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든돔 계획서 아마존과 협력 강화
지난주 백악관서 1시간 회동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750억 달러(약 240조 원) 규모의 '골든 돔(Golden Dome)' 미사일 방어 프로젝트에서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를 공식적으로 배제하고, 제프 베이조스가 이끄는 아마존 프로젝트와 손잡으려는 모양새다.
최근 외신 보도를 종합하면, 미국 행정부는 이미 작년 말부터 스페이스X에 대한 과도한 의존도에 불안감을 느끼기 시작했고, 지난달 트럼프와 머스크의 관계가 공식적으로 악화되면서 베이조스와의 밀착이 급물살을 타게 된 것으로 보인다.
![]() |
지난 4월 28일 유나이티드 런치 얼라이언스(United Launch Alliance)의 아틀라스 V 로켓이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아마존의 프로젝트 쿠이퍼(Project Kuiper) 인터넷 네트워크 위성들을 실어 발사되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 스페이스X 자리 꿰차려는 아마존의 '쿠이퍼'
22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단독 기사를 통해 머스크와의 갈등이 골든돔 프로젝트에서 스페이스X가 차지하던 독점적 지위를 흔들었고, 그사이 아마존의 '프로젝트 쿠이퍼(Project Kuiper)'와 대형 방산업체들이 새로운 파트너로 물망에 올랐다고 보도했다.
트럼프와 머스크의 관계는 지난 6월 5일 대규모 세금·지출 법안을 둘러싼 설전을 계기로 공개적 결별 수순을 밟았지만, 두 명의 소식통은 그 이전부터 국방부와 백악관은 스페이스X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대안을 모색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스페이스X가 자체 위성 9000개 이상을 쏘아 올린 기록, 발사 능력, 정부 조달 경험 덕분에 특히 발사 계약 부문에서는 강력한 영향력이 유지될 것이란 전망이다.
프로젝트 쿠이퍼는 총 3000개 저지구 궤도 위성 중 현재까지 78개만 발사했지만, 국방부는 이에 개의치 않고 아마존과 접촉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국자들에 따르면, 쿠이퍼는 골든 돔의 핵심 구성 요소인 위성 계층 제공자로 강력하게 고려되고 있다. 골든 돔은 이스라엘의 아이언 돔(Iron Dome)을 모델로 삼았지만, 미국 전역을 포함해 훨씬 넓은 지역을 방어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다.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회장은 올해 1월 로이터에 "이 위성들은 분명히 국방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고 밝혔는데, 이는 그가 당초 쿠이퍼를 상업용으로 소개했던 것과는 다른 입장이었다.
스페이스X가 발사 능력 측면에서 여전히 독보적인 선두주자이지만, 두 명의 소식통에 따르면 프로그램 내 점유율이 축소될 수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또 복수의 공급업체가 경쟁에 참여하도록 하는 전략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정부 관계자는 로이터에 "모든 개별 발사 작업은 입찰 방식으로 진행될 것이며, 다른 기업들에도 기회를 주어야 한다"고 밝혔다. 여기에는 로켓랩(Rocket Lab), 스토크 스페이스(Stoke Space) 같은 신생 우주기업도 포함된다.
반면 팔란티어(Palantir), 안두릴(Anduril) 등 트럼프와 가까운 여러 기업들이 스페이스X와 함께 골든 돔 주요 계약의 유력 후보로 거론됐었지만 트럼프와 머스크의 공개적인 갈등 이후로 이들과의 협력 구도도 변화되는 모습이다.
![]() |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 [사진=로이터 뉴스핌] |
◆ '머스크 틈' 파고든 베이조스, 트럼프와 회동
이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주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와 백악관에서 회동했다는 보도도 나왔다.
이날 CNBC는 사안에 정통한 두 익명의 관계자를 인용, 베이조스와 트럼프 대통령의 지난주 만남이 1시간 이상 진행됐으며, 회의의 성격과 정확한 시점은 공개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아마존은 해당 회동에 대해 언급을 거부했으며, 베이조스 측 대변인도 CNBC의 논평 요청에 즉각 응하지 않았다.
프로그래머 잭 스위니에 따르면, 베이조스와 관련된 걸프스트림 G700 개인 제트기가 7월 14일 워싱턴 외곽 덜레스 공항에 착륙했다가 다음 날 이륙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위니는 일론 머스크, 빌 게이츠 등 유명 인사들의 비행 정보를 추적하는 인물이다.
로켓 회사 블루 오리진(Blue Origin)의 소유주이기도 한 베이조스는 트럼프의 두 번째 임기 동안 대통령과의 관계를 급격히 개선했다. 트럼프는 대통령 1기 당시에는 베이조스가 소유한 워싱턴포스트를 이유로 자주 그를 비난해왔다.
하지만 베이조스는 1월 트럼프의 두 번째 취임식에 100만 달러를 기부했고, 다른 기술기업 CEO들과 함께 무대에 올라 밀월 관계를 과시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후 워싱턴포스트의 논설면을 "개인 자유와 자유시장에 초점을 맞춰 개편한 결정"이라며 베이조스를 공개적으로 칭찬했다.
지난 4월에는 트럼프가 아마존 창업자 자리에서 물러난 베이조스에 대해 "훌륭하며, 좋은 사람"이라고 언급하며, "아마존이 자사 웹사이트에 관세 관련 부가요금을 표시할 계획이 없다는 점을 직접 확인해줘 고맙다"고 말하기도 했다.
또 지난달에는 월스트리트저널이 트럼프와 머스크의 관계가 악화된 이후, 베이조스가 트럼프와 여러 차례 직접 대화를 나눴으며, 블루 오리진 CEO인 데이브 림프도 백악관을 방문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매체는 이들 대화의 일부가 정부 계약 관련 논의에 초점을 맞춘 것이라고 소개했다.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