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지난해 초등학교 입학 전인 유아 사교육비가 3개월에 8000억원을 넘어섰지만, 시도교육청에서는 사교육비의 원인으로 지적되는 이른바 초등 의대반, 7세 고시, 4세 고시 현황 등을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28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문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으로부터 파악한 '관내 학원의 초등의대반, 7세 고시, 4세 고시 현황' 자료에 따르면 '현황 없음' 응답이 가장 많았다.
![]() |
'관내 학원의 초등의대반, 7세 고시, 4세 고시 현황에 대한 한 교육청의 답변 자료/제공=김문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의 답변은 '0곳'을 의미하는 해당 없음, 현황 없음 등으로 요약됐다. 지역에 초등의대반, 7세 고시, 4세 고시가 없다고 밝힌 지역도 있었다.
문제는 학원이 몰려있는 이른바 교육특구 지역 교육청도 '0곳'으로 응답했다는 점에 있다. 지난해 특별점검에서는 몇 곳이 있었지만, 올해 폐원했다고 신고한 경우도 있었다는 설명이다.
이름에 '의대' 들어있는 학원을 소수로 파악하는 교육청이 다수라는 것이 의원실 측의 설명이다. 일부 교육청은 학원에서 실시하는 '레벨테스트'를 관할 교육지원청에 신고하도록 유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현황 파악을 하지 못한다는 답변을 내놓은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영어유치원으로 불리는 유아 대상 영어학원이 지난해 12월 말 기준으로 787곳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초등 의대반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김 의원은 "선을 넘은 선행학습에 대한 직접적인 조치, 사교육 수요 해소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 공교육의 대체 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wideope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