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2024년 장애인 의무고용현황 발표
공공부문 3.9%…의무고용률 대비 0.1%p↑
민간부문 0.04%p 오른 3.03%…기준 미달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장애인 고용인원이 29만8654명으로 전년 대비 7331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영역 평균 고용률은 3.21%로 전년 대비 0.04%포인트(p) 올랐다.
고용노동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4년 장애인 의무고용현황'을 28일 발표했다.
지난해 정부와 공공기관을 포함한 공공부문 고용률은 3.9%로 전년 대비 0.04%p 증가했다. 공공부문 고용률은 의무고용률인 3.8%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부문 고용률은 3.03%로, 전년 대비 0.04%p 상승했으나, 의무고용률인 3.1%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 |
장애인 의무고용률 추이 [자료=고용노동부] 2025.04.28 sheep@newspim.com |
중증 및 여성 장애인 근로자가 전체 장애인 근로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기준 각각 35.8%, 28.7%로 집계됐다.
고용부는 민간기업의 고용 증가폭이 컸다고 분석했다. 민간부문 장애인 고용률은 코로나19 이후 상승 추세가 지속되면서 법정 의무고용률(3.1%)과의 격차가 0.07%p로 좁혀졌다. 이는 1991년 의무고용제도 시행 이후 최저 수준이다.
고용인원 기준으로 보면 지난해 늘어난 장애인 근로자 7331명 가운데 6914명은 민간에, 417명은 공공에 채용됐다.
고용부는 1000인 이상 기업의 장애인 고용 개선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봤다. 지난해 1000인 이상 기업 장애인 고용률은 2.97%로, 전년 대비 0.09%p 상승하면서 전체 고용률 상승을 견인했다는 분석이다.
공공부문의 장애인 고용률은 3.9%로 의무고용률(3.8%)을 상회했다. 지자체 5.92%, 공공기관 4.05%, 중앙행정기관 3.36%, 헌법기관 2.83%, 교육청 2.52% 순으로 지자체와 공공기관의 역할이 컸다.
다만 공무원의 장애인 채용은 다소 부진한 배경에 대해 교원·군무원 등 특정직 공무원의 비중이 큰 기관의 고용률이 상대적으로 저조했다는 설명이다.
권진호 고용부 통합고용정책국장은 "장애인 한 분이라도 더 일할 기회가 주어질 수 있도록 장애인 고용 컨설팅 제공,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설립규제 완화 등을 통해 민간기업의 장애인 고용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며 "정부부문도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력하여 장애인 채용을 독려하고, 연계고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장애인 고용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sheep@newspim.com