각) 미국 당국은 조지아주(州) 서배너의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불법 체류자 단속을 통해 475명을 체포했다. 이 중 한국인은 300여명으로 알려진다.
이민세관단속국(ICE)이 공개한 당시 현장 영상에는 단속국이 헬리콥터, 군용 차량과 다수의 차량으로 현장을 급습하고 현장 직원들이 양손과 다리를 쇠사슬로 묶인 모습, 케이블 타이에 손이 묶인 직원들이 일렬로 버스에 탑승하는 모습이 담겼다.
비자와 체류 시한 문제가 대부분인 상황에서 동맹국의 세계적 기업 직원을 중범죄자 다루듯 한 것이다. 체포된 이들 다수는 포크스턴 구금 시설에, 여성 노동자의 경우 대부분 스튜어트에 구금돼 있는 상태로 전해진다.
주재석 자주연합 상임대표는 "한국은 미국에 수천억원 투자를 합의했지만 미국은 한국 노동자를 전쟁 포로처럼 취급했다"며 "이재명 정부는 국민 주권 정부라고 하는데 국민 주권의 밑바탕은 기본 인권이다. 국민 인권을 제대로 못 지킨다면 이 정부는 허구이거나 거짓말"이라고 했다.
장유진 자주통일평화연대 진보대학생넷 집행위원장은 "미국 경제에 이익이 되는 모든 행동을 취하기만 하고 타국 노동자들에 대한 배려가 없는 이기적인 행보를 보이는 트럼프 행정부를 규탄한다"고 말했다.
![]() |
[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과 자유통일평화연대 등 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9일 서울 종로구 주한미국대사관 앞에서 미국 트럼프 정부 규탄 퍼포먼스를 하는 모습. 2025.09.09 chogiza@newspim.com |
엄미경 민주노총 사무총장 직무대행은 "한국 노동자들이 중범죄자처럼 끌려간 치욕적인 행태에 대해 끝까지 싸울 것"이라며 "이재명 정부의 대미 투자 즉각 중단을 위해서도 싸우겠다"고 했다.
이들은 "한국은 수천억 달러를 쏟아붓고도 우리 노동자 안전과 기본적 권리조차 보장받지 못하는 상황에 내몰렸다"며 "트럼프 미 대통령은 이번 사태에 대해 사과는커녕 노동자들의 미국 비자 문제를 해결해 줄 테니 핵심 기술을 이전하라는 엄포를 놓고 있다"고 짚었다.
이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으로 촉발된 한국 경제 위기가 급기야 굴욕적 대미 투자에 이어 한국 노동자에 대한 폭력적 감금으로 이어졌다"며 "이 모든 상황의 원인은 기형적이고 불평등한 종속적 한미동맹에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 국민에게 즉각 사과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하라"고 강조했다.
기자회견 후 이들은 트럼프 미 대통령의 얼굴 가면을 쓴 사람에게 '굴욕 동맹 해체', '대미 투자 중단', '트럼프 사과', '즉각 석방' 등의 글자를 붙이고 쇠사슬로 몸을 묶는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구금 사태가 벌어진 지 닷새째인 8일(현지시각) 우리 정부는 한국인 근로자들의 귀국을 위한 실무 준비절차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진다.
chogiz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