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7일 '가공식품 물가안정' 대책 발표
6월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 4.6%…라면 6.2%↑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올해 들어 가공식품 물가가 천정부지로 치솟으면서 정부가 물가안정 대책에 나섰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4일 식품·유통업계와 간담회를 개최하고, 물가안정을 위한 여름 휴가철 가공식품 할인행사 실시 등을 논의했다고 7일 밝혔다.
◆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 4.6%…전체 소비자물가 두 배 웃돌아
이날 농식품부에 따르면 6월 가공식품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월 대비 0.3%, 전년 동월 대비 4.6%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23년 11월(5.1%) 이후 19개월만에 최대치다. 품목으로는 초콜릿, 라면, 김치, 커피 등이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 |
농식품부는 주요 원·부자재 가격, 인건비, 에너지비용 상승 등이 식품기업의 원가부담을 가중시킨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코코아·커피 등의 국제가격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특히 이재명이 콕 집은 대표적인 서민 먹거리인 라면 물가도 고공행진을 거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라면 물가 상승률은 '12·3 계엄' 사태가 발생한 지난해 12월 0.2%에서 올해 1월 0.8%→2월 0.2%→3월 0.6%로 널뛰다 4월부터 5.1%로 큰 폭으로 뛰었다.
지난달 6.2%를 기점으로 6%대를 훌쩍 넘더니, 이달 들어 6.9%로 인상 폭이 확대됐다. 라면 물가도 지난 2023년 9월(7.2%) 이후 21개월만에 최대다.
가공식품 물가는 작년 4분기(1.7%) 이후 전체 소비자 물가를 웃돌고 있다.
◆ 1차 추경서 200억원 확보…농식품부 "업계 소통 지속할 것"
농식품부는 그동안 식품업계의 원가부담 완화를 위해 커피, 코코아 등 수입 원재료에 할당관세 적용, 커피·코코아 수입 부가가치세 면세, 식품업계에 원료구매자금 등 지원을 확대해 왔다.
특히 농식품부는 지난 1차 추경에서 가공식품 물가 안정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국산 농산물을 가공원료로 사용하는 중소·중견 식품기업의 제품 가격인하 또는 동결을 유도하기 위한 '식품외식종합자금(융자)' 사업에 200억원을 편성한 바 있다.
![]() |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 [사진=뉴스핌DB] |
식품업계 또한 장바구니 물가부담 완화 필요성에 공감하고 여름철(7~8월) 할인행사를 중점적으로 실시하기로 했다.
먼저 7월에는 식품기업과 유통업체가 함께 참여해 대형마트, 편의점 등에서 라면, 빵 등 소비자물가 체감도가 높고 원재료 가격 부담이 다소 완화된 제품과 아이스크림, 주스, 삼계탕 등 여름 휴가철에 소비가 많은 제품을 중심으로 할인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최근 물가상승률이 높았던 김치는 주요 김치업체(종가집, 비비고 등)가 참여해 온라인몰, 홈쇼핑, 오프라인을 통해 할인행사를 진행한다. 8월 이후에도 정부는 가공식품 물가관련 상황을 모니터링하면서 업계와 협의를 지속할 계획이다.
주원철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국장은 "이번 간담회에서 기업들은 수출 등 해외진출, 식품 원료수급 등에 애로 및 건의사항을 설명했다"며 "과제개선을 위해 향후 정부와 지속적으로 소통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plu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