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종 64종 서식...동아시아-대양주 철새 이동 경로
7500억원 소요에 예타 조사 면제 하루만에 '졸속' 의결
[서울=뉴스핌] 조준경 기자 = 시민단체 새만금신공항 백지화공동행동(공동행동)이 이재명 정부를 향해 새만금신공항 백지화 국정과제 반영을 요구하고 나섰다.
공동행동은 15일 서울 종로구 국정기획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신공항 백지화와 수라갯벌 보존을 국정 과제로 반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 |
[서울=뉴스핌] 조준경 기자 = 15일 시민단체 새만금공항백지화공동행동이 서울 종로구 국정기획위원회 앞에서 신공항 백지화 국정과제 반영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있다. 2025.07.15 calebcao@newspim.com |
김지은 공동행동 공동집행위원장은 "(신공항 부지인) 수라갯벌에는 정부에서 법적으로 보호해야 한다고 지정한 보호종만 64종에 이르고, 동아시아와 대양주 철새 이동 경로의 핵심 기착지"라며 "지구 생물 다양성 보존을 위해서 반드시 지켜져야만 하는 중요한 생태 지역"이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만약 수라갯벌에 공항이 지어져 훼손된다면 세계 자연유산 등재가 취소될 수도 있다"면서 "자연 보존에 악영향을 미칠 만한 추가적인 개발 행위는 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새만금신공항 계획은 지난 2019년 문재인 정부 시절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에 선정돼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받아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공동행동은 이를 두고 "(계획이 처음부터) 거짓으로 시작됐다"며 "당시 전북 행정과 정치인들이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를 요구한 주요 명분은 2023년에 시행된 새만금잼버리의 성공적 개최였다. 그러나 신공항은 아무리 빨라야 2028년에나 완공될 수 있는 공항이었다"라고 비판했다.
감사원도 지난 2024년 6월 7500억대 예산이 소요되는 새만금신공항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하는 과정이 하루 만에 의결됐다고 밝혔다. 천문학적 재정이 지출되는 사업이 졸속으로 경제성 평가를 받은 것이다.
김성희 공동행동 회원은 "새만금신공항은 무안공항보다 더 심각할 것으로 예상되는 조류 충돌 위험 문제를 가지고 있다"며 "정부는 새만금신공항 해상 조류들의 활동과, 가덕도신공항 건설 예정 부지의 해무와 태풍 등 기상 현상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고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시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방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은정 녹색연합 그린프로젝트팀 활동가는 "전국 곳곳 10개의 신공항이 추진 계획 중이며, 신공항의 시대라고 말을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꼼수와 거짓 부실로 점철된 공항 개발 계획에 국민의 안전을 맡길 수 있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새정부가 나아갈 방향과 철학을 보여줄 국정 과제에 새만금신공항을 비롯한 모든 공항 건설 계획 전면 재검토를 담을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덧붙였다.
calebca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