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경제지표 호조로 달러 강세...금값은 부담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이라크 유전에 대한 드론 공격으로 공급 우려가 발생해 17일(현지시간) 국제유가는 1달러 상승했다. 달러 강세 영향에 금값은 하락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브렌트유 9월물은 배럴당 69.52달러로 전일 대비 1달러(1.46%) 상승 마감했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8월물은 1.16달러(1.75%) 오른 배럴당 67.54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이라크 자치구인 쿠르디스탄 지역의 기반 시설은 드론 공격으로 심각한 손상을 입었고, 이에 따라 여러 유전의 가동이 중단됐다.
에너지 당국 관계자 두 명은 쿠르디스탄 자치지역의 원유 생산량이 하루 약 14만~15만 배럴 감소했다고 전했다. 이는 해당 지역의 통상적인 일일 생산량인 28만 배럴의 절반 이상에 해당한다.
![]() |
이라크 남부 유전지대인 바스라에 위치한 미국 엑손모빌의 석유시설 [사진=로이터 뉴스핌] |
쿠르디스탄 지역 유전 공격의 배후로는 이란의 지원을 받는 민병대들이 지목되고 있으나, 아직 어느 조직도 공식적으로 책임을 주장하지는 않고 있다.
리포우 오일 어소시에이츠의 앤드류 리포우 대표는 "이번 가격 상승분은 이라크에서의 드론 공격에 대한 반응으로 보인다"며 "이번 사태는 저기술 무기를 통한 공격에도 원유 공급이 얼마나 취약한지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리포우 대표는 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부과할 예정인 관세를 시장이 주시하고 있다며, 해당 관세가 미국산 원유 공급을 인도나 중국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팬뮤어 리버럼의 애슐리 켈티 애널리스트는 "미국 관세의 최종 규모에 대한 불확실성과 이에 따른 글로벌 성장 영향 때문에 단기적으로 유가의 변동성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금값은 달러 강세 및 미국 경제 지표 호조 영향에 아래를 향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선물 8월물은 트로이 온스(1ozt=31.10g)당 전날보다 0.4% 하락한 3345.3달러에 마감됐고, 금 현물은 장중 한때 3309.59달러까지 밀렸다가 한국시간 기준 18일 오전 2시 55분 전날보다 0.3% 내린 3337.43달러를 기록했다.
RJO 퓨처스 수석 시장 전략가 밥 하버콘은 "최신 미국 경제 지표 발표 이후 달러와 미 국채 금리가 상승했다"며 "이로 인해 금 시장이 다소 약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주요 통화 대비 달러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지수 이날 0.3% 올랐다.
미국의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감소하며 7월에도 고용시장이 견조함을 시사했다. 또 6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6% 증가하며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고, 소비 회복에 대한 기대를 키웠다.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방준비제도 이사는 트럼프 정부의 관세가 가격에 반영되기 시작했다며 "한동안은 금리 인하가 이뤄지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무역과 관련해서는 일본의 최고 통상 교섭대표가 미국 상무장관과 회담을 가졌으며, 일본은 8월 1일까지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25%의 미국산 수입품 관세가 부과될 상황이라 이를 피하고자 협상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시티인덱스와 포렉스닷컴 시장 분석가 파와드 라자크자다는 "트럼프가 위협대로 행동하고 무역 긴장이 고조된다면,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다시 시험하거나 돌파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한 시나리오"라고 분석했다.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